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석사 취업에는 논문 1저자가 중요한게 아닌 거 같네요...

2025.08.30

7

312

저는 sci 급 1저자 많이 내면 취업에 큰 도움 될 줄 알았는데...
선배들 말 들어보니 논문 갯수는 큰 변별력을 못주고 그냥 말 잘 듣게 생기고 성격 좋아보이면 데리고 간다는 거 보고 좀 현타오네요 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5.08.30

석사가 1저자를 내는게 보통 불가능하니 인정을 안해주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있어도 아 교수가 많이 도와줬겠구나 생각해버리니

2025.08.31

글에서 말씀하시는 그게 중요한데요.

2025.08.31

정출연에 재직했을때 많은분들께 들은건데, 석사뿐 아니라 박사졸업생을 뽑을때도 매한가지입니다.
결국에는 논문편수많은 잘난사람 뽑고싶은 마음보다, 오랫동안 같이일할수있는 동료를 찾는겁니다.
그렇기때문에 정출연에서도 많은경우 논문 정량적인 실적이 부족해도, 오랫동안 같이 일하면서 사람괜찮은걸 아는사람이 뽑히는경우도 많습니다.
또한 그렇기에 레퍼런스 체크를 어떻게든 해보는거기도 하고요.

대댓글 3개

2025.08.31

지금은 교직에 있는데, 친한교수들끼리 말들어봐도 "아 작년에 실적만 보고 뽑았던 신임교수 완전 잘못뽑았어" 이런말들 정말 많이 듣습니다.
회사든 학교든 연구소든 다들 같이 일할수있는 동료를 찾는거니 당연한거죠.
그래서 저도 연구실 후배들한테 웬만하면 주변사람들한테 잘 대하고, 공동연구할때 좋은모습 보여주면 좋은기회 많이온다고 합니다.
그렇게못한다 하더라도 최소한 연구실내에서 싸워서 적으로 만들지는 말라고 하고요.

2025.08.31

분야가 어디신지 모르겠으나
교수 임용 자체가 실적을 제시하고 펀딩/과제가 있는 가
를 보는 걸로 아는데요

그냥 짬때리거 안해서 그렇게 말하시는 거 아닌가요

2025.08.31

분야/학교/학과마다 당연히 다릅니다. 예를들면 채용방식만 봐도 유니스트 등은 독특하게 전분야 채용하기도 하고요. 또한 학과장 입김이 센곳도 있고, 아니면 이사회 입김이 센 곳들 등 다양합니다.
우선적으로 제가 친한교수들은 국립대~지거국 정도입니다. 즉 육각형인 사람들이 많이 지원안하는 곳이죠. 그러다보니 그중에서 실적만 보고 두명 뽑다가 둘다 엄청 개인주의 성향에 본인한테 득되는 일 아니면 학과일도 안하는 사람들 걸려서 똥밟았다고 말하는거고요.
그 다음부터는 그래서 그 학교/학과는 채용시 래퍼런스 체크 엄청빡세게 합니다.
펀딩/과제 유무는 생각보다 중고경력직 뽑는거 아니면 없는사람들이 대다수입니다. 저도 그랬고요.

2025.08.31

중요하긴 한데 일정 실적을 넘기면 핏이 훨씬 중요하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