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실적 빵꾸내고 교수 탓...ㅋㅋ
연구성과와 학생의 책임
24
- 파트타임.ㅋ 지도 돈주고 학위 사러 와 놓고ㅋㅋㅋ
교수님이 날 저놈 이라고 부르는데 이게 맞음?
34
- 님도 많이 힘드신가봐요 공격적이신거보니.. 같이 힘내요.
교수님이 날 저놈 이라고 부르는데 이게 맞음?
29
- 글 내용은 괜찮다만 언급하는 대가랩 기준이 매우매우 낮은듯.
국내에 대가랩이 어디있음 ㅋㅋㅋ
대가랩은 걍 논문 뽑으면 평균적으로 당해년도 끝나기전에 그 논문 인용수가 수십, 100 넘어가는곳을 대가랩이라 함.
랩에 인원수도 많고 그 이상으로
그 랩 논문 다들 알림받아 읽고 인용하니 인용수 그냥 쫙쫙 오름
대가랩이라 불리는 곳도 모든 박사과정이 탑저널 뽑는 건 아니다
18
- 교수는 자기 연구 하기 위해 교수가 된 것이고
그러기 위해서 인건비 및 연구비를 확보하기 위해 고군분투 하는 것이고
그 연구실에 들어간 대학원생은 교수의 연구를 도와주면서 연구 방법론을 배우고
본인이 하고 싶은 연구는 졸업한 뒤에 본인이 교수가 되든 정출연에 들어가든 그때가서 할 일인데
처음부터 자기가 하고 싶은 연구를 하려고 하는 것은 교수가 뭘 믿고 자신이 애써 따온 연구비를 제공할까
이 정도 역학 관계는 대학원에 들어갈 때부터 이해하고 들어갔어야 하는데
도대체 석사과정을 어떻게 보냈길래 교수는 학생 인생에 괸심이 없다고 찡찡댈까
엄밀하게 말하면 본인의 인생은 교수에게 맡겨둔 게 아니다
교수는 자신의 연구를 위해 학생에게 인건비와 연구비를 지급하고 그러면서 연구 방법론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데
그 기회를 잡는 건 본인이 알아서 할 일이지 교수가 앉혀놓고 주입할 것도 아니다
석사 끝나고 박사과정 입학하고나서야 깨달았습니다
24
임용이나 채용 시 학위논문 중요도에 관하여
2023.11.21
3
998

학위과정동안 여러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꽤 많은 연구성과(논문)을 만들고, 곧 박사졸업을 앞둔 학생입니다.
제가 기준에 학위논문이 그닥 매력적이지 않은 것 같습니다. 연구의 개연성과 깊이가 제 연구실적에 비해 마음에 안찹니다.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하다보니 하나의 주제에 관한 깊이 있는 연구가 부족했지 않나 생각합니다(물론 제 불찰입니다).
혹자는 학위논문이 추후 임용이나 채용에 중요하다고 하고, 일부는 참고자료라고 합니다.
빨리 졸업하고 커리어를 더 쌓고 싶은 마음이 더 크기에 지도교수님과 상의 후에 디펜스를 하기로 했지만.. 마음 한구석이 너무 찝찝하네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36
26
6184
김GPT
논문 없이 석사 졸업 괜찮나요?1
9
3204
김GPT
대학원 학위전공vs논문실적0
1
153
-
20
11
6721
김GPT
석사 연구주제1
5
4264
김GPT
논문 석사취업때도 중요한가요1
9
2260
김GPT
박사 대기업 취업시 논문 갯수1
20
3511
김GPT
공대 대학원 간판 취업1
8
670
-
0
6
322
명예의전당
논문 1저자 투고 후 아예 제명 당했습니다.77
44
31939
-
127
22
25994
-
224
32
64694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3.11.21
대댓글 1개
2023.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