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단순히 남에게 지식을 설명 잘하려고 대학원을 가는거면 애초에 마인드가 잘못된 듯 하네요. 결국 지금 chat gpt에 질문하는 주체는 우리잖아요. 현재 존재하는 지식으론 설명할 수 없는 질문을 하고 그 답을 하려고 연구하는 건데요. 글쓴이는 chat gpt가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하려고 연구합니까? 그런거면 스스로가 연구하기에는 호기심이 많이 부족한거에요.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11 - 그...염병하지 말고 본인 할 거나 잘 하세요 이제 석사 신입이 뭔 남을 평가합니까?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6 - 늦으면 시발 가지말던가 이런글 왜올림?
답정너임?
남자 29살(만28) 석사 입학하면 너무 늦지 않을까요?
27 - 어중간하게 학부만 나온 사람은 이공계 정치인이라 하기에는 애매하고요.
제대로된 이공계 정치인이라 하면 30~40대까지 1저자 논문도 좀 쓰고, 연구비라도 제대로 한번 따본 사람이 되야 의미 있겠죠.
필드에서 축구잘하는 것과 훌륭한 축구감독은 인과관계가 없는 것 처럼, 대통령도 마찬가지 입니다.
이공계 대통령 한번 나왔으면 좋겠네요
13 -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논문을 쓰기 위한 제품 개발ㅋㅋ정부 과제로 20억 10억써서 만들면 아무도 안사용 합니다. 상품성이 하나도 없어요.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20 - 애초에 연구를 할 때 당장 써먹을 수 있냐 없냐가 심사 기준으로 등장하는데 뭔 연구를 하냐?
R&D에서 한국은 대부분 D를 하고 있다고 ㅋㅋㅋ
R을 하면 그거 어디다 당장 써먹냐며 과제 탈락시켜버리는데 연구를 하고 싶어도 못하는게 대부분이다 명문대라고 피해 갈 수 있는 문제가 아니야
논문을 쓸 때도, 연구 분야에서 리딩을 하는게 아니라 남이 해놓은 것에 숟가락 얻는 방식으로 비슷한 논문 찍어내는데 진짜 혁신이 있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교수들의 문제가 아니라 그들이 처한 환경이 문제라고 본다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36 - rnd예산이 포퓰리즘이라니요. 이러니 예산 삭감하는거지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12 - 예비 대학원생을 위한 최소한의 각오 정리해줌
1. 평일 9to21 근무
2. 주말 출근 필수
3. 일주일에 최소 2번 이상 밤 새기
4. 논문 하나 보면, 안에 있는 피규어, 수식, 수치 다 달달 외우고, 참고문헌 전부 숙독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8 - 참고 버틴 다음에 너가 지도교수되면 똑같이 혹은 그 이상으로 갚아주면 됨
지도교수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11 - 한심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15 - 이런 똥글 쓸 시간에 자기개발이나 하세요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10 - 전임교원이랑은 다릅니다. GD가 카이스트에 교수로 초빙된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될듯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10 - 쩝 이런걸 질문이라고 하시는 이유가 뭐죠?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9
석사 과정 남자친구와의 이별
2025.05.01

헤어짐을 고하기 바로 몇시간 전에도 사랑해 보고싶다 했었는데 .. 제가 만나는거에 대해 서운함을 토로했더니 한시간 뒤 진지하게 장문의 톡이 날라왔어요.
감정적으로 받아들이고 답장을 보내니 이틀을 내리 안읽더군요..
1년 좀 넘게 만났는데, 그렇게 다정하고 사랑꾼이었던 남자친구와의 단호한 이별은 참 견디기 힘듭니다..
전 대학원 생활이 얼마나 힘들지 몰랐는데, 헤어지고 난 후 대학원생 생활을 검색하다 여기까지 와서 글을 쓰네요...
저 또한 열심히 하는 남자친구를 보며 자기계발 하고 항상 미래를 같이 꿈꿔왔는데..
그 날 보러와달라는 한마디에 속으로 '자기 일정에만 날 맞추려고하네? 바쁜거 다 이해하고 나도 거기에 맞춰 살려고 공부스케줄을 짰는데!' 하며 감정적으로 답장을 보낸게 이렇게 이별을 다짐하게 만들었네요.
저도 남자친구에게 최선을 다해 사랑했는데, 석사 졸업할때쯤 연락해보면 재회할 수 있을까요..?
미리 대학원생 생활에 대해 알아보고 더 이해해줄걸 참 후회합니다.
김박사넷 블라인드 펌글 김GPT 104 13 8789
교수라는 직업 김GPT 85 25 27184-
35 12 11928
한 대학원 이야기 김GPT 24 23 17756-
63 29 25163
나는 김박사넷이 그저 고맙다 김GPT 54 8 6169
대학원 수준이 너무 높아서 힘듭니다 김GPT 57 43 18188
석사 망한 것 같음 김GPT 0 6 534-
44 95 12633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 명예의전당 171 21 49724-
123 36 99319
연구실을 옮기는 것에 대하여 명예의전당 152 33 24092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지잡대 대학원, 교수, 대학원생
87 - 교수 특
72 - 한국은 보잘것없는 대학을 진작에 청산했어야한다
85 -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111 - 여러분 진짜 건강 잘 챙기세요...
13 - 천재란 무엇일까요?
16 - 연구실에 친구라고 부를수 있는 사람이 있나요?
35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66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0 - 이공계 대통령 한번 나왔으면 좋겠네요
13 - 드디어 제 석사 논문이 accept 되었다네요!
41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17 - (웃으라고 쓰는 뻘글) 교수님 속터지니까 한 소리만 할게요
11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30 - 대학원 들어가는 게 맞을까요?
7 - 지도교수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7 - 랩실 출퇴근시간
12 - 석사 학점 중요? 안중요? (코스웤 중요도)
16 - 일본 대학원 연구생 컨택
9 - 40세 여 일자리 구합니다 (사이버불링후 잃어버린 6년)
8 - 해외학회 진짜 궁금해서 묻는거
14 - 석사 후 취업이 목적이라고 담당교수님께 밝히면 안좋게 보나요?
8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25 - [조언 요청] 재현되지 않는 연구와 조작된 데이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17 -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19 - 카이스트 면접 끝나서 하는 말인데..
11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교수로 임용되기 위한 십계명 - 하이브레인 펌
17 - 지잡대 대학원, 교수, 대학원생
87 - 교수 특
72 - 한국은 보잘것없는 대학을 진작에 청산했어야한다
85 - 여러분 진짜 건강 잘 챙기세요...
13 - 천재란 무엇일까요?
16 - 연구실에 친구라고 부를수 있는 사람이 있나요?
35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66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0 - 이공계 대통령 한번 나왔으면 좋겠네요
13 - 드디어 제 석사 논문이 accept 되었다네요!
41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17 - (웃으라고 쓰는 뻘글) 교수님 속터지니까 한 소리만 할게요
11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18 - 디지스트 하계 인턴 결과
9 -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30 - 랩실 출퇴근시간
12 - 석사 학점 중요? 안중요? (코스웤 중요도)
16 - 일본 대학원 연구생 컨택
9 - 40세 여 일자리 구합니다 (사이버불링후 잃어버린 6년)
8 - 해외학회 진짜 궁금해서 묻는거
14 - 석사 후 취업이 목적이라고 담당교수님께 밝히면 안좋게 보나요?
8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25 - [조언 요청] 재현되지 않는 연구와 조작된 데이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17 -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19 - 카이스트 면접 끝나서 하는 말인데..
11
2025.05.01
대댓글 1개
2025.05.01
대댓글 4개
2025.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