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서울 중하위권 대학 상경계열 4학년 학생입니다. 우연히 컴퓨터공학 복수전공을 시작했고, 현재 학점은 대략 4.3 정도입니다. (컴공 학점은 조금 더 높습니다만, 복수전공 특성상 1-3학년 수업 위주로 advanced course가 없습니다) 컴공 관련 수상 실적이 있으나 제가 하고 싶은 AI쪽은 아닙니다. 기타 참고 사항으로는 미국 교환학생 경험이 있으며 어학 점수도 나쁘지 않은 편입니다.
실력은 부족하지만 성실함을 무기로 학점을 열심히 관리했습니다. 하지만 역시 실력이 많이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수학은 특히나 그러하구요..
연구 경험은 없고, 이번 방학부터 자대에서 학부 인턴 예정입니다. 다음 학기를 마지막으로 졸업 예정이며, 가능하면 바로 졸업하여 대학원 진학을 하고 싶습니다.
다만 1. 연구 경험 없음 2. 연구 경험 없음으로 인한 추상적 진학 동기 3. 부족한 학부 간판 4. 부족한 실력
등으로 인해, 제가 교수님이어도 저처럼 아직 준비가 되지 않은 학생을 선발할까? 라는 의구심이 들긴 합니다. 하고 싶은 분야는 AI+X, 산업공학, 데이터마이닝 쪽이고, 그 이유는 기술 자체에 집중하는 엔지니어보다는 기술을 토대로 가치를 창출하는 사람이 되고 싶기 때문입니다. 아직 그 이유조차 매우 추상적이라고 느껴지기는 합니다..
욕심으로는 SKP AI/산업공학 대학원에 진학하고 싶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움을 알고 있습니다. (물론 써보긴 하겠지만요) 그마저도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YK나 -ist 대학원에 진학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당장 교수님들께 컨택을 해야하는 시점에서, 그리고 졸업까지 한 학기 남은 시점에서, 대학원 진학을 위해 제가 어떤 활동을 하면 좋을지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4.06.25
학점은 정말 좋으나 기본적으로 비전공자이시고, advanced course도 안들으셨고, AI관련 연구경험도 없으시고 (이번 방학부터 자대 학부인턴을 한다고 하셔도 유의미한 연구성과가 나오기에는 시간이 부족) 수학도 부족하시고 학교도 인서울중하위권이시고
하반기 입학하는 AI대학원생으로서 냉정하게 말씀드리면, 정말 아무도 안가고 싶어하는 비인기랩이 아닌 이상 YK,UNIST는 힘들고, DGIST, GIST, SSH 정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여기도 인기랩은 안될 것 같구요
대댓글 4개
2024.06.25
그리고 DGIST, GIST, SSH에 간다고 하더라도, 저는 하나 우려되는 점은... 지금 4학년 이신데.. 연구경험도 없고 수학이나 AI실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내년에 석사에 진입한다고 하더라도 2년이라는 짧은 기간동안 잘하실 수 있으실지가 의문입니다. 결국 석사로 나오셔서 경쟁할 사람들은 대부분 4년동안 유사전공을 하고 학부연구생을 1~2년하고 석사 2년동안 그동안 갈고 닦아온 역량을 바탕으로 논문 1~3편씩 쓰면서 기업과제도 동시에 하는 사람들이거든요..
2024.06.25
비전공자분들이 복수전공을 통해 AI 석사로 진입할 때 이런 문제가 왕왕 생기더라구요..
2024.06.25
밑에 ai 질투하는 타전공 사람들은 그냥 무시하시면 됩니다.
2024.06.26
솔직히 한국식 AI연구에 수학이 필요한가요? Ai로 감자 잘찾기 or 조금튜닝해보고 잘되네 ㅎ 이런식 아닌가요? 저도 업계사람이고 요구하는 수학적, 공학적 수준치고는 결과가 시원찮은 것은 맞는 것 같구요
한국식 입시수학, 대학1학년 수준 공학수학 미적 선형 이정도는 석사 1학기면 금방 땔 수준인 것 같은데..ㅋㅋ
2024.06.25
한국 ai ㅈ도 없습니다 수학? 가서 하면 되구요 문제없을듯
대댓글 1개
2024.06.25
이런 마인드로 접근해보세요 안 될 거 없습니다
2024.06.25
상경계열이 경제학이 아니라 경영학 등 수학 1도 안 쓰는 곳이면 AI 어림도 없고요. 그나마 경제학 출신 중 수학, 통계 탄탄한 분들이 있긴 한데 본문에 수학 자신없다고 했으니 아닐 가능성이 매우 높겠네요. 최소한 캐글, 데이콘 등 컴페티션 경험도 없을 거고요.
음 … 대학원 가서 하고자 하는 연구 분야를 그저 “AI”로 퉁치는 게 아니라 뭐 CV든, NLP든, GNN이든, 시계열 모델링이든 어떤 세부 분야라도 갖고 와야 조언을 해드릴텐데 그것도 없이 막연한 상태면 조언 해드릴 게 없겠네요.
2024.06.26
작성자분이 이공계열 쪽에 있으면서 수학이 자신없다고 한다면 AI쪽에서 쓰는 수학 별거 없다고 말씀 드릴수 있겠지만, 이공계열도 아니고 수학 자신없다고 하는거면 그 별거 없는 수학도 학습하기 어려울수 있습니다. 저 위에 쓰는 AI 부심넘치는 분이 AI에서 쓰는 수학이 대단한거 마냥 써놨는데 SPK라인 수학 컴공 복전한 사랑 입장으로서 솔직히 대단한 수학을 쓰는 정도는 아닙니다
2024.06.25
대댓글 4개
2024.06.25
2024.06.25
2024.06.25
2024.06.26
2024.06.25
대댓글 1개
2024.06.25
2024.06.25
2024.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