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피규어나 잘 그리세요
연구실에 피규어 가져가도 되나요?
70 -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각자 하는 연구가 다 다르다 보니 스터디가 오히려 시간 낭비라고 생각되는 것 같습니다. 원래 다들 귀찮은데 그냥 쓰는 것 같습니다. 일단 쓰기 시작하면 어떻게든 되긴 하는 거 같습니다. 다만 처음 작성해보신다면 본인이 읽었던 논문 중 가장 잘 썼다고 생각되는 논문 한편을 가져다 놓고 조금씩 수정하는 방식으로 작성하시면 수월합니다. 원래 창조보단 수정이 쉽기 때문입니다.
혼자 논문쓰려니까 미치겠어요, 러닝메이트가 필요한데 저같은사람 없나요..?
11 - 우리 랩 신입도 괴물이더라... 소변기 옆에서 살짝 훔쳐봤는데 진짜 구렁이 한마리가 또아리 틀고 있음... 진짜 괴물레벨
새로 들어온 석사 친구가 괴물입니다.
73 - 놀랍게도 코딩까지 가지 않고 영어 작문만 봐도 답나옵니다.
요즘 개나소나 GPT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논문 영작 수준이 차이가 꽤 나거든요.
결국 좋은 도구를 줘도 쓰는 사람이 ㅄ이면 결과물도 별로다 입니다
여러분들은 코딩 능력이 필요 없어질거 같으신가요?
21 - 기초는 늘 기초이죠.
Ai는 보조 수단 일뿐.
여러분들은 코딩 능력이 필요 없어질거 같으신가요?
10 - ㅋㅋㅋㅋㅋㅋ 그거는... 그냥 댓쓴이 인성이 특출난걸로...
교수 인성은 그냥 그밑에 몇년 구른 박사 보면됨
9 - 꼭 박사과정, 포닥 인성이 교수 인성을 대변하진 않음
다만 태도가 보이긴 함
박사 or 포닥이 ㅈ대로 한다? -> 높은 확률로 교수가 개차반일 가능성 있음
개차반은 그냥 관심 없는 것 까지 포함함
교수 인성은 그냥 그밑에 몇년 구른 박사 보면됨
13 - 설문연구, 500명 2개월 어려운 일 아니예요.
보통 2주안에 결과보고서까지 해요.
석사졸업 임박 지도교수 무리한 요구
9 - 2인큐는 어쩔 수 없지
교수님 조카랑 한판 함
13 - 그럼 이제 교수님이랑 친인척 관계가 되는 거임?
교수님 조카랑 한판 함
9 - 대학원은 인기 학과나 랩실말고는 항상 인원이 부족하므로 보통 교수님 입김이 어느 정도 작용하기 때문에 컨택 성공하면 웬만하면 입학할 수 있습니다 오히려 과기원 쪽이 그런 게 더 없어서 컨택 성공해도 원하는 연구실 못 가거나 떨어진다고 하더라고요. 그렇지만, 구두로 약속한 내용은 언제든 바뀔 수 있습니다. 원하는 연구가 있어 해당하는 자대 연구실 가는 건 좋지만, 그게 아니라 단순히 더 좋은 학교 가고 싶어서 아무생각없이 말로 꼬신다고 넘어가면 분명 후회합니다. 대학만큼 대학원 진학도 신중하게 진행해야 해요
컨택만 하면 서울대 입학이 그렇게 쉬운가요?
10 - 일단 묘사대로면, 누가봐도 서울대 학벌세탁기 미끼로
성실하고 맛있는 연구실험 노예를 낚시해서 써먹으려는 의도가 만만인데...(3.5 미만이면 특히.)
문제는 만약 님의 목적이 설포카로 최종학력변경+좋은데로 취업가기 목적이면 거절의 여지가 없음. 어쨌든 지거국->서울대면 취업시장 이력서 중에서도 베스트 스토리고.
컨택만 하면 서울대 입학이 그렇게 쉬운가요?
9 - 대학원생은 대학원생입니다. 물론 사적인 연락이나 쓸데없이 주말, 늦은 밤에 연락하는건 예의가 아니지만, 연구나 프로젝트 관련이면 어쩔수 없죠.
그리고 혼나는것도 마찬가지구요. 나이따져가면서 다르게 지도하면 오히려 연구실 분위기 망합니다.
