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S사 박사 현직, 심심해서 질문받습니다

2024.10.04

43

3615


30중반
기계공학 베이스
S사 DS 연구소 3년차

질문받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3개

2024.10.04

기계공학 베이스로 어떤걸 하나요?
프레시 박사 여자기준 가장 많은 나이가 어떻게 되나요?

대댓글 6개

2024.10.04

질문이 너무 두루뭉실해서 답하기가 어렵네요ㅎㅎ 전공관련해서 반도체 쪽에 적용한다고 생각하세요

예) 유체, 구조 역학 -> 반도체 웨이퍼, 설비, Fab 문제 해결

2024.10.04

프박기준 30초반이 가장 흔하고 중반까지 본것 같네요

2024.10.04

직접 클린룸 들어가는 경우 많나요?

2024.10.04

업무, 부서에 따라 다르겠지만 거의 없습니다.
저는 연구에 필요해서 3년간 10-20회정도 들어갔는데 제가 부서에서 가장 많이 들어갔습니다.

2024.10.04

기계공학베이스로 공정도 담당하시나요?

2024.10.04

네 공정 관련해서도 기계공학자들이 협업 할게 많이 있습니다

2024.10.04

연구소에 석사 비중은 어느정도 될까요..?
박사가 기본인가요?

대댓글 1개

2024.10.04

부서마다 다른데 저희 부서 기준 박사 50% 석사 30% 학사 20%입니다. 박사비율 높은편 입니다.

2024.10.04

박사때까지 하셨던 연구와 실제 산업에서 하시는 연구의 유사도가 높으신가요
아니면 새로 배우는 느낌이신가요

대댓글 1개

2024.10.04

저는 유사도가 높은편 입니다 사바사입니다

2024.10.04

삼수 + 삼전 2년 재직 후 현재 29살에 S대 석사 1학기 중인데 박사 4년 가정했을 때 나이 괜찮을까요?

대댓글 3개

2024.10.04

30중에 입사하시겠네요. 조금 늦은편입니다. 30초가 가장 많습니다.

2024.10.04

회사 다니다 온거는 고려 안해주나요?

2024.10.07

고려해줍니다. 프박 +2년 테이블 제시하겠죠
제 말은 개인적 기회비용과 부서내 인간관계 말씀드린겁니다.

2024.10.04

반연 폭파되나요?

대댓글 1개

2024.10.04

폭파는 확정입니다. 선행부서 위주로만 남길것같네요

2024.10.04

학계(대학 및 정출연) 으로 이직하실 생각은 없으신가요?
만약 그렇다면 이유를 여쭤보고 싶습니다
연봉 지역 등등

대댓글 1개

2024.10.04

정출연은 없습니다. 워라밸 격차는 많이 줄었고, 임금 및 복지 격차는 더 벌어졌습니다. 미래에도 이 트렌드는 바뀌지 않을꺼라 생각합니다.

교수는 지거국 이상만 메리트를 느끼지만 들어가는게 모두다 그렇게 느끼기 때문에 매우 어렵습니다.
지사립보다는 현직장이 나은것 같으며, 교수를 하고싶으면 40후반 이후에 산학협력교수를 하면서 마무리를 해도 되지않을까합니다.

2024.10.04

29에 학위를 시작하는데 (석박통합) 아무래도 나이가 다른 분들에 비해 많다 보니 자연스럽게 조급해지는 것 같습니다. 박사를 취득하면 나이가 30대 중반쯤 될텐데, 기업 입사시 디메릿이 분명 있을까요?

대댓글 1개

2024.10.07

디메릿은 개인적인 입장 (기회비용, 부서내 인간관계 등)일뿐 회사에서는 그냥 경력직 뽑은겁니다.
30중 무경력 프박은 남들보다 2-3년 늦은정도의 디메릿이지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2024.10.04

연구 유사도가 많이 낮아도 괜찮을까요?
기계과인데 거의 고분자스러운 일을 하고 있습니다.

대댓글 1개

2024.10.07

박사 전공 맞춰서 뽑는 부서가 있고 아닌 부서가 있습니다.
아닌 부서에는 전공자가 없거나 매우 부족해서 똑똑한사람 뽑아서 쓰겠다는거죠

취향것 가시면 됩니다

2024.10.04

박사후연구원 2년차입니다. 저는 연구 활동이 즐거워서 교수 말고 다른 직장은 크게 고려해본 적이 없는데요. 기업 연구소에서 논문 작성하는덴 크게 지장이 없는지요?

대댓글 2개

2024.10.05

연구가 즐거우면 회사 가서 더 재미있게 하는 경우도 왕왕 있어요.

