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박사 진학에 대한 고민이 있으며 박사 진학을 하게 된다면 어느 대학까지 갈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현재 제 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SCI 논문 1저자 4편 (JCR기준 상위 5퍼 1개, 10퍼 이내 1개, 25퍼 이내 2개) 공저자 5편 (모두 2저자 입니다)
재료 분야는 다들 논문 실적이 좋다보니 제가 어느 정도 위치이련지 감이 안 잡히네요…
첨언 요청 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4.06.01
ㄷㄷ 실적 좋네요
2024.06.01
연구핏만 맞으면 어디든 가능합니다. 추천서 받고 학점도 괜찮으면 미박 탑10도 가능합니다
대댓글 1개
2024.06.02
대학원 학점 말씀하시는걸까요? 좋지는 않습니다 ㅎ..
2024.06.01
국내인지 해외인지모르겠지만, 학점만 괜찮으시다면 국내외로 좋은 대학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2024.06.01
안녕하세요 혹시 쓰신 논문들이 다 석사기간동안 나오신건가요 ? 아니면 학사 기간동안 포괄해서 나온건가요 ?
대댓글 4개
2024.06.02
학부 연구생 기간도 포함입니다
2024.06.02
실적자체는 SKP 박사졸업생들 하고 비교해도 상위권입니다. 저는 재료쪽은 아니지만 박사학위 받은 사람입니다. 어디까지 가능할까요? 라고 하는것으로보아 흔히말하는 SKP나 YK 등에서 석사학위를 하지 않은것으로 보입니다. 제 짐작이 맞다면 해당 실적에 있어 본인이 직접 한 부분이 어느정도인지 잘 생각해보길 바랍니다. 제가 그동안 서울대라든지 지방대라든지 여러실험실의 수많은 대학원생 케이스를 봐왔는데 석사나 박사 학위기간에 논문실적은 지방대생이 더 잘 나오는 경우가 의외로 흔합니다. 지방대는 교수가 실험 디자인해서 무슨무슨 실험 해오라고 하는걸 학생이 그대로 해가면 교수가 논문 작성해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학생이 초안만 적고 교수가 뜯어고치는 경우도 교수가 논문 작성한다 라고 우리는 얘기합니다.) 서울대 등에서는 교수가 실험이든 논문이든 거의 관여하지 않는 경우가 흔해서 서울대 박사받을때 1저자 1~2편 (좋은 저널 아닌경우도 많아요.) 흔하구요. 만약 본인이 아이디어 내서 본인이 논문 직접 작성해서 저 실적인거면 미국가서 박사받고 들어와서 교수하면 됩니다. (본인의 힘으로 실적 저렇게 낸거면 상위 0.01%의 재능이 있는겁니다. 교수되는건 식은죽먹기죠.) 교수의 도움이 컸다고 생각한다면 박사과정 중에는 실적보다 실력 키우는걸 우선해야할겁니다. 지방대에서 실적만 좋은 박사들 취직 좋은곳 못하는 경우 많이 봤습니다.
2024.06.02
저는 박사학위 받을때 (위에서 말했듯이 재료는 아닙니다.) 1저자는 5% 1편 10% 2편 25% 1편 50% 2편 이었고 공저자는 5편이었습니다. 이정도 실적이 SKPYK에서 박사학위 받는 사람 중에서도 상위~최상위권입니다. 글에 적으신 실적이 제 박사학위 받을때랑 거의 비슷한거로 보입니다. 본인의 실적이 어느정도 위치인건지는 충분히 설명이 됬을듯 하고, 본인의 실력이 어떤지를 스스로 가늠해보길 바랍니다.
2024.06.03
조언 감사합니다 한 번 돌이켜보고 더욱 정진하겠습니다
2024.06.01
와 실적 미쳤네
2024.06.02
와ㆍ아무리 재료쪽 이라도 저정도 실적이면 국내외 상위권 대학원(박사)어디든 가능 합니다 ㆍ 실적도 실적 이지만 짧은 기간에 논문 수도 장난이 아니네요ㆍ 저는 소위 말하는 ist 인기랩에 있지만 박사졸업 까지 저정도 실적을 낼지 의문 입니다 ㆍ 제 스스로 주눅이 드네요 ㆍ
2024.06.01
2024.06.01
대댓글 1개
2024.06.02
2024.06.01
2024.06.01
대댓글 4개
2024.06.02
2024.06.02
2024.06.02
2024.06.03
2024.06.01
2024.06.02
2024.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