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잘 생각해보면 석사가 논문 팍팍 써내는게 연구면 그게 연구 일까요?
석사가 실적이 많이 나오지 않은 이유
31 - 저 기사 읽은거 맞음?
결국 연공서열 중심의 호봉제 개선하고
직급과 직무 우선주의인 직무급제 시행해서 정년 늘려도 경영부담 안되게 바꾸고 실력과 직무에따라 임금 더 받게 바꾸겠다는 기사인데 저걸보고
석사=박사라고 결론내는거임?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18 - 랩바랩
요즘 학부연구생들은 예의가 없네요
14 - 이렇게 어그로 끌지 않기
요즘 학부연구생들은 예의가 없네요
20 - 분야가 달라서 우린 학부생이 논문 썻다고 하면 그냥 의미 없는 거 하면서 시간 때우다가 논문에 저자라고 할수도 없는 n저자로 이름 넣어줬구나 싶음 그래서 큰 의미가 없음 학부생이 논문 썻으면 대단하다 보다 그냥 그런 갑다 함
댓글 많이 달린 글 보고 든 생각인데 ㅋㅋㅋㅋ...
16 - 팩트는 MDPI 들고 석사졸업해도 잘한거임 ㅋㅋ
댓글 많이 달린 글 보고 든 생각인데 ㅋㅋㅋㅋ...
19 - 자격지심ㅋㅋㅋㅋ
댓글 많이 달린 글 보고 든 생각인데 ㅋㅋㅋㅋ...
11 - 환경주의자 LGBT 이런거 좋아하시나요?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8 - AI를 연구하고 있긴 하지만 동의합니다 과학 기술 발전 과정 중 소외된 부문들에 대해 눈을 돌릴 때가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8 - 동의합니다... 언젠가부터는 필요에 의한 발전이 아니라 작성자님 말씀처럼 '발전을 위한 발전'을 추구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8 - 과학기술이 발전해온 양상을 살펴보자면, 사실 과학에 인류 전체의 복지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목적이 가미된 건 극히 최근 들어서의 일이 아닌가 싶습니다. 당장 칼세이건의 저서 코스모스에서도, 고대 과학자들이 인류의 안녕을 고민했다는 언급은 없었죠. 때문에 인간이 과학이라는 행위를 하는 가장 본질적인 이유는 미지에 대한 탐구와 이해 그 자체에 가깝다고 봅니다. 오히려, 이 당시 사람들의 행복과 심신의 안정을 위해 힘썼던 사람들은 종교인이 아니었을까 해요.
고대를 지나, 인류사의 여러 시점에 과학자들이 등장하죠. 데카르트, 오일러, 뉴턴, 갈릴레오 갈릴레이 등, 수많은 사람들이 과학의 발전에 기여하지만, 그것은 인류의 행복을 위해서라기 보다는 학문적 호기심과 성취욕에 의한 업적으로 보입니다.
중세를 넘어 근대로 오면, 과학이 인류 전체를 위한 학문이라는 교과서적인 말에 의구심을 품을 수 밖에 없습니다. 방직기의 자동화를 필두로 이루어진 산업 혁명은 인도를 영국의 식민지로 전락시켰고, 이후의 극적인 산업화는 러다이트 운동이 촉발될 정도로 노동자들을 곤궁하게 했죠. 그런가하면 하버 보슈라는 인간은 살상용 독가스를 만들고는 노벨상을 받았습니다.
물론 인류의 발전을 위해 개발된 기술들도 다수 있지만, 그러한 예시들이 인류가 과학을 연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성을 대변한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최근에는 오히려 누군가의 이권을 위해 추구되는 경향이 강하죠. 기술 자체는 가치중립적이라는 말들도 많이 합니다만, 이는 기술이 사용되는 맥락에 따라 담기는 의미가 달라진다고 보는 것이 더 정확하다고 봅니다. 애초에, 어떠한 문맥도 없이 고유한 의미를 갖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건 그냥 말장난에 불과합니다.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9 - 깨시민인척 하지만 본인의 능력 부실을 저주하며 빠르게 발전하는 세상을 저주하는 사람들은 여전히 많다는 점 잘 알았습니다.
부족한 것은 잘못이 아닙니다. 비슷한 사람들과 즐겁게 살아가시면 됩니다. 다만 이상한 신념을 구구절절 설파하며 정상인들의 노력하는 사회를 병들게 하지말아주세요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9 - 요즘은 학부만 놓고 보면 SK YKP가 맞죠
포스텍과 연고대 학부 입결 차이
11
대학원 입시에 있어 교수님들에 대한 정보를 어떻게 찾아볼 수 있나요?
2023.11.01

아직 연구 분야 선정이나 컨택드릴 교수님을 추리지 못한 상태인데, 랩실 선정 기준이
1. 대학원 수준
2. 교수님의 명망
3. 랩실 분위기
이렇게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보통은 설카포에 좋은 교수님이 좋은 환경에서 연구를 하고 계실텐데,분명 그보다 낮다고 평가받는 대학원에서도 훌륭한 교수님이 연구하고 계시는 경우가 종종 있지 않나요?