프로포절 쓰는 시간에 연구실에서 실험하는데 많은 시간을 보낼 수도 있어요.

논문에 초점을 둔다면 학계에 남는게 좋습니다.

2024.10.07

연구소에 있지만 사내에서는 많이 어렵습니다.
특허는 마음것 쓸수 있습니다.

2024.10.04

박사 졸업해서 삼전 들어가서 성실히 살면 만족스런 인생이 되나요? 금전적으로나, 심리적으로나..
저는 연구에 지친 30초 졸업 직전 대학원생인데, 저축이나 결혼 등 현실적인 것들이 걱정이 되어서요.

대댓글 4개

2024.10.05

저도 이 분의 말씀이 궁금합니다

2024.10.06

이제 석박 1년차인 저도 궁금합니다... 학부로 취업한 친구들 너무 행복해보이네요

2024.10.06

저도 정말 궁금해요,, 이 선택이 정말 후회돼서요

2024.10.07

네 워라밸 좋고, 돈 많이 받으니 학교에 있을때보다 굉장히 만족스럽습니다.

한 3년 다니니 회사에서 할수있는 한계도 보이고, 앞으로 이삶에 안주할지 계속 도전할지 고민하게되네요ㅎㅎ

2024.10.04

박사로 기업 들어와보니 석사에 비해 훨씬 낫나요?
석졸하고 취업하면 30이고 박졸하고 취업하면 34인데 박사를 갈지 말지 많이 고민되네요
학계 생각은 없고, 대기업 들어가고싶은데 업무강도나 미래 진로 등을 고려해봤을때 석박 차이가 하늘과 땅 수준인지 궁금합니다

대댓글 2개

2024.10.07

네 석사랑 박사랑 대우, 인식 꽤 차이 납니다. 특히 연구개발에서는요.

가성비측면에서, 박졸 32살 이내로 끊을수 있으면 무조건 하라고 추천할텐데 애매합니다.

가치관과 현실적 문제들 고려해서 결정하시죠

2024.10.07

박졸 33~34는 에바인가요? 삼성 분위기도 안좋고 해서 고민되긴하네요..

2024.10.05

기계공학 전공하는 대학원 입학 앞둔 학생으로써 질문이 있습니다.

열전달, 열관리 측면에서 반도체 회사의 수요, 중요성이 어떤 정도인지 궁금합니다!!

대댓글 1개

2024.10.07

음.. 질문이 애매한데요
열 관련 난제들 많습니다. 그치만 타분야에비해 더 중요하냐고 물어보시면 아닙니다. 흔한 전공입니다.

2024.10.05

현재 회사분위기 어떤가요

대댓글 1개

2024.10.07

엉망이죠ㅎㅎ 경쟁사한테 기술적이나 금전적으로 밀리니깐요

2024.10.07

과거로 돌아가도 하닉 대신 현 직장으로 가실건가요?

2024.10.08

전직 공정 연구원한테 들은건데 삼성 지금 HBM도 안되고 내부 분위기 안좋다던데, 어떰? SK하이닉스나 마이크론으로 탈출하고 있다던데, 괜찮은지 궁금. HBM은 SK한테도 안되고, 파운더리는 TSMC한테 안되고.... 이번 어닝쇼크에도 사과만 있지 비전은 없다는게 중론.......

2024.10.08

반도체 박사 졸업 후 사기업 취업 시 대학원 타이틀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저는 인서울 중상위권 석박 중인데 시간을 좀 들여서라도 더 높은 학교로 옮기는 선택이 나을지 1년이라도 더 일찍 회사로 취업하는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박사졸로 사업부에 배치된다면 연구소보다 많이 차이날까요?

2024.10.08

연구소에서 석사는 학사랑 똑같이 취급받나요?
하는 일, 미래 커리어 등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2024.10.09

안녕하세요. 우선 질문받아주셔서 감사하구요.
진리의 사바사, 부사부, 랩바랩을 감안하여 러프하게 물으니, 러프하게 답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박사 중 미박 비율은?
2. 현재 미박중. 졸업 후 미국 인더스트리에서 일하다 경력 쌓고 한국 귀국 희망 예정입니다. 미국 직장 경력직 이직이 많나요? 한 10년 정도 경력이면 어느정도 직위로 이직되나요?
3. 생각하시는 삼성연구소와 비슷한 급의 다른 회사의 연구소는?
4. 러프하게 임원에 대해서. 직원 대비 비율 / 어떤 사람들이 되는지 / 회사에서 되고 싶어하는 분위기인지

감사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