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연구자와 AI툴

2025.08.07

2

296

연구자는 항상 말하는 근거가 논문과 문헌에 있어야하는 건 당연한 서실입니다.

다만, 모르는 분야의 과제를 맡거나, 아는 분야에서도 세부적으로 달라 모르는 내용을 검색하다보면,

어느 순간 생각을 AI툴에게 의존하게 되더군요.

항상 의식하면서, AI로 조사를 끝낸 후,
그 내용이 사실인 지 확인하고 제대로 공정 순서 등등을 이해했는 지 늘 스스로 생각한 뒤 제가 생각한 순서가 맞는 비를 AI에게 확인을 받습니다.

물론 제일 좋은 건 해당 분야의 선배님께 여쭤보는 게 제일 좋지만, 다들 늘 바쁘고, 전문 분야가 겹치는 게 없다보니, 교수님 말고는 답변을 물어보기가 빡세더라고요.

결국은 자문자답 하듯 AI를 쓰는데,

저도 할루시네이션 같이 없는 논문 링크를 만들어서 있는 것마냥 보여준다던가,
사실을 반대되는 내용으로 말한다던가
이런 식으로 나오는 AI발 정보들이 꽤나 있다보니 그냥 단순히 위키피디아 보듯 하고 나머지는 스스로 해야하나 하고 고민 중에 있습니다.

코딩같은 경우는, 오히려 적극 활용하라고 말이 나오지만,
그 외의 실험연구 혹은 이론연구쪽 분들은 불신하고 AI 툴로 먼저 알아봤다도 하면 일단 신뢰도가 떨어지니 잘 들으시지 않더라고요(그나마 그 내용 밑에 근거가 되는 논문이나 문헌 링크를 가져와서 보여주면 낫습니다만, 항상 근거 자료가 나오는 건 아니더라고요).

다들 본인만의 기준이 있으실 것 같은데,
말씀해주신다면 감사합니다.

어떻게 본인이 생각의 주체임을 잃지않고 어느 수준까지 모르는 분야나 공부해야하는 분야에 대해 AI에게 물어보는

이런게 궁금합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개

2025.08.07

그냥 단순히 위키피디아 보듯 하고 나머지는 스스로 해야하나 하고 고민 중에 있습니다. -> 맞는 말이죠

AI 툴로 먼저 알아봤다도 하면 일단 신뢰도가 떨어지니 잘 들으시지 않더라고요 -> 당연한거 아닌가요? 근거가 있어야죠. 근거가 없으면 그냥 뇌피셜입니다.

2025.08.08

팁을 드리자면 모르는건 다 물어봐도 됩니다. 다만, ai한테 물어보고 해당 근거자료를 논문으로 찾아달라고 해서 그 논문은 일단 그냥 읽어보세요 그럼 ai가 말한 사실이 정말 진짜인지 알 수 있고 환각 걱정 안해도 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