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통보할 의사가 없었다고 하지만, 사실상 통보나 마찬가지죠. 지도교수님께서 학연생 못 그만두게 한다고 계속할 건 아니었잖아요? 그러니까 통보죠. 그 부분은 앞으로 조심하면 될 문제라 생각합니다. 근데, 대학원도 아니고 학부 졸업인데 글쓴분이 졸업 요건이 된다는 가정 하에 교수님께서 졸업을 막는 것이 가능한 부분인지 모르겠습니다. 협박성 멘트일 가능성이 높죠. 진짜로 저 문제로 졸업을 못한다면, 저라면 인권센터든 뭐든 다 신고할듯하네요.
학부연구생인 저와 교수님 마찰로 인해 졸업이 불투명해졌습니다.
45 - 아니 원래 spk yk ist ssh 여기 인공지능 대학원 진학이 이래 어렵습니까? 누구나 가는 기회가 열린곳 아니였어요?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18 - 인터넷 세상이 다 그렇죠 뭐,,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15 - 인터넷만 보면 다들 서울대 교수임 ㅋㅋㅋ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51 - 아니 뭐… 평생교육원 같은게 누구에게나 열린 기회인거죠. 누구나 이름대면 알만한 명문대에서 실제 연구진 양성을 목표로 인류첨단의 지식을 가르치는 곳이 누구에게나 열린 기회일수야 없죠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19 - 인터넷은 허언과 뻥 소수의성공자만 글씀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22 - 실제로 진학한 사람들은 보기만하지. 글 별로 안씁니다 ㅋㅋ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19 - 인터넷만 보면 대학 스카이도 가는 것도 쉽고 대기업에 취업하는 것도 쉽지 않나요ㅋㅋ 대충 그 정도 느낌이라 보면 될듯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15 - 제 후배라고 생각하고 가감없이 말씀드리겠습니다. 한국 사회에서는 꽤 건방지다고 받아들여질 만한 제안입니다. 저런 말은 '당신이 교신저자 역할을 못하지 않았냐 / 나는 당신 없이도 이 논문 쓸 수 있었다' 의 완곡한 표현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으니까요. 물론 그럴 의도는 전혀 아니실테고 교수님도 그걸 아시겠지만, 예민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물론 지도교수와 학생 사이의 신뢰가 있으니, 이런 우려까지 미리 말씀드리며 그럴 의도가 전혀 없다는 것과 함께 말씀드리면 거절은 하시더라도 화내거나 실례라고 생각하시지야 않을 것 같습니다만, 좋은 관계를 굳이 두드려볼 필요 있는가, 하는 생각이 드는 것도 사실입니다.
박사과정생이 지도교수님께 공동교신저자 등록을 여쭤보는 것에 대해 의견을 여쭤보고 싶습니다.
14 - 신임 교수가 바쁜 당연하고 외부 미팅도 많은 게 당연함
미팅 100번 해야 1개 얻음 신임은
근데 자기 실험실 관리도 못하면 망하기 딱좋지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1 - 요즘 연구비 딸려면 AI 무조건 붙려야되서 그럼ㅋㅋ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13 - 맨날 어디 미팅다니시고 밥먹으러 다니시고
미팅 <- 이게 일입니다
밥먹으러 <- 이게 일입니다.
뭐 교수가 박사띠리 교수따리 학부생따리처럼 입.문.서 같은거 보고 공부할줄 아셨습니까?
업계 최정상 사람들이랑 미팅 하면서 밥 먹으면서 트렌드 파악하는것도 일입니다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9 - 1. 신임교수는 첫 3년 정도까지는 수업 로드 때문에 연구할 시간이 없음
2. 신임교수는 연구실 세팅부터 정말정말 행정 잡일이 많음
3. 그래서 재임용은 보통 포닥 때 쓰던 논문들이 억셉되거나 박사/포닥 지도교수님 도움을 받아서 실적 냄
4. 대학원생의 흔한 착각 중 하나가 본인이 공부해서 알려주면 교수가 잘 모를 때 자기는 똑똑하고 교수는 멍청하다고 생각함. 같은 분야라도 학문의 범위가 얼마나 넓은데, 논문 몇 개 읽고 공부했다고 랩미팅 때 교수가 잘 모르는거 같아 무시하는건 진짜 철없는 짓.. 그 교수가 님 연차였을 때는 10배는 더 날아다녔음. 입지와 위치와 상황이 달라진거지 글쓴이한테 무시당할 사람들이 아님
5. 미팅하고 밥 먹으러 다닌다고 표현 하는것도 학계를 아예 모르면서 하는 이야기. 교수들은 최소 글쓴이 포함 대학원생들 했던거 다 했고 그중에서도 에이스였던 사람들이고, 지금은 그들만의 일/연구 하는 방식이 있는거임. 미팅을 술 마시고 노가리 까러 가는줄 아시나
6. AI 넣어서 융합하게 트렌드 따라가고 새로운 도전이고 그런건데 뭘 그렇게 무시하는지 모르겠음. 누구나 처음은 서툰거고, 그리고 원래 연구실의 새로운 연구는 대학원생이 주도하는거임. 님이 그렇게 실력키워서 나중에 교수되면 님 제자가 똑같이 하고, 그러면서 학계가 순환하는거.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19
33살에 뒤늦은 공부 중인라 섹스
2024.07.13

안한지 사실 3년이 넘는데
불법으로라도 어떻게든 해야 할까요?
