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마이닝 연구실에 계신 선배님, 혹은 졸업하신 선배님이 계시면 도움을 좀 받고 싶어서 이렇게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저는 막 연구를 하고싶다... 기 보다는 실제 필드 데이터를 이용해서 적합한 모델을 만들어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고 싶거든요... 예를 들자면 고객 데이터들을 이용해서 대출을 해줄지 안해줄지 분류하는 모델을 만들어본다거나 이런 것들이요.
근데 머신러닝 내지는 데이터 분석 분야에서는 채용 공고를 보니까 석사 우대가 많아서요.
듣기로는 머신러닝 분야가 워낙 뜨고 있고 계속해서 새로운 논문들도 나오다보니까 랩실 생활을 해본사람을 선호한다 이런 말도 어디서 주워들은거같고...
취업을 하기 위한 발판으로 데이터마이닝 연구실 석사 진학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Sallust*
2019.02.21
DM/ML 분야면 석사 2년 하는것도 괜찮은 것 같네요.
2019.02.21
'Sallust'님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혹시 이쪽 분야에서 공부를 하거나 현업에서 일하시는분이신가요?? 혹시 왜 석사를 해보는게 괜찮다고 생각하시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Sallust*
2019.02.21
넵 국내서 박사과정 하고있어요. 머신러닝이 핫하긴 한데 단순히 쉽지만은 않아서.... 학부졸업생 보다는 2년동안 대학원에서 데이터분석을 깊이 하고 이것저것 공부도 하고 맨땅에 헤딩도 해보고 시행착오도 해보고 논문도 쓰고 해서 노하우가 쌓인 인력을 훨씬 선호할 것 같네요.
2019.02.21
석사를 한다는 가정하에, 어떤 준비들이 되어있어야할까요? 제가 머신러닝을 하고 싶다고 마음먹은지가 얼마 되지않아서 선형대수도 모르고(머신러닝이 들어가 있는 논문같은거 읽을때 필요하다던데 이렇게 필요한 과목인지를 모른채 학교를 다녔습니다..), 파이썬도 진로 잡은 이후로 시작한거라 아직은 많이 부족합니다.
랩실 생활을 하려면 수학, 통계 이론적인 지식은 어느정도 준비되어야 하고 파이썬은 어느정도 해야할지...
Sallust*
2019.02.23
저는 걍 딥러닝의 적용만 집중적으로 팠기때문에 수학이나 선대 확통 지식이 그렇게 많이 필요하지 않았어요.
수학적 백그라운드보다는 그냥 딥러닝을 여러 필드에 적용하는 논문을 많이 읽어봐서
딥러닝 사용의 노하우? 가 좀 필요했고요...
파이썬+텐서플로우 연습은 좀 필요했어요.
그런데 더 넓은 의미에서 머신러닝을 하시려면....
제 경험으로는 선형대수는 그렇게 깊이 알고있어야 한다는 느낌은 못받았고요...
오히려 확률통계를 잘 몰라서 벽에 막혔던 기억이 많네요.
그렇다고 수학 관련 공부를 따로 하기보다는,
그냥 머피책이나 비숍책 둘 중 하나는 원서로 구매해서 정독해보는게 좋겠네요.
머신러닝에 필요한 수학 지식도 적당히 설명 잘 되어있으면서 머신러닝 전체를 잘 가르쳐 주는 책이니..... 대신 책의 난이도는 좀 있을거에요.
그리고 파이썬도 연습 많이 해두시면 분명 도움 됩니다.
2019.02.25
오 머피나 비숍이라는 저자는 전혀 몰랐는데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약간 이 분야의 고전(?) 같은 느낌의 책인가보네요.. 파이썬은 기초부터 다지고 있고 앞으로도 관련 라이브러리 비롯해서 공부해볼 생각입니다.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2019.02.21
2019.02.21
2019.02.21
2019.02.21
2019.02.23
2019.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