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안보는게 아니라 사회성이 없기 때문에 교수가 될 실적을 만들 수 있었던 것..
교수 임용 때 사회성은 안 보나요?
52 - 속이는게 아니라 연구비 사정이 여의치 않아서 내린거겠지. 요즘 연구비 따기가 하늘의 별 따기야. 그리고 당연히 교수가 먼저 약속한 금액만큼 못주게되어 미안하다고 했어야되는게 맞고, 글쓴이도 약속한 금액이랑 달랐다면 1학기 때 첫 월급 받았을 때 왜 다른지 물어봤어야지.
인건비 속이는 랩실 탈출해야할까요..
20 - 학위과정은 자기 돈 내고서도 하는 것으로 돈벌기 위한 과정은 아니니 돈 이야기는 학위마치고 취업때 하는게 적절합니다
공대 석박사분들 월급 얼마 받으시나요?
6 - 약속을 어긴건 교수인데 왜 교수사정을 이해해줘야함??
인건비 속이는 랩실 탈출해야할까요..
7 - 실력 키우고 지식 쌓으러 대학원 진학하는거임. 실력도 지식도 충분하면 대학원을 왜 감. 꾸준히 수련해서 계속 발전하는데 의의가 있는거임. 현재 자신의 부족함을 너무 부각시키지 마셈. 미래에 나아질 자신의 모습에 집중하셈. 중요한건 연구를 바라보는 자세임. 물론 당장의 실력도 중요하지만, 교수입장에서 신입생 뽑을때 진짜 중요하게 보는건 학생의 연구에 대한 열정, 지적 호기심, 포기하지 않는 끈기, 성실함 등 연구에 임하는 태도와 자세임. 작성자님은 학부생으로 논문을 쓰고 제출했다는 사실자체로 이미 충분히 증명하고도 남을 정도로 훌륭함. 그러니 너무 주눅들지 말고 화이팅하셈.
연구 재능이 없는 것 같습니다
9 - 박사는 고행을 즐길 수 있는 자들이 소명의식과 재능이 동시에 있을때 적절한 포지션임.
박사과정이 왜 힘든가
15 - 노벨상 타면 출신 유치원도 동문 찾던데… 내가 잘나고 볼 일임.
학부 다르면 동문 취급해주는지 말해봄
11 - 하고싶은 연구를 할 수 있는지는 PI한테 물어보든 연구실 학위과정생한테 물어봐야지. 우리한테 물어보면 답해줄 수 있다고 생각하고 질문하는거임?
3개 대학에 AI연구하는 PI가 한둘인줄 아나.. 전부 다 할 수 있다 / 전부 다 할 수 없다 로 나올 수 없는거 본인이 더 잘 알지 않나?
결국 핑계삼아 더 좋은 대학에 가고 싶다라고 하는 것 같은데, 윗분들 말씀처럼 자대가 정배에요. 그게 마음에 안들면 열심히 했어야죠.
학점 3.6 건동홍 무스펙 대학원 진학
8 - 자대에서도 하고싶은 연구같은거 해볼 수 있냐니 ㅋㅋㅋ 참.. 뭘 하고싶은데요 애초에? 하고싶은거나 관심분야는 있긴 한가요? AI논문이라도 한편 읽어보고 가고싶다 어쩐다 하는건가요? 걍 님같은 분들은 대학원 안가시는게 시간 안버리고 좋을거 같은데..
학점 3.6 건동홍 무스펙 대학원 진학
9 - 진짜 망한게 뭔지 모르네 ㅋㅋ 지방대 2점대 3점대 초반애들 졸업하고 갈 데 없어서 대학원 진학했는데 1년이 다 돼가도록 아무런 결과도 없이 인생 즐기면서 생활하는게 진짜 망한거지.
인생 망한거같아요 조언,쓴소리 다 부탁드려요
14 - 웃긴게 저런 곳에 있는 쩌리 or 애매한급 교수들은 대학원생 탓합니다. 그렇게 능력있고 잘났으면 더 좋은 대학. 설카포로 이직하셔요. 학생들도 학부간판 아쉬우면 대학원으로 좋은곳으로 진학하고, 직장인들도 계속 이직하는걸요?? 그럴 능력이 안되거나 용기가 없으면 대학원생에게 불만 가질 시간에 대학원생에게 시간투자를 더 하시구요~ 하긴 저렇게 생각하니 쩌리 or 애매한급으로 남긴하겠다.
대학원생들이 게으른 이유에 대한 고찰
12 - 학생의 입장으로 생각해 보는 것도 중요하다고 봄.
1. 님에게 아무런 목표없이 힘든일을 하라면 열심히 할 것임?? (동기부여 관련)
2. 학생들이 지도교수를 신뢰하는가?(지도교수의 이기적인 목적으로 일을 시킨적이 있는가??)
잘하고 못하고는 주관적인 부분임. (세계최고 연구그룹에서는 님도 아쉬운점이 많아 보일 수 있음.)
잘 못을 외부에서 찾지말고 본인에게서 나아질 방법을 고심해볼 필요도 있어보임.
대학원생들을 믿고, 개인적인 나의 이익이 있는 것이라면 아예 시키지 않고,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면서도 연구가 될 수 있도록 지도한다면, 대부분의 대학원생들은 스스로 잘 하려할 것임.(물론, 잘하고자 하나, 실제 퍼포먼스는 못 미칠 수도 있고, 그때 지도교수가 잘 지도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봄)
--> 결국 교수가 필요한 이유 중 하나가 교육으로 봄. 현상을 탓하기보다 주어진 환경에서 조금이라도 훌륭한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봄.
