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카이스트 회로랩으로 돼있는데 실적은 바이오만

2024.10.20

8

1464

제목 그대로 회로랩으로 분류돼있는데 실적은 바이오 관련 그것도 회로랑 무관한 바이오, 초음파 분야로만 나오면 왜 그런 거죠?
그냥 연구 분야가 다각화돼있는데 잠깐 회로분야가 주춤한 거라고 보면 되나요?
진학하게 되면 회로 하러 갔는데 가서 바이오로 빠지는 걸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4.10.20

애초에 의료기기 관련 분야를 연구하는 분이셨던 것 같아요. 어쨌거나 회로와 유관한 연구를 하시기 때문에 회로 랩으로 분류가 되어있는 것입니다. 왜 바뇌로 안 가시는지는 의문이지만 카이스트는 원래 몇몇 랩실이 "이 교수님이 왜 아직 이 과에?" 싶은 부분이 조금 있으니 학과 또는 랩 분류보다는 세부적인 분야와 퍼블리케이션 보고 따라가시면 될 듯합니다.

대댓글 2개

2024.10.20

진학하면 바이오 연구 하시게 될 겁니다.

2024.10.20

그렇군요... 큰일 날 뻔 했네요. 감사합니다!

2024.10.20

ㄱㄱㅎ 교수님?

2024.10.21

바이오쪽은 회로를 활용한 응용 분야라서 그럴수 있어요. 회로만 하는게 아니라 회로+바이오를 하는거죠.
회로 분야가 주력인 연구실은 실적이 아무래도 회로쪽에 집중되요.

2024.10.21

그냥 바이오 연구실인듯

2024.10.22

저는 architecture, circuit conference 둘 다 논문내는 사람입니다. 사실 연구를 TR 레벨에서 하기엔 이제 시대가 많이 지났습니다. ISSCC가 여전히 건재하다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많이 계시겠지만 analog만으로는 이제 명성을 유지하기가 힘들 겁니다. AI시대에 일개 연구실에서 digital로 풀칩을 구현하는 건 사실 말이 안 됩니다. 그러다보니 최근 학계에서 살린 주제가 CIM입니다만 이거 솔직히 말해서 working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 없습니다. 그냥 논문 받아 주니까 하는 거죠. 뭐, 이런 문제로 학계의 트렌드를 따라가냐 아니면 살아남을 방향을 모색하냐의 문제에서 video나 bio 등 특정 분야를 타겟으로 잡아 연구를 하다 완전히 넘어가신 분들도 많습니다. 아니면 TR레벨을 벗어나서 이제는 algorithm, architecture 연구만 하시는 분들도 많이 계시구요.

대댓글 1개

2024.10.22

circuit 으로 살아남는 게 쉽지 않다는 걸 느끼고 살 길 찾아나선 랩실일 겁니다 아마도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