설카포가 아닌 대학원에서 연구중이신 교수님들이나
김박사넷에 등록 안되어있는 훌륭한 교수님들에 대한 정보는 제가 어떻게 알아보고 연락을 드릴지 막막해서 질문드립니다.
일일이 김박사넷 같은 사이트에서 찾아보아야 하나요?
김박사넷에서도 상위 몇퍼 이런식으로 간단한 지표만 보여주는 것 같은데, 어떤 교수님이 얼마나 명망있는 분인지 구체적으로 나와있는 사이트가 없을까요..
예전에 지도교수님께서 저희 학교 교수님들 랭킹(논문 피인용지수 이런거였던 것 같습니다) 1위부터 마지막까지 나열된 사이트를 보여주신 적이 있는데, 그 사이트에서는 교수님 프로필과 각종 논문이 마치 나무위키처럼 정리되어 있었습니다.
이런 사이트는 저희 학부생 신분으로는 열람할 수 없나요?
대학원 선택 고민 김GPT 2 5 6401
신임교수 vs 평가가 아쉬운 교수 김GPT 0 13 1807-
5 4 9192
이러면 교수님들 싫어하시나요? 김GPT 2 15 2974-
2 3 3260
대학원 이중컨택으로 고민이 있는데여 김GPT 4 12 1715
대학원 교수정보 검색서비스 김GPT 4 4 1782-
1 8 4459 -
0 15 3218
대한민국 학계는 이게 문제임 명예의전당 248 39 95172-
163 33 45572
더 나은 교수님을 찾아 떠나려고 합니다. 명예의전당 110 34 47416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
271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324 - 상처 입은 지방대 출신 분들께 드리는 글
269 - 하.. 학연생이 랩실 와서 공부하고 있다
134 - 정출연이라고 해서 왔는데 생각보다 물경력인 분들이 많네요;;
34 - 대한민국 연구의 문제점 하나만 고르라고 한다면
39 - 몰랐는데 생각보다 지방대에서 yk ist ssh는 많이 가는군요
29 - 이게 기분이 나쁜 게 정상인지 알려주세요
17 - 김박사넷좀 그만해라
18 - 요즘 학부연구생들은 예의가 없네요
40 - 댓글 많이 달린 글 보고 든 생각인데 ㅋㅋㅋㅋ...
24 - 공동 연구 제안 (EUV lithography)
5 - (혐주의) 의사집단은 의대생부터가 걍 좃댓네
5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25 - 리뷰논문 도움되는지 궁금합니다
16 -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31 - 좋은 논문을 적게 내는 연구실
10 - 타대학 교수님과 컨택은 됐는데, 입시 자체가 걱정돼요(??)
8 - R&D 예산 복구 관련 질문
7 - ssh 자대 생 많이 없는
11 - 지거국 석사 월급..
8 - 포스텍과 연고대 학부 입결 차이
11 - 못하면서 열정적인 게 제일 끔찍한 폐급이라던데
9 - 지도교수님이랑 말이 1도 안통해요.
9 - 반도체 회로설계를 희망하는 아무것도 모르는 2학년 학생 질문 받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8 - 집단 지성이 필요해요!! (지도 교수 범죄자 됨)
9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
271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324 - 상처 입은 지방대 출신 분들께 드리는 글
269 - 하.. 학연생이 랩실 와서 공부하고 있다
134 - 정출연이라고 해서 왔는데 생각보다 물경력인 분들이 많네요;;
34 - 대한민국 연구의 문제점 하나만 고르라고 한다면
39 - 몰랐는데 생각보다 지방대에서 yk ist ssh는 많이 가는군요
29 - 이게 기분이 나쁜 게 정상인지 알려주세요
17 - 김박사넷좀 그만해라
18 - 요즘 학부연구생들은 예의가 없네요
40 - 댓글 많이 달린 글 보고 든 생각인데 ㅋㅋㅋㅋ...
24 - 공동 연구 제안 (EUV lithography)
5 - (혐주의) 의사집단은 의대생부터가 걍 좃댓네
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유학 고민
55 -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25 - 리뷰논문 도움되는지 궁금합니다
16 -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31 - 좋은 논문을 적게 내는 연구실
10 - 타대학 교수님과 컨택은 됐는데, 입시 자체가 걱정돼요(??)
8 - ssh 자대 생 많이 없는
11 - 지거국 석사 월급..
8 - 포스텍과 연고대 학부 입결 차이
11 - 못하면서 열정적인 게 제일 끔찍한 폐급이라던데
9 - 지도교수님이랑 말이 1도 안통해요.
9 - 반도체 회로설계를 희망하는 아무것도 모르는 2학년 학생 질문 받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8 - 집단 지성이 필요해요!! (지도 교수 범죄자 됨)
9
2023.11.01
대댓글 1개
2023.11.01
대댓글 1개
2023.11.01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