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국내 석사 거쳐서 미국 박사과정 온 사람들 충격받는 포인트:
1. 행정 업무가 없음. 직원들이 전부 처리해줌
2. 컴퓨팅 자원을 직원들이 관리해줌
3. 과제 제안서는 교수님 or 포닥분들만씀
4. RA/TA 맡은일만 시킴. 여기저기 불려다니는일없음
5. 대학원 수업 퀄리티가 좋아서그런지 청강생 바글바글
10 - 머 어때서... 박사 존나 힘들게 땃는데 ㅜ
15 - 부산대 현직입니다.
저는 부산대와 인서울상위(중경외시 라인) 합격했었는데 부산대로왔습니다. 삶은 매우매우 만족합니다. 과제따기 수월하고 지역사회에서 대우도 매우좋고 부산의 삶도 좋습니다ㅎㅎ
주위 부산대 교수님들도 skpyksh정도나 unsit 아니면 대부분 부산대 더 선호하실것같습니다. 최근에 이직하신분들도 skpyk만 가시고요.
14 - 지거국 선호도도 높지만,
반대로 서울 및 수도권 선호도도 매우 매우 매우 높습니다...
왜냐하면 '연구'라는 좁은 영역보다 결국 삶과 연계된 직장이기 때문입니다.
미혼 및 아이가 없으신 젊은 분들은 지거국의 삶에 매우 만족하시지만.
주변 분들을 보면 결국 아이가 태어나고 교육이 시작되면서 서울 및 수도권으로 많이들 이직을 고려하시는 거 같습니다.
지금 대한민국은 서울 및 수도권 쏠림이 더 극대화 될 것으로 여겨지며,
실제로도 현재 임용 시장에 있는 젋은 분들 중 서울 및 수도권 이외에는 아예 고려를 안 하는 경우가 증가하고있습니다.
그리고 지거국에 계신분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최근 임용 지원자의 수준이 낮아진다고 하십니다 (분야별로 다른듯 합니다)
따라서 현재 부경전충보다 국숭세단이 우선시 될수있지만, 빠른 시일내에 뒤집힐 듯 합니다. (이미 학부 입결은 국숭세단이 몇 단계 위입니다)
11 - 흠 부산대 경북대 공대나 자연대 교수중에 연구인프라 다버리고 국숭세단에 갈분들이 계실까요...? 차라리 주말부부를 하고말지. 국숭세단 라인에서 적어도 저희분야에서는 논문을 내는것 조차 보기가힘든데
10 - 이런 초딩 같은 글이 교수 글이라고? ㅋㅋㅋ
10 - 너무 근시적으로 보시는것같은데, 모든 학교 신임교수들은 상향평준화 돼있습니다.
spk학석박-탑스쿨 포닥중이고 주변에 국내임용 준비하는사람들은 지방대는 과기원들제외하고 마지노선으로 부산/경북/충남대?? 정도까지는씁니다.
하지만 임용시장에서조차 인서울 선호도는 점점 높아지고있습니다. 건동홍을 비교하셨는데, 교수임용시장에서 건홍과 부산대 둘다 붙었을때 부산대를 간다는 보장은 전혀없습니다. 오히려 전자 선호도가 제 주변에서만 보면 더 높아보입니다. 동국대는 워낙 교수진들에게 불교중심적인 마인드셋때문에 비선호하는 사람들도 있기에 뺐습니다. 제 네트워킹이 한인교회중심이라서 더더욱 그럴수도
그리고 참고로 건동홍 간 친구들도 자매지들은 다들 많이 있습니다. 심지어 생각보다 국민대 혹은 좀더낮은 학교에 간 친구들도 자매지있는경우는 많아요. 그만큼 임용시장은 생각보다 상향평준화됐습니다.
시야가 너무 부산대중심으로만 맞추신것같길래 말씀드립니다. 부산대가 나쁜학교라는건 절대아니고, 저도 국내리턴 생각했으면 부산대까지는 당연히썼을겁니다.
17 - 요즘은 개나소나 교수하는구나
9 - 뭔소리지 skp 교수는 주2~3일 출근하고 연구비로 해외출장 다니고 맛난거 사먹고 방학4개월있는데 연봉 약 1억 찍히고 도시에서 근무를 안하는 줄 아나? ㅋㅋㅋㅋ 가만히 있으면 고퀄 논문 매뉴스크립이 쏟아지는데 일을 왜 함? 오토 돌리고 해외 있다가 수업있을 때만 출근하는게 s대 교수 삶인데 뭘 모르네 ㅋㅋㅋ
18 - 쳐노는게 목표인 교수가 있나? 시간,돈 갈아서 연구하는게 목표인 사람들이 교수 하는거지ㅋㅋ말하는거보면 머갈 텅텅 빈거 티 나노
9
학벌 및 논문 실적에 대한 논란
2023.02.17
가끔씩 김박사넷에 들어오면 어김없이 등장하는 단골 주제죠?
학벌과 논문 실적에 관한 논란입니다.
생각해보면 조금 간단합니다.
학벌 좋은 사람들은 학벌에 걸맞는 연구실적을 내기 위해서 연구를 열심히 하면 되는 것이고,
학벌이 좋지 못한 사람은 학벌을 커버하기 위해 연구를 열심히 하면 되는 것입니다.
학벌이 좋다고 연구실적이 낮아도 되는 것이 아닙니다.
자기 분야 정출연 박사님들이나 spkykssh ist 교수님들은 자기 학벌때문에 그 자리에 있는게 아닙니다. 연구 잘하는 사람들을 앉혀놨는데 대부분이 학벌이 좋았을 뿐입니다.
학벌 안 좋은 사람 중에서도 연구 잘해서 저기 계신 분들이 존재합니다.
학벌 좋던 안좋던 그냥 연구합시다.
학벌과 논문 실적에 관한 논란입니다.
생각해보면 조금 간단합니다.
학벌 좋은 사람들은 학벌에 걸맞는 연구실적을 내기 위해서 연구를 열심히 하면 되는 것이고,
학벌이 좋지 못한 사람은 학벌을 커버하기 위해 연구를 열심히 하면 되는 것입니다.
학벌이 좋다고 연구실적이 낮아도 되는 것이 아닙니다.
자기 분야 정출연 박사님들이나 spkykssh ist 교수님들은 자기 학벌때문에 그 자리에 있는게 아닙니다. 연구 잘하는 사람들을 앉혀놨는데 대부분이 학벌이 좋았을 뿐입니다.
학벌 안 좋은 사람 중에서도 연구 잘해서 저기 계신 분들이 존재합니다.
학벌 좋던 안좋던 그냥 연구합시다.
학벌논란 이해안가는게 김GPT 45 57 17984-
52 26 16290 -
63 16 11023
논문 수저 수저 김GPT 58 21 15770
학벌은 독이든 성배이다. 김GPT 41 20 7288
학벌논란주범 김GPT 14 9 6985
아래 연구 실적 글 보고.. 김GPT 9 14 1849
학부는 중요함. 김GPT 44 28 15664
대학 랭킹 김GPT 14 13 11390-
261 26 58528 -
297 31 87622
대학원에 답답한 친구들이 많이 보이네요... 명예의전당 209 25 30371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3.02.17
2023.02.17
대댓글 2개
2023.02.17
대댓글 2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