섹스가 공부와 연구의 관계에 영향이 있나요?
장난 치는 거 아니에요
30대 후반 만학도의 푸념.. 김GPT 78 14 16024-
94 38 6939
28살에 석사 입학.. 김GPT 2 13 4053
26살이면 너무 늦은나이인가요 김GPT 8 11 10924-
0 3 241
여자 32 박사 취득 너무 늦을까요? 김GPT 9 12 8488
30살에 석사 가는건 미친짓인가요? 김GPT 12 14 6038
29살 석사 어때요? 김GPT 0 7 4303
31살 석사 입학 김GPT 0 12 1013-
72 61 13420 -
127 48 31418
대학원 월급 정리해준다 (공대 기준) 명예의전당 230 77 205601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학벌에 따른 학생 수준 차이" 고발
94 - 진짜 기쁘다
79 - [일반랩 vs 대가랩] 연구 및 논문비교 (과학자를 꿈꾸는 분들에게)
340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410 - ChatGPT에게 이거 먹이면 팩폭당함
9 - 교수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하는 아조씨의 조언
72 - 학부연구생인 저와 교수님 마찰로 인해 졸업이 불투명해졌습니다.
24 - 밑에 학부생 인턴 글 보니깐 요즘 학생들 사람들 관계가 무슨 게임인 줄 아는 것 같음
56 - 지도교수가 석사졸업을 자꾸 미룹니다.
14 - 괴수랩은 아직 여전히 존재하나보네요
19 - 생각보다 컨택이 됐다는걸 자기 주관대로 판단하는 사람들이 많네
19 - 카이스트, 포스텍, 연세대, 고려대 1.5조원 사업 우선권 취득 ㅎㄷㄷ
22 - 정말로 학부생이 ieee aceess나 mdpi 1저자 썼다고 하면 안 믿어 주시나요?
4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19 - 박사과정생이 지도교수님께 공동교신저자 등록을 여쭤보는 것에 대해 의견을 여쭤보고 싶습니다.
39 -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18 - 지방 국립대 3.5 학부생 대학원 라인
11 - SCI논문이 어셉됬습니다!!
10 - GPT의 함정 - 논문 제목 편
11 - 박사과정 최종 합격 후 답변이 없어진 교수님
13 - 서로 다른 랩실 pi 두분에게 공동교신 부탁하기?
16 - 교수가 문제일지 학생이 못하는건지..
11 - 대학원 갈때 학점 의미있나요?
12 - 교수님과의 연구 내용 갈등
10 - 한국 교수들 간의 역량 격차 ㅈㄴ 큰거같지 않냐??
13 -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10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학벌에 따른 학생 수준 차이" 고발
94 - 진짜 기쁘다
79 - [일반랩 vs 대가랩] 연구 및 논문비교 (과학자를 꿈꾸는 분들에게)
340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410 - ChatGPT에게 이거 먹이면 팩폭당함
9 - 교수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하는 아조씨의 조언
72 - 학부연구생인 저와 교수님 마찰로 인해 졸업이 불투명해졌습니다.
24 - 밑에 학부생 인턴 글 보니깐 요즘 학생들 사람들 관계가 무슨 게임인 줄 아는 것 같음
56 - 지도교수가 석사졸업을 자꾸 미룹니다.
14 - 괴수랩은 아직 여전히 존재하나보네요
19 - 생각보다 컨택이 됐다는걸 자기 주관대로 판단하는 사람들이 많네
19 - 카이스트, 포스텍, 연세대, 고려대 1.5조원 사업 우선권 취득 ㅎㄷㄷ
22 - 정말로 학부생이 ieee aceess나 mdpi 1저자 썼다고 하면 안 믿어 주시나요?
4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박사과정생이 지도교수님께 공동교신저자 등록을 여쭤보는 것에 대해 의견을 여쭤보고 싶습니다.
39 -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18 - SCI논문이 어셉됬습니다!!
10 - GPT의 함정 - 논문 제목 편
11 - 박사과정 최종 합격 후 답변이 없어진 교수님
13 - 서로 다른 랩실 pi 두분에게 공동교신 부탁하기?
16 - 교수가 문제일지 학생이 못하는건지..
11 - 대학원 갈때 학점 의미있나요?
12 - 교수님과의 연구 내용 갈등
10 - 한국 교수들 간의 역량 격차 ㅈㄴ 큰거같지 않냐??
13 -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10 - 트럼프 시대, 미국 석박사 유학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생존 전략
68 - 미국 컴공 석사 관련 질문
10

미국 석박사 합격자들이 추천하는 김박사넷 밋업에서 유학을 준비하세요
자세히 보기
2024.07.13
2024.07.13
2024.07.13
대댓글 2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