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와는 상황이 다를 수도 있지만, 소통 중에는 A가 B에게 ~가 끝나면 내게 알려줘 이렇게 서로 이야기 나누었는데, B가 상황을 update안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도 사실 소통이 안된다고 보시면 되지요.
대댓글 17개
쑥스러운 피에르 페르마작성자*
2025.01.13
B에게 싱황보고를 원하는데 B가 원하는것만큼 충분히 보고하는 사람이 아니라면 A가 B에게 얼마만큼 보고하라, 시간단위로 보고하라 요청하면 되는 부분입니다. 자기 생각대로 상대방이 안했다고 상대방을 소통장애 있는 사람으로 만든다는건 정신병입니다
2025.01.13
A가 선배나 상사라면 작성자 생각이 굉장히 잘못되었습니다. 보고는 부탁이 아니라 시키는거구요. 상사는 보고가 맘에 안들때 지적하는겁니다. 상사가 부하한테 이러이러하게 여기까지 얼만큼 몇시간에 한번씩 보고해 주십시오 하고 부탁하는것이 아닙니다. 작성자는 단단히 착각하고 있네요
2025.01.13
물론 대등한 동기간에 그러면 정신병이 맞습니다.
쑥스러운 피에르 페르마작성자*
2025.01.13
상식적으로 다른 사람의 생각은 말하지 않으면 알 수 없습니다. 명확히 지시 못하고 원하는걸 안가져왔다고 하는건 정신병입니다
쑥스러운 피에르 페르마작성자*
2025.01.13
말하지 않아도 자기 의도를 100퍼 이해해주길 바라고 주파수가 딱 맞길 바라면서 자기의도가 한번에 안먹히는 사람이 들어오면 이상하다 소통안된다 능력 없다 하며 내쫓는게 너무 만연해져있어서 그게 맞는줄 아는 사람이 많은데 정신에 문제 있는겁니다
2025.01.13
아니요 이해를 못하거나 해석이 다를 수 있는 부분이 있으면 지시받는쪽에서 물어봐야 하는겁니다. 말하신대로 다른 사람의 생각은 말하지 않으면 알 수 없는게 상식이기때문에 시시하는쪽은 지시받는사람이 질문이 없으면 이해했다고 간주합니다. 이해를 못했거나 불명확한 점이 있으면 부하인 쪽이 먼저 물어봐야 합니다. 말씀하신대로 예를 들면 몇시간에 한번씩 보고해야 할지 모르겠으면 지시받을때 '지시받은 쪽이'물어봐야 합니다. 물어보지도 않고 대충 하루에 한번 보고하면 되겠지~하다가 깨졌다? 지시받은 쪽의 잘못입니다.
2025.01.13
'말하지 않아도 자기 의도를 100퍼 이해해주길 바라고 주파수가 딱 맞길 바라면서 자기의도가 한번에 안먹히는 사람'을 원하는 쪽은 글쓴이입니다. 이만큼만 보고하면 되겠지가 아니라 이만큼 보고하면 되겠습니까? 하고 먼저 물어봐야 하는 겁니다. 상사는 부탁하는게 아니라 지시하는 것이고 당연히 부하가 질문이 없으면 알아들었다 생각합니다. 말하지 않아도 자신을 이해해주길 바라는건 지시받을때 물어보지 않고 자기 보고를 이해해주길 바라는 작성자네요.
2025.01.13
안먹히는 *먹히는
쑥스러운 피에르 페르마작성자*
2025.01.13
해석이 다를 수 있는 부분을 부하가 먼저 물어봐야한다 --> 개꼰대 대화의 물꼬는 윗사람이 먼저 터주는게 맞죠 해석이 다를 수 있는 부분은 바보가 아닌 이상 모르고 그렇게 지시하진 않았을거고 그냥 엿먹으라고 한거면서 뭘 물어봐요 ㅋ 그런 꼰대는 물어보면 더 뭐라함
2025.01.14
윗사람이 먼저 터주는 대화의 물꼬와 친절한 설명은 의무가 아니라 배려인데요. 배려는 당연한게 아닙니다. 앞으로 글쓴이가 만날 수많은 상사가 그 배려를 당언하게 해주지 않을 겁니다 배려하지 않는 것은 아름답지 않을 수 있지만 글쓴이가 말한 것처럼 정신병이 아닙니다. 생각을 고치시기 바랍니다.
쑥스러운 피에르 페르마작성자*
2025.01.14
저는 계급을 떠나서 상대방한테 최소한의 친절과 예의는 의무라고 생각하는데요? 상하관계는 아랫사람 소처럼 부리고 개소리하는데 윗사람이라고 머리 조아리는 관계가 아닙니다.
2025.01.14
지시에 따른 사항을 이해하지 못했거나 애매하면 하급자가 상급자에게 질문하여야 하지 상급자가 하급자에게 구구절절 설명해주어야하는것이 아니다란 주제에서 갑자기 아랫사람 소처럼 부리고 개소리하는 상급자 이야기로 논점을 틀어버리시네요. 남에게 친절을 강요하지 마시고 남이 친절하지 않다고 그 사람을 정신병자로 몰아가지 마세요. 작성자 생각이 어떻던 친절은 의무가 아닙니다. 소통을 원하시면 먼저 시도하시고 소통이 부족하단 이야기를 들었다면 노력하시기 바랍니다.
쑥스러운 피에르 페르마작성자*
2025.01.14
친절하지 않고 배려없는 사람과 딱히 소통히고 싶지 않고 남에게 소통이 부족하단 소리 하기 전에 자기 소통방법울 고치는게 먼저입니다 소통을 한방향으로 하려는 생각이 문제가 있는겁니다
2025.01.14
윗사람에게 친절, 배려 강요에 자기보다 윗사람이 태도를 고치는게 먼저라니... 할 말이 없네요. 랩실 나와서 개인사업하시기 바랍니다.
쑥스러운 피에르 페르마작성자*
2025.01.14
그리고 저랑 친절의 의미가 다른거 같은데 제가 말하는 친절은 소통하는데 요구사항을 상대방 눈높이에 맞게 상대가 이해하게 하기위에 최선을 다하는겁니디. 이거는 선택이 아니라 의무고 그럴 생각 없으면 소통 하면 안됩니다. 더욱이 자기 맘대로 말해놓고 상대방을 장애있는 사람으로 만드는건 정신병 밎습니디
2025.01.14
이건 명확하네 ㅋ
2025.01.15
요구사항을 상대방 눈높이에 맞게 상대가 이해하게 하기위에 최선을 다하는 것.이건 명확한 친절이고 선택사항입니다. 특히 지시하는 쪽에게는요. 대부분의 사람은 글쓴이에게 더이상 일말의 친절도 베풀지 않습니다. 사회는 학교가 아니고 더이상 글쓴이에게 친잘함이 디폴트인 선생님은 없어요.더이상 댓글로 왈가왈부할 필요가 없는 주제네요. 어차피 살아가다 보면 온세상을 정신병자 취급하거나 글쓴이가 생각을 고치게 되겠죠.
2025.01.12
대댓글 17개
2025.01.13
2025.01.13
2025.01.13
2025.01.13
2025.01.13
2025.01.13
2025.01.13
2025.01.13
2025.01.13
2025.01.14
2025.01.14
2025.01.14
2025.01.14
2025.01.14
2025.01.14
2025.01.14
2025.01.15
2025.01.12
2025.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