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랩세팅이라고 하면 연구주제를 학생들이 창조하고 그런건가요? 랩세팅 하는일 알려주세요ㅜㅜ
인품 0에 수렴하는 교수님 vs.신생랩에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두 분 같은학교, 겹치는 분야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0.09.08
저희는 재료쪽인데 세팅에 3개월도 안 걸렸고 논문찍어내고 있음. 신생에 젊은 교수라 젠틀하고 교수한테 직접 배우고 관리 잘받고 있어서 만족 중임. 교수 잘 만나는 게 최고인거같음. 학위기간은. 신생랩도 가서 그냥 대화나눠보고 뭐하는지 대충 들러보고 각재보세요.
2020.09.08
ㄴ감사합니다!
Jean-Paul Sartre*
2020.09.08
재료인데 3개월도 안걸렸다고?ㅋㅋㅋㅋ
Cs 도 최소반년이상걸리는데?
신생랩걸러라 여기신생교수많음
2020.09.09
재료도 재료나름이라서 공학 계통 재료는 아니다. 물리 화학 계열이고 장비 존나 단순함. 시약만 바꾸고 없는 장비있으면 다른 랩에서 빌리고 흔한디. 학생 주저자로 논문 3개나왔고 내가 JCR 10프로 이내 한편 나머지 공저자로 들어감. 석사 3학기다.
2020.09.09
교수는 매우 되고 싶다. 신생 교수라고 불러줘~
2020.09.09
ㄴ설마 그게 학생주저자라고 학생의 연구퍼포먼스로 착각하는건아니지?
2020.09.09
ㄴ아니긴하지만 없는 거보다 훨나음.
세상에는 어느 정도는 우습게보이지 않도록 겉모습을 기를 필요가 있고 교수 캐리 없이 학생이 개고생끝에 졸업직전에 내는 논문에는 노력과 고생이 점철되어있겠지만
신생처럼 교수캐리로 논문작업에 대한 지름길을 금세 이해할 수 있게 된 거는 그만큼 효과가 큼.
내가 그런거없었으면 졸업전에 kci한편내고 쓸쓸히 졸업할듯
적어도 상위권 논문 캐리받으면서 스스로 낸 내 다음 논문이 그거보다 덜하더라도 충분히 실력의 향상이 일취월장임.
실제 연구자의 연구퍼포먼스는 포닥부터 볼수있다생각되고 나는 그저 나아갈 뿐이다. 나도 그렇게 자랑스럽게 내가 다썼다고 떠벌리고 다니진않아.
2020.09.09
신생랩이 기피받는 이유는 크게 3개임.
1. 랩 세팅: 장비 세팅 및 구매, 사용 방법 공부까지
엄청나게 케바케라 얼마나 걸린다곤 장담 못하는데 자금 많고 포닥이나 박사과정 데려오면 순삭당하는 경우도 더러 있음. 본인 분야에 크게 좌우되니 잘 알아볼 것.
내 경험으론 실험 랩인데 박사 없이 3개월도 안걸린 걸 봤음. 대충 학생이 논문 쓰기 시작한게 보이면 세팅 끝났다고 봐도 무방함
2. 환경: 교수님이 적극적인거랑 별개로 교수님도 일이 처음인지라 잘 안풀릴 가능성도 있음. 예로 과제 못따서 돈이 부족한 경우가 있음. 이건 순전히 교수의 역량에 달린 거라 신생 교수는 뭐라 판단할 수 없음. 100% 운임.
3. 선배가 없음: 혼자 알아서 공부하고 졸업 플랜 짜야함. 근데 이건 오히려 복권이 될 수도 있는게, 적극적인 교수님은 본인이 나서서 가르침. 교수님 성향을 잘 보고 판단
2020.09.08
2020.09.08
2020.09.08
2020.09.09
2020.09.09
2020.09.09
2020.09.09
2020.09.09
2020.09.09
2020.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