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국내파 박사가 교수되는데 학벌 vs 경력 뭐가 중요함?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4.02.04

6

3166

학벌은 설카포냐 아니냐, 경력은 정출연 거쳤느냐
뭐 이런거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4.02.04

1. 실적
2. 학벌
3. 경력
1+2로 3을 쌓고, 1+2+3으로 교수가 됨
그래서 굳이 따지자면 실적이 제일 중요

2024.02.04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둘다
실적이 기본중의 기본이고 가당 중요한걸 꼽으라면 운

2024.02.04

안 좋은 학교일수록 자대여부, 기존 교수 잘 모시는지

2024.02.04

실적, 연구비 (과제 따오는 능력)

2024.02.04

여러가지로 경력으로 증명할게 많습니다. 특히 과제수주 능력이라든지, 지도교수를 벗어나서도 독립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하는지 등등 보여줄게 많아요.
그래서 젊고 능력있고 야망있는 검증된 선임들이 대학교수로 많이 이직하는거고요.
나와서 보니 결국에는 능력있는 사람들이면 어떻게든 원하는 직장으로 가게됩니다. 학부/대학원 학벌낮은데 월등한 실적 혹은 정출연 경력등으로 대학으로 옮긴경우 꽤많이 봅니다.
그렇다고 저도 선임에서 학교로 옮긴경우지만, 단순히 정출연 경력 자체를 좋게보는건 아닙니다. 정출연에서 본인의 차별성/장점을 증명하는게 중요해요. 대형과제를 수주하든 탑저널을 쓰든 뭐든지간에요.

2024.02.04

1. 실적
2. 실적
3. 실적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