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spkyk 중 반도체 랩 인턴을 했습니다 봄 입학 예정이었으나 랩 자체 기준을 못맞춰서 교수님께서 기준 맞춘 후에 가을에 입학하는건 어떻냐고 하셨고 저는 학부 졸업 후 공백과 대학원 졸업 후 나이로 인해 이 부분이 고민됩니다. 석사 후든 박사 후든 졸업 후 취업이 목표인데 한학기를 유예한 후에 입학할 만큼 메리트가 있을지요? 아니면 봄에 입학 가능한 조금 낮은 급간의 다른 대학원을 급히 알아봐야할지 혹은 대학원은 접어두고 당장 학부 졸업 후 취업하여 돈을 번 후에 대학원을 다시 생각해 보는게 맞을지 고민이 됩니다.
1) 대학원이 한 학기 유예할 만큼의 가치가 있는지? 2) 내년 봄에 입학 가능한 낮은 대학원을 알아보기 혹은 취업 후 돈을 번 후에 대학원을 알아보기 중 어느 것이 더 현실적인지?
참고로 부모님께서는 유예하더라도 대학원을 진학하기를 희망하십니다.. 입시도 얼마 안남았고.. 준비가 미흡하여 좋지 않은 결과가 낳아졌기에 많이 혼란스럽습니다. 선생님들께서 도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즐거운 윌리엄 켈빈*
2023.09.26
뭔 기준을 못 맞추셨길래...
대댓글 1개
2023.09.26
기준에 대해서는 말씀드리기 어렵습니다..
2023.09.26
본인이 뭘 하고 싶냐에 따라 대답이 천차만별인듯 정말 연구에 뜻이 있고 원하는 연구실이면 한 학기 유예 당연 가능하지
대댓글 1개
2023.09.26
그렇다면 한학기 유예하는 동안 일반 대학원생과 같이 전일 출근 하면서 프로젝트 맡고 졸업학기를 반학기 줄이는 것에 대해 여쭤보는건 너무 도의에 어긋나겠죠? 저희 랩실은 석사 평균 3년입니다
2023.09.26
그건 사실 불가능에 가까운 질문일것 같아요 한학기 유예라는건 결국 석사 신분인 아닌 인턴에 가까운 시간인데 그걸 과연 수료기간으로 봐주실까요 석사 평균 3년이면 좀 길긴한데 그래도 한학기 유예할 만큼 연구의 가치가 있다면 충분히 유예를 권장하고 싶네요 다만 컨택 확정에 흔들림이 없고 입학에도 문제가 없다는 보장이 있어야 하지만요
대댓글 1개
2023.09.26
감사합니다. 진지하게 다시 고민하여 진로를 정해보겠습니다. 한급간 낮은 대학원을 컨택할지, 취업을 준비해야할지도요..
순수한 버트런드 러셀*
2023.09.26
한학기 유예해서 붙을 수 있다면 도전해볼만한데... 한학기 뒤에 입시를 치렀더니 또 기준미달이라고 or 이번에는 입시합격이 안되고
이렇게 계속 밀리는경우도 생각해보셔야합니다
대댓글 1개
2023.09.26
취업하는게 제일 나을까요.. 저는 소속 없이 밀리는 것이 무섭고 두려워서요
2023.09.26
굳이 유예해서 기약도 없는 석사 3년 졸업하느니 다른 학교 알아보세요. ist는 일부학교는 3차도 있어서 지금도 늦지 않음.
2023.09.26
대댓글 1개
2023.09.26
2023.09.26
대댓글 1개
2023.09.26
2023.09.26
대댓글 1개
2023.09.26
2023.09.26
대댓글 1개
2023.09.26
2023.09.26
2023.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