대학원생들이 게으른 이유에 대한 고찰
8 - 지극히 공감함
얼마나 오래 앉아서 집중 하냐가 중요한데 위에 언급한 리스트가 우선 집중력 차이도 큼ㅋㅋㅋㅋ
요즘 애들보면 참... 늦게 출근 일찍 퇴근이 기본이고 중간중간 자리비움도 너무 잦음 도대체 뭘 하는지 모르겠음ㅋㅋㅋㅋ
나는 집중하면 화장실 6시간도 안가고 그자리에 쭉 앉아 있는데 왜 그렇게 자주 왔다갔다하는지도 모르겠고
대학원생들이 게으른 이유에 대한 고찰
7
회사에서 보내주는 학위파견 관련 질문드립니다!!
2023.12.21

저는 석사 졸업하고 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회사에서 박사 학위파견을 보내준다고 해서 이것저것 알아보고 있는데, 졸업한지도 지도교수님이 은퇴하신지도 오래되어 물어볼 데가 없네요. 그래서 여기에 질문드립니다.
1. 24년 하반기에 입학을 하게 될 것 같은데, 언제쯤 컨택을 하는 게 좋을까요? 1~2월쯤 하면 될까요? 그리고 컨택을 복수로 해도 괜찮을까요?
2. 컨택한 교수님하고 얘기만 잘 되면, 입학 과정에서 문제가 없나요, 아니면 별도로 준비를 해야 하는 부분이 있을까요? 혹시 여기서도 학점을 보나요? ㅠㅠ 참고로 제가 하려고 하는 전공이 현재 크게 인기가 있는 전공은 아닙니다.
3. 저희 교수님이 은퇴하시기도 했고 석사 때 전공이랑 회사에서 하는 일이 별로 일치하지 않아서, 저랑 인연이 크게 없는 교수님들을 컨택해야 할 것 같은데, 교수님들이 잘 모르는 나이 많은 파트타임 학생을 받아주는 것을 별로 달가워하시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교수님들에게 가장 어필할 수 있는 점은 무엇일까요?(과거/현재의 인연, 학점, 관련 분야 실적, 회사 과제 수주 가능성, 졸업생 취직자리 연결 등)
4. 아무래도 파트타임 박사를 하게 되겠죠? 그럼 세부 분야를 선정할 때, 제가 잘 아는 분야를 고르는 게 좋을지 잘 모르지만 유용한 분야를 고르는 게 좋을지 판단이 안 섭니다. 비슷한 관점에서 어느 학교를 선택해야 좋을 지도 고민입니다. 네임 밸류가 있는 대학을 가는 게 맞는 건지, 저한테 잘 맞는 연구 분야가 있는 학교로 가는 게 맞는 건지. 막말로 제가 학위를 딴다고 해서 교수가 되거나 정출연에 갈 것도 아니고, 학위과정에 풀 에너지를 쏟을 수 있을 것 같지도 않아서... 고민이 됩니다.
질문이 길어졌네요.
우문에 현답 기다리겠습니다.
다들 즐거운 연말연시 되세요.
-
62 23 7487
박사, 해도 될까요 (34세, 여) 김GPT 12 39 9754-
74 27 9455
박사 진학관련 김GPT 2 30 4178
회사에서 석사 채용 이유 김GPT 28 13 9112-
0 6 1526
ㅈ소 신입사원의 고민 김GPT 3 17 968-
5 36 9417 -
1 17 3980 -
273 22 35813
내 석사생활 참 많은일들이 있엇네요^^ 명예의전당 196 34 65685-
96 85 63505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학부 다르면 동문 취급해주는지 말해봄
9 - 인건비 속이는 랩실 탈출해야할까요..
19 - Unist 석사와 박사 월급이 어느정도 될까요?
8 - 혹시 이게 타대생 차별인가요..?
15 - 교내에 아버지 직업 속이고 껄떡꺼리는 애가 있는데
26 - 학점 3.6 건동홍 무스펙 대학원 진학
17 - 박사과정이 왜 힘든가
9 - 포닥 미국으로 가시는 분, 어떻게 알아보시나요?
6 - 인생 망한거같아요 조언,쓴소리 다 부탁드려요
16 - 이글 왜 욕먹는건가요
8 - 학부연구생 활동에 관해서 여쭈어 봅니다..
6 - 대학원생들이 게으른 이유에 대한 고찰
18 - 미국 박사 vs 포닥
6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학부 다르면 동문 취급해주는지 말해봄
9 - 인건비 속이는 랩실 탈출해야할까요..
19 - 혹시 이게 타대생 차별인가요..?
15 - 교내에 아버지 직업 속이고 껄떡꺼리는 애가 있는데
26 - 학점 3.6 건동홍 무스펙 대학원 진학
17 - 박사과정이 왜 힘든가
9 - 인생 망한거같아요 조언,쓴소리 다 부탁드려요
16 - 이글 왜 욕먹는건가요
8 - 대학원생들이 게으른 이유에 대한 고찰
18 - 김박사넷 글로벌 연구자 인사이트 - UCLA 교수 무료 세미나
143 - 김박사넷 | 2026 미국 대학원 SOP 실전 워크숍 – 합격 사례 분석 & 전문가 피드백
48 - 미박 ai 컨택 스팩
12 - 미국 유학에서 학부 중요합니다
8
2024.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