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고등학생 현 고2 대학 진학

2025.09.15

2

90

저는 돈굴리는거에 흥미가 있고 사회 시스템이 돈에 의해 톱니바퀴처럼 돌아가는게 좋아서 경제학과로 목표를 잡았었는데요. 요즘 소프트웨어랑 데이터사이언스가 엄청 뜨더라구요 친구들도 생기부를 이쪽으로 많이 채우는거 같고.. 저도 이래야 하나 싶어서요. 그래서 굼긍증이 있습니다
1. 서성한 이상으로 대학은 갈거 같은데 데이터사이언스에 경제부전공하고 경제에 데이터 부전공하고 큰 차이 없나요?
2. 제 가족중에 서성한에서 교수 하시는 분이 계시는데 대학원갈때 유리할까요?
3. 제가 개발은 진짜 하면서 살기 싫은데 데이터에 가면 이런거를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해야한다면 다른 학과 추천도 해주세요..
일단 이과여서 과탐은 하는데 경제로 가도 취업에 걱정 없으면 사탐을 하려 합니다 어차피 정시라서요.(명문고입니다)
4. 수학에 흥미가 있어요. 유망한 학과 추천도 해두세요. 이왕이면 개발 빼고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개

2025.09.15

유망은 뭔 유망 니 졸업할 때 되면 트랜드 180000° 바뀜

2025.09.15

1. 같겠어요? 주 전공은 주 전공이고 부전공은 부전공이에요
경제학자가 코딩할 수 있는 거랑 컴공이 경제 하는 거랑은 달라요
2. 단점이 될 순 있으나 장점이 될 순 없어요
3. 데싸건 뭐건 간에 코딩 관련 업계는 현 추세에서 보면 ai를 만들 능력 없는, 낮은 정도의 코딩 능력이면 아무 것도 못할 가능성이 커요
4. 남들 안하는 거 하던지 통계 대학원 가시던지

글을 보면서 느끼는 게 있다면 하고 싶은 게 정확하지 않아요
하고 싶은 것을 정확히 찾고 그것을 하기 위해 뭐가 필요한지 찾아서 그대로 하세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