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면 현 시점에서 어떤 것을 해야 도움이 될까요? 학연생은 연구실이 사람이 꽉 차서 안받아주십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대댓글 1개
2025.01.17
연구실이 지구상에 그곳 하나밖에 없어요? 여기서 들었던 변명중에 가장 신기한 변명이네
2025.01.1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토플 공부 ㄱㄱ
2025.01.17
타대 학부연구생이라도 알아보세요. 지금까지 아무것도 안했는데 붙을리는없죠. 대학원에 입학하더라도 연구실에 들어가지못하면 소용없습니다. 요즘 학부생때부터 다들준비하는데 그런 지원자들이랑 비빌려면 뭔가를 해야죠. 노션에 정리하는건 무조건해야되는거고 뭔가가더있어야지 지도교수입장에서도 뽑을려고 합니다.
2025.01.17
입시에는 전혀요?
2025.01.17
학벌이나 학점이 애매하면 지금 sci 논문을 쓰던가, 인맥으로 가던가 밖에 없을 것 같은데
2025.01.18
타대학 인턴이라도 해야지 뭐 학벌 학점 다 안좋은데 누가 뽑고 싶겠어
2025.01.19
난 동의! 해보세요 ㅋㅋ 좋게보는 사람들도 있을꺼에요!!
2025.01.20
입시에 도움이 되기보단 연구를 준비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겁니다
2025.01.20
그런데 그 블로그는 거기 있는 교수님들이 보시기라도 하나요?
2025.01.20
좋은 마음이지만 블로그는 입시에 도움이 안됨...그래도 해보면 나중에 분명 도움이 될거임
2025.01.21
그런 학부생 한 명 봤는데 다들 신기해했습니다. 얘 뭐냐며 ㅋㅋㅋ 전문대에서 학부 편입한 특이한 케이스였는데, 그게 대학원 입시에 도움이 될거라 생각하고 한 것이었군요.
전혀 도움 안됩니다. 석사생들도 첨 들어오면 논문 읽으면서 헤매는데, 학부생이 논문을 읽어봤자 뭘 이해하겠어요. 어차피 학부생이 대학원 연구실에서 나오는 연구를 이해할거라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 그런거 아무 의미 없습니다. 특히 요즘처럼 ai로 몇 초만에 그런 리뷰같은거 뚝딱 만들어낼 수 있는 세상에요
2025.01.17
2025.01.17
2025.01.17
2025.01.17
2025.01.17
2025.01.17
대댓글 1개
2025.01.17
2025.01.17
2025.01.17
2025.01.17
2025.01.17
2025.01.18
2025.01.19
2025.01.20
2025.01.20
2025.01.20
202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