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히 MDPI에 내는 논문에 이름이 들어갈 기회가 생김. 주위에서 그런곳에 이름들어가는건 오히려 손해라고 말함.
궁금한 점은 MDPI에 내는걸 사람들이 별로라고 생각하면 그냥 실적란에 안적으면 되는것 아닌가요?
아무리 못해도 본전치기 같은데 사람들이 오히려 손해라고 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노력에 비해 쓸데없는 실적이라는 이유면 이해하겠습니다. 그런데 있는게 오히려 손해인게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퀄리티를 심사하는 경우는 그냥 실적에 안적으면 그만 아닌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2개
IF : 2
2025.03.18
석사의 경우 졸업할때 아무것도 없는것보다는 나음 박사 졸업하는데 논문 다수이고 탑티어 저널도 있고 그 중 한두개 MDPI 섞여 있는건 전혀 문제되지 않음 박사 졸업할때 대표실적이라고 할만한게 MDPI 하나면 심각하게 문제있어보임 박사인데 논문중 상당수가 MDPI면 제법 문제있어보임
대댓글 3개
2025.03.18
제가 주저자는 아니고 살짝 도움을 줬는데 저자로 이름이 들어가는 상황입니다.
저는 그냥 고맙게 받고 이득이라고 생각하는데 주위에서 그런곳에 이름 들어가면 안좋게 본다고 해서요.
추후 임용시장이나 취업시장에서 실적 기재시 mdpi제외하고 기재하면 아무도 모르죠? Mdpi도 좋게 실적으로 봐줄 것 같은 시장에서만 기재하는 식으로 체리피커처럼 하면 이득이 아닌가 해서요.
IF : 2
2025.03.18
네 당연히 문제 없습니다. 임용 노리시면, 그 대학이 mdpi를 약탈적 저널로 규정하고 있는지 보고 실적 입력하시면 됩니다. mdpi 공동저자로 한편이면 아무런 문제없고 필요할때만 기재해서 정량적 실적 늘리는 용도로 활용하시면 됩니다. 혹시라도 누가 질문하면, mdpi이기는 하지만 의미있는 연구였고 주저자가 mdpi에 투고하기로 결정해 포함되게 되었다고 잘 설명하시면 됩니다.
2025.03.18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2025.03.18
본인이 1저자도 아니고, 심지어 1저자라 하더라도 여러가지 본인 논문 중 딱 하나가 MDPI인 정도면 문제 없지 않을까 싶은데.. 그렇게나 MDPI가 나쁜 취급을 받나..
대댓글 3개
2025.03.18
그러게요 없는것보단 낫겠죠?
이름 넣어준다고 하니...
2025.03.18
실적으로 안쳐주는 경우가 있더라도, 오히려 마이너스가 된다고는 생각안하네요 엄연히 인류 사회에 공헌한 하나의 연구인데.. 그런 나쁜 저널의 성장에 도움을 주고 있다! 라는게 주위분들의 주장인걸까요?
2025.03.18
쓰레기논문 많이나오면 검색할때 섞여나와서 이게 맞는소리인지 검증하는데 시간이 걸리기때문에 인류 사회에 오히려 해악임. 내 오래된 생각임.
2025.03.18
손해입니다. 저는 연구비나 임용 심사 들어가서 mdpi 만 있으면 무조건 탈락, 있으면 상당히 감점해서 봅니다. 제 주변에 교수님들과 얘기해봐도 비슷한 분들이 꽤 계십니다.
대댓글 10개
2025.03.18
MDPI가 있는것만으로 감점을 주시는 분은 본적이 없는데... 상당히 편협한 시각이라고 봅니다. 물론 MDPI가 상당수면 안좋게 보이겠지만...
2025.03.18
손해임 윗분 말대로 임용 심사나 연구과제 심사 시 MDPI나 IEEE Access 있으면 저는 그냥 점수 낮게 줌
2025.03.18
MDPI 쓰는 이유가 과제 실적이나 승진 요건 맞추려고 쓰는건데,
좋은 저널이나 BK학회 못쓰는 처참한 수준이라고 밖에 생각이 안들고, 이런 사람들이 무슨 연구 과제해서 연구하겠나 싶어요
2025.03.18
MDPI가 실적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면 그건 부정적으로 보이겠죠 많은 수의 논문이 전통적인 저널인데 거기에 소수의 MDPI 논문이 있는건 그러려니 하고 바라 보지 않나요? 박사학위따고 졸업하는데 MDPI가 대다수다? 이건 자질을 의심해 볼 겁니다 근데 그 후의 경력에서 전통적인 저널에서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다? 그럼 다르게 보겠죠 MDPI나 IEEE Access라고 해서 모두 다 질떨어지는 논문은 아닙니다. 개인적으로 IEEE Transactions에 가기엔 애매하고 그렇다고 논문화를 안시키기엔 아까운 그리고 시간 투자는 더이상 안하고 싶은 경우 OA로 가는 것을 장려합니다. 1년 가까이 소모될 시간적 심적 소모를 일으키기 보다는 빠르게 논문화 시키는게 낮다고 봅니다 이게 이 논문의 질이 상당히 떨어진다는 의미는 아니죠 단, 경험상 리뷰 프로세스가 상대적으로 허술하기 때문에 잘 읽어보고 판단해야 합니다.
2025.03.18
중견 신진 세종 박사 석사 장려금 평가도 들어가고, 외부 대학 임용 심사도 일년에 한번은 갑니다. 저는 무조건 감점하거나 탈락시킵니다.
어차피 임용이야 mdpi 없이 자매지급 이상으로 전부 낸 분들이 되는 구조이니 임용 지원에 mdpi 제출한다는거 자체가 이해가 안됩니다.
2025.03.18
OA랑 무슨 상관인지 모르겠지만 연구 잘하는 교수들 중에 요즘 IEEE TRANS.쓰면서 OA옵션 선택 안하는 논문 거의 못봄 ACCESS MDPI아니더라도 OA는 트랜드임 그냥
2025.03.18
저도 러셀님처럼 무조건 감정하고 있기에 현실 파악 해주시면 좋겠음 내는 순간 평생의 족쇄임 왜 mdpi를 제출했는가 해명해야함 마치 문신처럼
2025.03.18
당연히 수준 높은 연구를 추구하시는 분이 보시기에 Mdpi가 있으면 안좋게 볼 가능성은 있을것 같습니다.
그런데 저에게는 그냥 여러 실적중 하나일 뿐이니 그런 자리에서는 아예 기재를 안하면 결국 손해가 아니지 않느냐는 말이었습니다.
2025.03.18
대댓글 3개
2025.03.18
2025.03.18
2025.03.18
2025.03.18
대댓글 3개
2025.03.18
2025.03.18
2025.03.18
2025.03.18
대댓글 10개
2025.03.18
2025.03.18
2025.03.18
2025.03.18
2025.03.18
2025.03.18
2025.03.18
2025.03.18
2025.03.18
2025.03.18
2025.03.18
2025.03.18
2025.03.18
2025.03.19
2025.03.19
대댓글 2개
2025.03.19
2025.03.20
2025.03.19
2025.03.20
2025.03.20
대댓글 1개
2025.03.20
2025.03.20
2025.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