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4년제 전기공학과 4학년 1학기를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대학원을 진학을 희망하는데 아무것도 잘 모르고 찾아도 안 나와 어려움이 있어 글을 올립니다. 정말 잘 몰라서 보고 도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궁금한 것 1) 2학기부터 자대 전력전자교수님 랩실에 학부연구생을 들어갈 수 있는데, 2차전지 대학원 진학에 도움이 되는지? 2) 대학원 진학에 중요한 것이 어떤 것이 있는지?(준비해야할 것) ex) 학벌, 학점, 어학, 지원동기, 연구생 경험 유무등 3) 2차 전지 설비/생산 공정에는 화학, 신소재, 전자재료등의 전공이 주를 이룬다고 알고있는데, 타대 전기전공자를 대학원에서 원할지? (교수님 연구분야에 따라 다르겠지만 크게는 2차전지와 전공이 달라서 걱정입니다.) 4) 희망 분야 랩실의 학교, 교수님 찾는 방법(하나하나 다 서칭하는건지?) 이 정도가 궁금합니다. 이후에 준비하면 좋은 것들, 추천해주실 만한 루트등 편하게 말씀해주시면 됩니다. 현 스펙 현재까지 총 학점 4.0, 전기기사 필기 합, 어학은 따로 준비를 안 해놔서 아직은 없습니다. 졸업 전까지는 오픽 ih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차 전지 재직중이신 분, 관련 대학원생 분들, 대학원 진학 준비중이신 분, 다른 랩식 대학원생 분들 상관없이 모두 답변해주시면 감사히 보겠습니다! 관련 전공자가 아니더라도 답해주셔도 좋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개
2025.05.14
저는 지거국 전기과에서 ky재료과로 넘어온 흔치 않은 케이슨데 3학년 1학기때부터 타 학과(전자공,신소재공학과,화공과)전공수업 들으면서 준비했고 교내 재료 연구실에서 인턴을 1년반동안 했었습니다 일단 지방대 전기과시면 커리큘럼 자체가 전기기사 사관학교식으로 수업받으셨을 확률이 상당히 높다고 생각합니다(우리학교도 그랬음) 그래서 갑자기 2차전지 이야기가 나오는게 의문이네요 2차전지가 유망해보여서 그러는건지?진짜 그쪽에 관심이 있었던건지 모르겠습니다 일단 대학원을 희망하시면 자대 전력전자랩에 가서 경험해보시는건 괜찮은거 같고 잘 맞는다싶으면 자대던 타대던 전력전자랩으로 가는거 추천합니다 정 배터리를 다루고싶다면 아마 ess연계라던지 분산전원이라던지 해서 배터리를 다루시는게 나을것 같고 아무런 준비없이 재료과 2차전지 랩실을 가겠다? ㄹㅇ사고입니다
2025.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