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서울 중위권 학부 3학년 1학기까지 마쳤습니다. 학점은 4.14/4.5고 석차는 3/40~50입니다. 영어 성적은 토익 905점이 끝입니다. 공대에서 컴퓨터공학과 복수전공 중이며 ( 아예 관련 없는 주전공) 컴퓨터공학 전공 과목 평점은 전체 평점보다 높긴 합니다.( 4.37) 2학년 1학기 까지 석차 1등이였는데 복수전공 하느라 전공과목을 7과목씩 듣다가 주전공 학점이 많이 까였습니다. 다행스럽게도 컴퓨터공학 전공과목 성적은 잘 챙기긴 했습니다. 아직 연구 경험은 없고 다행히 자교 교수님과 면담후 좋게 봐주셔서 2학기에 복학해서 ai 연구실 인턴 활동이 가능 할 듯합니다.늦은 감이 있지만 부연 설명을 하자면 복수전공 졸업 요건 때문에 한학기를 더 다녀야 합니다. 계획은 1년 정도 연구실 활동을 하고 지원시기 1년 전에 희망 ai대학원 랩실 컨텍 해보려 합니다.(이 내용은 교수님도 알고 계시고 적극적으로 도와주신다 하셨습니다)복수전공자의 디메리트와 이것 저것 종합적으로 고려 했을때 지원 해볼만한 라인이 어디인지 궁금하여 의견 여쭤봅니다. 추가로 앞으로 이런거 했으면 좋겠다 하는 것이 있다면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교수님께서는 최근 학부생들 트렌드는 학부생들이 제일 잘안다 해서 학교 선배들이나 대학원생 주변에 있으면 정보 얻기 좋다 하셔서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여기에 글 남깁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5.04.28
중위권이 어디인가요? 매번 중위권이라고 부르는 학교들이 있는데, 솔직히 어디를 말하는지 모르겠어요... 중경외시인가요..?
학점 및 석차가 좋은 것 같아 보이지만 지금 ai 대학원 입시가 역대급으로 힘들어진 상황이라서 어디를 갈 수 있다 딱 말하기 어려운 것 같습니다. Ai 연구실들도 이제 다들 자리를 잡어서 TO도 이미 가득차고 있고, 경쟁자 풀도 점점 늘어가는 것 같네요.
그래도 굳이 말씀드리자면 skp부터 다른 학교들까지 다 지원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른 지원자들에게 밀리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보통의 대학원 입시 같으면 서류에서는 웬만하면 붙는다고 할 수 있겠네요. 연구 경험 및 인턴 경험 쌓고 미리 컨택을 하여서 잘 이야기되고 인턴을 할 수 있다면 어디든 충분히 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복수전공자 디메리트는 없는 것 같은데, 컴공과 ai 실력이 의심받지는 않아야겠네요. 연구 경험을 쌓으면서 본인의 연구 세부 분야를 조금 더 잘 알아보고, 본인의 배경지식 및 경험과 잘 얼라인시키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skpky 학부 혹은 이에 준하는 학부 아니면 운이랑 타이밍이 크게 작용하는 것 같네요.
2025.04.28
대댓글 5개
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