그리고 핵심은 "다른 20-30대 대학원생이면 이해되지만 나는 40대에 가정이 있으니까 불편하다" 는 본인만 차별대우 받겠다는 심보입니다.
아줌마라도 입학하면 동일한 대학원생입니다. 남들 개인 사정 다 봐줄 시간 없어요.
그리고 말씀하신거 들어보면 교수가 유난히 별난것도 아닙니다.
대학원생도 학생이고,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는것이 당연하고, 부당한 지시는 전혀 아닌 것 같아 보입니다. 통제가 아닌 지도라고 생각하세요.
글에 정보가 얼마 없어서 그렇지만, 업무시간에 "개인공부"는 하면 안되는거고.. 당연히 연구실 소속으로 학교에 있을 땐 연구실 관련 공부를 해야합니다...
과목도 대학생처럼 듣고 싶은 거 듣는게 아니고요... 대학원 수업은 더 specific해서 오히려 강의해주시는 교수님도 학생들 걸러서 받는 경우가 태반입니다.
40대 박사과정생 여자가 교수님 조교하며 느낀점
16
학위와 사회성
2025.03.14

근데 요즘은 따지는 어투가 많아지고 제 자신이 좀 깐깐해진 것 같습니다. 스몰 토크할때는 집중도 잘 안하고요.
관심분야와 생산적인 대화를 할때만 눈이 희번뜩 하는데, 그마저도 누가 1차원적인 말이나 핵심을 벗어나는 말을 하면 속으로 '그래서 근거는?', '이런말을 왜 하지?' 이런 생각이 듭니다.
속으로만 생각하면 괜찮은데 문제는 밖으로 티가납니다. 저도 모르게 어느 순간 캐묻고, 따지고 있습니다.
다행히 제가 눈치는 빨라서 상대방들이 부담스러워하는 것 같으면 얼른 발언을 마칩니다.
스스로 요즘 힘든가? 생각했는데 그건 또 아닙니다. 생각없이 살았던 지난날 그 어느때보다 지식을 넓혀가는 과정이 재밌습니다.
인생에 있어 사회성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이대로 교수님들처럼 불만가득 깐깐학자가 될까 고민입니다.
졸업하면 원래성격이 돌아올까요?
슬픈 국내 AI의 현실 명예의전당 145 39 46440
요즘 글 올라오는 꼬라지보니 개혁이 필요하다 명예의전당 121 12 13984
박사과정 밟으면서 점점 드는 생각들 명예의전당 273 43 45060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이제 누구한테 논문 넘겨주고 이런 거 못하겠네
17 - 학부연구생 저자 제외 관련 질문입니다
28 - 의대 자퇴 고민중입니다.
24 - 교수 인성은 그냥 그밑에 몇년 구른 박사 보면됨
10 - 교수님 조카랑 한판 함
7 - 공동 1저자 순서 중요한가요?
12 - 논문 투고 후 실수 발견
11 - 컨택만 하면 서울대 입학이 그렇게 쉬운가요?
15 - 제가 대학원 간판에만 눈이 먼걸까요...
8 - 교수님이 대학원생들 연구실에 얼마나 자주 들어오심?
12 - 포닥과 포닥지도교수 관계?
7 - 제가 mz인건가요 선배가 꼰대인건가요
11 - GPT로 영어로 논문을 작성하거나 다듬는 것에 대해
7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141 - 이제 누구한테 논문 넘겨주고 이런 거 못하겠네
17 - 학부연구생 저자 제외 관련 질문입니다
28 - 의대 자퇴 고민중입니다.
24 - 교수 인성은 그냥 그밑에 몇년 구른 박사 보면됨
10 - 공동 1저자 순서 중요한가요?
12 - 논문 투고 후 실수 발견
11 - 컨택만 하면 서울대 입학이 그렇게 쉬운가요?
15 - 제가 대학원 간판에만 눈이 먼걸까요...
8 - 교수님이 대학원생들 연구실에 얼마나 자주 들어오심?
12 - 포닥과 포닥지도교수 관계?
7 - 제가 mz인건가요 선배가 꼰대인건가요
11 - GPT로 영어로 논문을 작성하거나 다듬는 것에 대해
7
2025.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