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연구능력 평가시 논문 수준 vs 저널 IF?

2024.04.20

10

3598

제목그대로 전문가들이 논문을 평가할때나 임용/채용시 논문을 평가할때 그 논문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궁금합니다.
기본적으로 High IF 저널에서는 좋은 논문이 더 많이 실리긴 합니다만 그렇지 않은 논문도 수도없이 봐왔고 낮은 IF더라도 인용이 많이되고 좋은 논문들이 많은데 연구자 평가가 제대로 저널 수준을 통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사실 대한민국에선 대표실적 낼때도 IF랑 JCR 랭킹다 적어서 내서 그냥 논문의 수준을 보지도 않고 저널 랭킹으로 실적을 가늠할 것 같은 생각이 들것 같아서 궁금증이 듭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4.04.20

논문수준이라는게 저널의 전통성이나 평판인가요? 예를들어 if는 낮아도 게재되기 매우 어렵고 권위있는 저널.

아니면

개별 논문의 퀄리티나 노벨티를 말씀 하시는건가요?

보통 평가자들은 개별 논문의 퀄리티를 평가하기 어렵기 때문에 저널의 명성이나 if로 심사를 많이 하게 됩니다.

대댓글 1개

2024.04.21

제가 생각한 바로는 저널의 전통성이나 평판은 IF랑 크게 다른바가 없는 것 같고 개별논문의 퀄리티나 노벨티였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2024.04.21

평가자들이 본인 분야 전문가들로만 구성될 확률은 떨어집니다. 당신이 타분야 관련 평가에 들어가서 논문 실적을 살펴볼 경우 뭘로 판단할지를 생각해보면 간단합니다.

대댓글 1개

2024.04.21

그렇겠죠? 그냥 평가자가 쉽게 볼때는 그냥 저널 IF 랭크만 볼 것 같네요…

2024.04.21

평가 기준은 그 기관의 수준을 대변하기에.. 좋은 학교일수록 IF같은건 거의 무시하고요. 별볼일 없는 기관일수록 논문갯수, IF같은 정량지수에 과도하게 집착합니다ㅎㅎ

대댓글 3개

2024.04.21

그러면 어떤 평가 기준을 가지고 보나요?

2024.04.21

지원자가 향후 얼마나 기관에 잘 적응하면서 훌륭한 성과를 낼지, 그리고 지원자 전봉 분야가 기관이 원하는 방향과 얼마나 일치하는지, 논문의 퀄리티가 높은지 (본인 능력으로 쓴게 맞는지) 등등 다각도로 평가하는 것이지요.

2024.04.21

기관 수준의 기준이 무엇이죠? 한국 대부분의 기관은 정량 수치로 판별합니다. IF 무시한다는 이야기는 처음 듣네요. 소위 말하는 최고 명문 대학들도 IF, JCR rank를 최우선적으로 봅니다.

2024.04.21

서류 통과하면
발표가 가장 중요합니다.
논문 내용 및 수준이 정말 우수하다면 발표 내용에 담기겠지요. 논문 내용뿐만 아니라 본인의 전반적인 논리성이 중요하고, 발표때 다 드러납니다.

2024.04.22

분야마다 달라......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