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김박사넷은 학부생들이 많이 이용하는건가요?

2020.09.21

15

10111

안녕하세요.

ssh에서 학사 후 SPK에서 석박하고 현재 모 정부출연연구기관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입니다.


친동생 막둥이가 내년에 대학원 진학을 염두에 두고 있어 저한테 진로나 어디를 택하는게

좋은지 많이 물어보곤 합니다.


그런데 김박사넷에서 무슨 일이 있어도 "SPK>>>>>>>> 다른 대학"이란 글들 봤다며

본인이 합격한 ssh, -ist 라인 대학원에 대해 걱정을 많이 하더라고요.


뭔 학부생도 아니고 대학원에서 간판을 그렇게 따지나 싶어 들어와서 글 몇개 눈팅해보니

정말 놀랍네요... 진짜 대학원을 간판 세탁으로 생각하는 분이 이렇게 많다는 것에

놀랍기 그지 없습니다.


대학원 다닌 분들은 아시겠지요. 인문계는 모르겠는데 적어도 공대는

성과 좋은 랩이 SPK 웬만한 랩보다 낫다는 걸요.

그러니 'spk>>그외 대학' 과 같은 글을 설마하니 대학원 다니는 학생 분들이 작성하진 않았겠지요.


저도 스무살때부터 근 12~13년간 공부하고 연구하며,

학회에서 본 비SPK 출신 박사님들 중에 출중하신 분 정말 많이 봤고

좋은 곳에 가신 분도 정말 많은데 마치 김박사넷은 SPK에서 석박사를 하지 않으면

아무 의미 없다는 글들이 너무 많아... 할말을 잃게 만드네요.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학벌은 학부 간판으로 보는 것이고

SPK 대학원 진학? 이걸로 쉽게 안 바뀝니다.

차라리 미국에 가서 박사를 하면 모를까 SPK 대학원 들어가는 것이 전부인양 글을 쓰며,

본인의 생각이 진실인양 사실을 호도하는 것이 답답하여 동생 아이디를 빌려 글을 남깁니다.


물론 같은 실력이면 더 좋은 대학 간판인 사람을 선호하겠지요.

그런데 학부도 아니고 대학원은 간판의 힘이 거의 없다시피 합니다.

저랑 현재 연구를 같이 하는 수석님이 팀 그룹장이시고

재작년부터 팀에 새로 들어오는 연구원들 면접을 함께 보시는데,

SPK 출신이라고 "우와 쟤 뽑아야지!" 하는 경우는 장담컨대 없다고 합니다.

실제로 재작년부터 들어온 박사분들 한 분은 한양대, 한 분은 인하대 출신이셨습니다.


대학원생은, 석박사는 논문으로 말하는거지 학부생처럼 대학 간판으로 말하는게 아님을

많은 학생 분들이 알고 세상에 "무조건"은 없음을 알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무조건 spk >>>> 그외 대학 따윈 없다는 말입니다.)

본인의 진로에 대해 깊게 생각해보시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Martin Luther*

2020.09.21

저도 님과 비슷한 커리어인데 공감합니다
Francis William Aston*

2020.09.21

ist 성과좋은 랩은 이미 자대 학점좋은 분들이 차지하고 있고요. 그분들은 그런말에 흔들리지 않고 성과가 중요하다는 걸 알고 자대로 진학하신 겁니다.
그런데 솔직히 그 외 대학에서 ist나 ssh로 진학한다? 그런 랩 못들어갑니다. 그래서 그런 말들이 나온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여기보다 하이브레인넷이 설포카/비설포카 구분이 더 엄격한 것 같던데요

2020.09.21

말씀하신대로 무조건 100%는 아니겠죠. 근데 큰 물에서 노는 게 양과질적으로 좋은 성과를 낼 확률이 더 높지 않을까요?
Tintoretto*

2020.09.21

ㄴ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글쓴이분도 결국 그런 이유로 SPK를 가신거겠지요.
Augustin-Louis Cauchy*

2020.09.21

학계에서 메이저하게 활동하는 사람들 대부분이 해박이고 일부가 SPK박+해외포닥인데?
비SPK중 훌륭한 사람을 많이 봤다? 그 비율이 1프로는 되나?
Martin Luther*

2020.09.21

댓글들 국어능력 9등급인가
확률상 명문대 출신이 잘나가겠지만 간판이 그걸 확정해주는건 아니니 편가르기좀 그만하라는 거잖아
이딴 대가리가지고 편가르기하고있었냐 ㅉㅈ

2020.09.21

아무쪼록 ssh 나와서 spk석박에 정출연이면 님부터가 세탁해서 잘풀린 케이스 아닌가 싶습니다.
Augustin-Louis Cauchy*

2020.09.21

아니 확률상 장래에 도움되면 당연히 그쪽으로 가야 하는게 당연한거 아니냐고

김제동이 전문대 10년 다니다 중퇴했는데 돈 엄청나게 번다고
너네도 전문대 중퇴해도 된다는 소리 아님?

2020.09.21

위에 현직인분 말씀도 맞는 말 같은뎅
정출연이 몌전에는 가기가 무난했는데 요즘은 가기가 힘든곳이지요.....
연구실적이 중요한 곳임

요즘 학계도 연구실적이 더 중요하다는 말도 심심찮게
나오든데(학부나 석박사 학벌도 가중치 있음)

석사 취업은 학부와 석사 학벌이 조금 더 유리하것징
(연구실적은 비슷하다고 보임, 특출난 경우는 제외)

2020.09.21

학부+대학원+연구실적
이세가지가 조합이 되면 최고의 아웃풋이 나오겠죠
ㅎㅎㅎ

2020.09.21

근데 서카포 자대생이나 연고한성서 상위권공대생들은 대기업이나 공기업등으로 갈사람과 대학원가는 부류 두갈래길로 가는거 아냐?

서카포 자대생은 대학원진학이 많고 연고한성서는 대기업이나 공기업 기술고시등으로 가는학생들이 평균 70~75 %선이고
진학에 뜻이 있는 학생들만 서가포나 자대대학원 가고
.....

2020.09.21

상위권공대 진학률 보니까 25%선 안팍이든데
Thomas Alva Edison*

2020.09.21

글쓴이의 주장에 일부 공감하지만, 이왕이면 spk 대학원 가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솔직해집시다. 인하대 박사가 정출연 갈 가능성과 KAIST 박사가 정출연 갈 가능성이 누가 높을까요 ? 인하대 박사가 더 뛰어날 수 있지만, 평균적인 확률을 봐야 됩니다

2020.09.21

여기 학부생이 이용하는곳 아니고 고딩이 이용합니다.

2020.09.21

정출연은 블라인드 채용에 실력 많은 사람이 좋겠지만 TO가 매우 적고
박사 및 포닥후에 일반적으로는 기업을 많이 가는데 기업 가는데는 학벌이 크게 영향을 미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