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거국 반도체 관련 학과 3.9/4.5 3-2학기 학부연구생 중이고 이 랩실로 석사 진학 생각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대기업 Main FAB 목표로 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선 석사 이상의 학벌이 거의 필수적인거 같아서 )
석사 취득 후 취업 할 시, 학부 시절때의 성적이나 스펙이 영향을 크게 받나요?
학부시절 학점은 물론 중요하겠지만, 그 외의 연구소,기업 인턴 경험이나 대기업에서 주관하는 교육 + 팹투어 같은 경험들이요.
학부생들 에게는 정말 좋은 경험이 될수 있지만, 사실 석사로 진학하게 되면 혼자 클린룸가서 공정 하고 다 할텐데(실험이나 장비 같은 시설이 매우 잘되있습니다) 과연 나중에 취업할때 이걸 유심히 보실까? 라는 생각이 들어서요.
이거에 따라 비중을 조기 졸업+대학원 생활 준비에 맞출지, 아니면 성적+스펙 쌓기 에 초점을 맞출지 결정해야 될거같아서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3.10.20
대기업이라면 학사건 석사건 성적을 제외한 글쓴이가 나열한 경험들은 스펙이라고 생각하지도 않습니다.
대댓글 2개
2023.10.20
답변 감사합니다! 그럼 대기업이 생각하는 스펙이란 무엇이 될 수 있는지 여쭤볼수 있을까요?
2023.10.21
스펙은 "경험"이 아니라 "경험"을 통해 얻은 "성과"입니다. 아니면 그 "경험"을 하기 위해 특별히 많이 노력이 들어갔다면 그 경험을 따낸거 자체가 성과 일 수도 있고요. 예를들어-> 좋은 대학에 들어감 (입시 자체가 노력이 많이 들어갔으니 성과) 대학에서 좋은 학점을 얻음 (대학 생활 자체는 성과x 그 결과물인 학점이 성과) 그냥 인턴을 했다: so what 굉장히 들어가기 어려운 기관(UN이라던가)에서 인턴을 했다: 인턴 프로그램을 따낸게 성과 연구소 인턴을 통해 논문 공저자로 들어갔다: 성과
2023.10.20
학점은 정말 평생 갑니다. 심지어 교수 임용 심사때 지원자의 학점을 보는 교수들도 있다던데, 석사 취업이면 말할 것도 없죠. 그리고 기업에서는 애초에 석사에게 그렇게 높은 수준의 전문성을 기대하지 않습니다. 전문가가 필요하면 박사 연구원을 뽑겠죠. 현실적으로 말해서 석사 후 취업이라면 본인의 성실성을 기업에 어필하는 것이 가장 잘 먹힐 가능성이 높고, 우수한 학점만큼 자신이 성실한 학생이었음을 나타낼 수 있는 수단은 없습니다.
대댓글 1개
2023.10.20
답변 감사합니다! 그러면 성적은 당연히 중요하고 석사에게 기대할 수 있는 것은 석사 시절 얼마나 열정을 가지고 성실하였느냐를 중점적으로 보는 것 인가요? 그리고 그것을 나타내는 것이 연구 성과라고 볼 수 있고요
2023.10.20
대댓글 2개
2023.10.20
2023.10.21
2023.10.20
대댓글 1개
2023.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