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h 자연대에 재학 중인 학생입니다. 대학원 진학을 하려고 하는데 학점 때문에 SPK 가기는 어려울 것 같고... YK 가기에는 굳이?라고 생각됩니다. 왠만하면 박사까지 하려고 하는데, 찾아보니깐 SPK 박사 입시는 SPK 석사 입시만큼 치열해 보이지는 않더라구요.
학석박 SSH - SSH - SPK랑 SSH - SPK - SPK는 어느 면에서 차이가 있나요? 지금 제가 생각해봤을 때는 코스웍에서 도움되는거 말고는 없어보여서 질문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4.10.22
차이없음.
2024.10.22
박사입시는 컨택한 사람만 하는거라 쉬워보이는거임. 컨택 하기 쉽지않을텐데
대댓글 3개
2024.10.23
개인적으로 이말에 동의합니다. 케바케이긴한데 능력이 비슷하다면 그 랩에서 석사한 사람을 박사과정 바로 진학하게 하는걸 교수님들 입장에서 선호하긴해서...이미 마감인경우도 있습니다.
2024.10.23
헉 그래도 ssh인데 컨택 어려울까요..?ㅜ
2024.10.25
ssh가 뭐라고
2024.10.23
박사를 유학갈 거 아니면 굳이 석박 나눠서 가야할 필요가 있나 싶네요(서성한이든 서포카든).. 차라리 석박통합으로 컴팩트하게 하고 포닥을 가는 방향을 고려하심이 어떨까요? 또 대학원은 컨택이나 입시과정이 워낙 랩실마다 변수가 있기 때문에 서포카 박사입시가 어렵냐 석사입시가 어렵냐 이렇게 일반화하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차라리 가려는 목표 랩실을 먼저 정하고 컨택을 인턴을 하든 하면서 이후 상황을 판단하시는게 효율적인 접근이라 생각합니다.
2024.10.24
일단 자연대로 진학하신다면 SPK는 석박통합으로 많이 뽑기 때문에 석박통합이 박사 TO를 먹는거라 실질적으로 석사지원자와 박사 지원자가 같이 경쟁합니다. (공대 중 통합으로 안뽑는 곳은 석사와 박사 TO가 따로) 물론, 박사 입시는 석사보단 면접에서 기술적인 것을 덜 묻고 지도교수와의 컨택 여부나 연구 계획에 대한 내용 위주로 물어 컨택이 되었다면 석사보단 면접에서 수월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결국 TO를 나눠쓰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석사들과 경쟁하는 셈이어서 더 쉽진 않습니다. 만약, 석사 박사 따로 뽑는 공대쪽으로 지원하시면 입시 합격은박사쪽이 훨씬 쉽습니다. 다만, 이쪽은 내부진학자가 확정적으로 박사 TO를 소모해버려서 컨택 난이도가 극악입니다.
대댓글 2개
2024.10.24
정리하자면 통합으로 뽑는 과는 합격과 컨택 난이도 모두 석박통합과 박사에 있어 큰 차이가 없습니다. 석사 박사 따로 뽑는 과는 박사가 합격난이도는 더 쉬우나, 컨택 난이도는 훨씬 어렵습니다.
2024.10.24
이해됐습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ㅠ!
2024.10.24
근데 진짜 애매한게 ssh에서 박사로 spk가려면 sci실적 2편정도 있어야 하는데 그 실적이면 자대에서 하던연구하지 굳이 박사를 옮기나 싶고
자대에서 실적이 안나오면 옮겨야하는 상황인데 받아주는 사람이 없어서 못감
대댓글 1개
2024.10.24
제가 고향이 경남이라 p가고 싶은게 있었습니다..답변 감사해요!
2024.10.24
그냥 가지마! 기본이 안됐네!
대댓글 1개
2024.10.24
ㅠㅠ
2024.10.25
ssh 에서 석사를 하실거면 석사 후 미국 유학이 좋아보이고 국내 박사를 하실거면 통합으로 SPK 가 좋아보입니다!
2024.10.22
2024.10.22
대댓글 3개
2024.10.23
2024.10.23
2024.10.25
2024.10.23
2024.10.24
대댓글 2개
2024.10.24
2024.10.24
2024.10.24
대댓글 1개
2024.10.24
2024.10.24
대댓글 1개
2024.10.24
2024.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