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제 조부모님이 저 유학 올 때 보이셨던 태도가 떠오르네요. 저런 말씀을 하실 때 기저에 있는건 본인 자식을 자기가 아예 모르는 곳에 내놓는것에 대한 불안함을 자기가 아는 방식대로 통제하고 싶어서 그러신것 같습니다. 너무 말 내용 자체에 휘둘리지 마시고, 그냥 작성자님이 알아서 충분히 잘 할 것이고 부모님과 완전히 끊어지지 않을 것임을 가볍지만 꾸준하게 표현해드리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오픈 하우스 참석, 유학 따라가기 등 이런 요구를 하실 때에는 '현실적으로 비자 받을 명분도 없이 뭘 가냐, 나 혼자서도 충분히 잘 한다' 이런식으로 가볍게 쳐내시고요. 가치관적인 것들 (인종이나 문화 비하)도 그냥 '사람 사는게 다 다른거다, 나는 열심히 내 단도리 잘할 테니 걱정마라' 이런식으로 가볍게 쳐내세요. 돈 관련한 것들도, '귀중한 교육 받으러 가는데 이정도라도 돈 주는 게 어디냐, 이렇게 전문성 가지면 나중에 더 많이 벌 수 있다' 이렇게 말씀하시면 되구요. 적당히 한귀로 듣고 한귀로 흘리되, 부모님의 안심은 챙겨드릴 수 있는 가볍지만 단호한 표현을 추천드립니다.
16 - 어차피 무슨 의도인지 알 수 없는데 뭘 너무하다고 하기는 좀 애매해 보이는데요 ㅋㅋㅋㅋ 아니 애초에 저게 저렇게 되는 줄 처음 알았네 ㅋㅋㅋㅋㅋㅋㅋㅋ
의도한건지 몰랐는지, 알았다면 좋은 의도인지 나쁜 의도인지 뭐 밝혀진게 있다면야 이야기가 다르겠지만요 ㅋㅋ
22 - 지사립이 뭔 대학원이에요ㅋㅋㅋssh이러고 있네
22 - 흔히 하는 착각 중 하나가. 단순한 입결로 조선대 안동대는 하위대학이라고 판단하는 것. spk에서 학석박 했다고 하더라도 해당 대학 임용되려면 매우 힘드실 수 있습니다.
18 - 사실 학교 명성이란게 쉽제 바뀌는건 아니어서 제 생각엔 yk보단 계속 위일거 같습니다만 sk와도 거리가 있을거 같습니다. 딱 1과 2 중간 정도를 앞으로 한 30년 정도는 더유지 할거 같네요..50년뒤는 모르겠습니다.
17 - 이미 교수진에서부터 yk보다 넘사임 10년뒤에도 그럴거고
30 - 위 리플들 왜 날카로운지는 모르겠지만..
연구실맞지않아서 힘들면 할수있는 생각아닌가요?
자대에서 잘 맞아보였던 연구실있으면 더 그럴수도있고.
SKP말고는 대학원 아니다 라는 오르비식사고로 가스라이팅당하다가 실제로 대학원가보면 중요한건 그게아니라는걸 알거되는거죠.
근데 시작한이상 답은 없습니다. 이겨내고 힘내길..
17 - YK에서 P로 오신분도 많아요..
17 - 지금도 교수1인당 연구비는 P>K>S임.
우리가 동급이라 부르는 skp라는 단어에는 각학교의 지역 디메릿과 그에따른 학생교수 수급의 어려움이 이미 반영된 (즉, PK가 그 차이를 따라잡을만큼 연구환경에서 치고나간) 결과물임. PK가 서울에 있었으면 S는 저기 낄수도없고 실제로 20년전만해도 대학원 선호도는 확실하게 PK>S였음.
서울집중이 심해지는건 맞지만 P도 작년부터 현질 조단위로 때려박음.
P가 망할정도로 서울집중이 악화되면 그땐 나라의 명운을 걱정해야할듯
23 - 포스텍이 훌리를 안해서 그렇지 맨날 끌어내리려는 애들 한뭉텅이네. 난 우직하게 연구하는 포스텍이 가장 멋지다 생각한다.
20
박사 과정인데 물박사로 졸업할 것 같아서 고민입니다.
2023.11.09
정확히 말하면 석박통합 과정에 있습니다.
곧 전문연 편입 예정인 미필 남자구요.
저희 연구실은 기업 과제 위주로 굴러가는 랩이라서 박사 과정에 있는 학생들이 대부분 연구 PM을 맡게 됩니다.
그러다 보니, 다른 연구실에 비해 돈은 많이 받긴 하는데 그만큼 일이 상당히 많습니다.
그리고 연구를 위한 연구가 아닌 과제를 위한 연구를 하다 보니 퍼블리시된 연구의 수가 다른 연구실 박사 과정들에 비해 좀 부족한 편입니다.
게다가 교수님은 테뉴어 따시고 연구에 관심이 좀 덜해지셔서 예전만큼 실적에 대한 욕심도 없으신 편이구요.
제 나름대로 열심히 하면 되지 않나 생각이 들 수 있지만,
변명해보자면 과제 업무량이 상당히 많아서 몰아치는 일 처리하고 나면 시간과 체력이 부족한 게 사실이구요.
그리고 풀 페이퍼 논문을 많이 써본 훈련이 안 되어서 그런지 교수님의 지도를 받지 않고 논문을 쓰는 게 좀 힘들기도 합니다.
푸념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대학원 오면서 물박사는 꼭 되지 말아야지 생각했는데 제가 그렇게 될 것 같다는 생각을 하니 좀 아찔하네요.
곧 전문연 편입 예정인 미필 남자구요.
저희 연구실은 기업 과제 위주로 굴러가는 랩이라서 박사 과정에 있는 학생들이 대부분 연구 PM을 맡게 됩니다.
그러다 보니, 다른 연구실에 비해 돈은 많이 받긴 하는데 그만큼 일이 상당히 많습니다.
그리고 연구를 위한 연구가 아닌 과제를 위한 연구를 하다 보니 퍼블리시된 연구의 수가 다른 연구실 박사 과정들에 비해 좀 부족한 편입니다.
게다가 교수님은 테뉴어 따시고 연구에 관심이 좀 덜해지셔서 예전만큼 실적에 대한 욕심도 없으신 편이구요.
제 나름대로 열심히 하면 되지 않나 생각이 들 수 있지만,
변명해보자면 과제 업무량이 상당히 많아서 몰아치는 일 처리하고 나면 시간과 체력이 부족한 게 사실이구요.
그리고 풀 페이퍼 논문을 많이 써본 훈련이 안 되어서 그런지 교수님의 지도를 받지 않고 논문을 쓰는 게 좀 힘들기도 합니다.
푸념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대학원 오면서 물박사는 꼭 되지 말아야지 생각했는데 제가 그렇게 될 것 같다는 생각을 하니 좀 아찔하네요.
하 남들이 가지 말라면 안갔어야했는데 김GPT 43 13 23610
저에겐 너무나 어려운 연구실 인간관계 김GPT 40 14 12548-
85 82 49861
박사과정 정말 힘드네요ㅠ 김GPT 15 4 2795-
93 67 16557
실험실 내 따돌림 김GPT 33 13 10521-
12 11 3985
대학원 진학 관련하여 고민이 많네요 김GPT 3 4 1353
연구실 생활 현타가 와요 김GPT 27 9 6197-
167 27 35267 -
155 32 41495 -
164 20 68959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3.11.09
2023.11.09
2023.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