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개발직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저와 분야가 다르긴 하지만 예시를 들자면, 삼성전자 xx사업부 회로설계로 들어간다면 입사해서 하는 연구가 대학원에서 하는 연구 과정과 비슷한가요? (주제가 비슷하냐는 뜻이 아니라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이 비슷한지 궁금합니다) 대학원에서는 주어진 주제 혹은 자기가 생각해낸 주제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 나온 결과를 바탕으로 논문을 작성하는 것이 주된 과정이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본인이 제시하고 본인이 주도적으로 연구를 이끌어나갈만큼 흥미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구요. 이에 반해 회사에서 하는 연구는 어떤까요? 사수가 주제를 주고 그에 대한 회로 연구를 하나요? 아니면 본인이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새로운 연구를 진행하는 경우가 있나요? 석사 후 연구개발 쪽으로 대기업을 들어가면 어떤 연구를 진행하는지 궁금합니다. (저는 데이터 분석하는 것은 재밌지만 혼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각해내는 것이 너무 힘들고 흥미가 없어서 박사 진학을 포기했습니다. 연구개발직으로 대기업 입사한다면 이런 스트레스가 똑같이 있을까요?)
2. QA 직무 관해 질문이 있습니다. QA는 주로 문서 작업, QC는 실험이라고 들었는데 맞나요? QA 직무가 주로 하는 일과 하루 일과가 궁금합니다. Lg화학 신약개발 QA 부서에 계신 분이 있다면 댓글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Lg가 아니더라도 다른 기업의 QA 직무를 맡고 계신 분도 댓글 남겨주신다면 저에겐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럼 r&d 연구개발직으로 가면 어떤 업무를 하는지 알 수 있을까요? R&d로 가도 그냥 시키는 일 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2024.02.15
삼전이나 QA를 언급하신 거 보면 전공을 꼭 살리지 않아도 괜찮다는 의미로 판단하고 글 남깁니다. 기본적으로 대기업은 전문업종(연구개발 등)을 제외하고는 전공 보다는 역량(학력, 경력 등)을 우선으로 합니다. LG화학내에서도 화학과는 비중이 낮지 않으므로 개인 역량이 입증 되면 어렵지 않으리라 생각합니다. 화학석사이므로 사업장 별로 필요한 분석역량(배경지식,기기분석,통계분석 등)을 어필하면 유리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석사는 경력으로 인정됩니다. 품질실무는 크게 검사관리QC와 품질보증QA로 나뉩니다만, 기본적으로 공업실무이므로 공업통계 기반의 data 및 결과중심적인 사고가 필요합니다. 최근에는 AI분석에 대한 이해를 하면 더 좋습니다. 품질업무는 산업공학기반의 Risk관리가 기반이므로 이에 대한 이해가 있으면 좋지만, 대부분 회사와서 배우기 때문에 크게 걱정할 일은 아닙니다. 품질업무는 연구업무와 업무 스타일이 반대입니다. 연구는 과제 중심의 목표지향이라면 품질은 유지 및 개선을 위한 관리 중심입니다. 품질이 문서업무가 많다는 의미는 이 때문에 표준을 관리하고 점검해야 해서 나온 말입니다. 이상점이나 특이점을 잘 찾아내고 분석적사고가 있다고 하면 품질업무에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품질부서는 타부서에 비해서 석사비중이 높은 편입니다. 연구에 흥미를 잃으셨다면 오히려 적성에 맞으실 수도 있습니다. 고민이 더 되신다면 기술부서도 있으니 넓게 생각하보셔도 좋을 듯 합니다.
2024.02.14
대댓글 3개
2024.02.14
2024.02.15
대댓글 3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