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포스텍 박사과정 재학 중인 학생입니다. 오늘 조선비즈에서 포스텍에 관한 악의적인 기사가 한 편 쓰였는데 교내 구성원들에게 전달 된 대학측 입장문 공유 드립니다.
안녕하십니까, 기획처장 안희갑입니다.
먼저, 갑작스러운 보도로 인하여 놀라셨을 구성원 여러분께 사실 관계에 대해 설명드리고 대학의 입장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교원 1인당 논문 실적에 관한 사항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구성원 여러분도 잘 알고 계시듯 논문 실적 지표에는 실로 다양한 기준이 존재합니다. 해당 기사에서는 이 기준을 정확하게 명시하지 않아, 기사 상 수치와 부합하는 기준을 확인하였습니다. 이 기사에서 활용한 것은 한국연구재단 등재지를 기준으로 하는 “국내 논문 실적”입니다. 대학 공시 기준, 해당 지표에서는 우리 대학이 0.0689, KAIST가 0.0886, UNIST가 0.0871, DGIST가 0.1077, GIST가 0.0977로 나타납니다. 우리 대학은 국제학술지 중심으로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있고 또한 이공계 특성화 소규모 대학이라는 특성상, 해당 지표는 현저히 낮을 수밖에 없습니다. 실례로 종합대학인 서울대와 연세대, 고려대는 모두 0.3 이상으로 우리 대학을 포함한 다른 과기원보다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확인됩니다. 또한, 6일 오후 수정된 기사에서도 국제 논문 실적(SCI급·SCOPUS 등재지 등)을 논문 수로만 KAIST와 단순 비교했는데, 이 기간 전임교원의 수는 우리 대학이 284명, KAIST가 670명으로, 교원 수가 2.36배 차이가 납니다. 이 데이터를 바탕(대학 공시 기준)으로 하는 교원 1인당 논문 실적으로 비교하면 우리 대학이 1.093, KAIST가 1.080, UNIST가 1.001, DGIST가 0.821, GIST가 0.984로, 포스텍이 우위를 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 중도탈락률에 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현시점에서 중도탈락률이 다소 증가한 것으로 보이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렇지만, 이 역시 다른 4개 과학기술원과 비교할 때 최저 수치입니다. 기사에서 활용한 자료 기준으로 포스텍은 2.15%, KAIST가 2.62%, UNIST가 3.86%, DGIST가 2.76%, GIST가 4.76%이며, 같은 기간 전국 대학 평균 중도탈락률은 8.6%(2019년 4.6%)입니다. 최근 3년치를 고려해도 1%(2021년 공시)-2.1%(2022년 공시)-2.15%(2023년 공시)로 전체 학생 수나 여러 특성을 감안할 때 유의미한 상승 폭이라고 간주하기에는 이 매체의 다분히 악의적인 의도로 보여집니다. 이처럼 중도탈락률의 상승은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우리 대학은 물론 전국 대다수의 대학이 처한 시대적 특수상황일 것입니다.
세 번째로 대학원 신입생 충원율입니다.
기사에 나온 올해 대학원 신입생 충원율은 70.4%가 맞지만 2019년의 수치는 사실과 다릅니다. 2019년 충원율은 59.7%로, 기사에서 언급하고 있는 수치는 2021년 수치입니다. 2021년 79.1%에 비하여 70.4%는 다소간 줄어든 것처럼 보여질 수 있겠으나, 이는 법정 정원 대비 신입생 비율에 불과할 뿐입니다. 실례로 2014~2019년 충원율은 60%를 밑돌았는데, 학부와 달리 대학원은 정원을 채우는 것이 아니라, 우수한 인재들을 선발하기 위해 철저하게 사정한 결과로 봐야 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세계대학평가 관련 기사 내용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우리 대학은 이공계 특성화 소규모 대학이기 때문에 규모에 관련된 지표에서는 분명히 약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대학평가는 상대평가로 이루어지고, 순위가 소수점에서도 갈리기 때문에 아주 작은 변동에도 순위가 급격하게 달라져 평가 기관, 지표에 따라 매년 달라지는 특성이 존재합니다. 특히 기사에서 언급된 국제연구네트워크 항목은 공동연구를 하는 국가가 다양해야만 유리합니다. 단적으로 예를 들면, 지난 5년간 동일하게 논문 300편을 쓴 2개 대학이 있는데 A 대학은 3편씩 100개국과 썼고, B 대학은 100편씩 3개국과 썼다고 가정할 때, 높은 점수는 A 대학이 받게 됩니다. 학문 분야가 다양하고 규모가 큰 종합대학일수록 유리하며, 규모가 작은 우리 대학은 적정 수준 이상의 공동연구 국가 수가 한정적이라 불리할 수밖에 없습니다. 취업 성과는 우리 대학이 88.5%로 카이스트 87.58%, 서울대 70.6%, 고려대 74.8%, 연세대 77%의 타 대학에 비해 오히려 높습니다. 그러나 QS 자체 기준인 ‘영향력 있는 동문’ 리스트에 포함되는 졸업생 수가 낮습니다(우리 대학 7, 서울대 346, 연세대, 109, 고려대, 112, 카이스트 48). 이는 짧은 역사와 상대적으로 적은 졸업생 수라는 한계가 작용한다 하겠습니다. 반대로, 이러한 지표들이 제한되는, THE의 올해 소규모대학평가(재학생 5천명 이하)에서는 포스텍이 CALTECH에 이어 2위로 평가되었는데, QS의 평가 결과를 근거로 대학의 위기를 논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존경하는 구성원 여러분,
우리대학이 글로컬 대학 선정과 2024학년도 입학전형으로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려는 중요한 때에 이처럼 사실을 왜곡하는 기사가 게재되어 심히 유감스럽습니다. 또, 어떤 의도인지 알기 어려운 기사로 인해 교육과 연구를 위해 애써주시는 구성원들의 마음을 다치게 한 점 역시도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기사와 달리 우리 모두의 포스텍은 새로운 2024년을 열정적으로 준비하고 있습니다. 포스텍이 오늘보다 나은 미래의 포스텍을 향하여 웅비(雄飛)하고 있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습니다. 이번 일은 분명 대학과 구성원에게 깊은 마음의 상처를 남겼지만, 이 또한 우리가 함께 헤쳐 나가야 할 하나의 과제라고 생각합니다. 대학 차원에서 해당 언론사와 기자에 대해서는 명백한 사실에 근거하여 강경하고 단호하게 대처할 것입니다. 그와 함께 대학이 계획하고 있는 포스텍의 미래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대외에 홍보하며, 구성원들이 더욱 대학에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2023.12.06
2023.12.06
대댓글 2개
2023.12.06
대댓글 1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