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곰곰히 생각해보면 재능론자들이 하는 얘기중에 딱히 인생에 도움이 되는 얘기가 없음.
재능론자들이 하는 얘기의 핵심은 언제나 "어차피 안될거 해서 뭐함?" 이었음.
재능론자들 허구한날 남이 하는 노력 무시하고 바보취급하면서 지혼자 세상 깨우친척은 다하는데, 결국 그런 마인드에 발목 붙잡히는걸 무수히 많이 봄.
정말 죽기 일보 직전까지 갈 정도로 피나는 노력을 했음에도 재능앞에 무너져 본 사람이 재능론을 설파한다면 안따깝고 귀감이 되는 조언으로써 귀담아 듣겠으나, 주변의 재능론자들 100%는 노력하지 않음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하고 그런 자신에게 면죄부를 주고자 재능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이었음.
재능이 있냐없냐는 내가 노력을 할지말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아님. 설사 재능이 없어서 쏟은 노력대비 남들보다 효율이 안나와도, 조금씩이라도 발전하는 나 자신을 위해 노력을 쏟는거임. 노력하는 내가 있는 그곳에 발전하는 내가 존재한다는 그 사실 하나만으로도 노력의 당위가 성립하는거임.
노력이라는 행위를 부정하는 사람들은 타인은 물론 자기 자신조차도 사랑할 줄 모르는 것임.
재능과 노력중 어느 쪽이 중요한가?
32
- 기왕하시는거 생물학까지 삼중전공 하시는게 어떨까요?
이 시대의 진정한 자연철학자에 도전해 보시는것도 낭만이 있고 멋질것 같습니다!
그것이 대학의 의미가 많이 변질된 오늘날 대학진학의 취지를 가장 잘 살리는 길인것 같기도 하네요. :)
물리학이랑 화학 복수전공 어떤가요?
23
- 당연히 교수가 쓴 글이 아니겠지만
이러한 사람은 교수를 하면 안됨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25
- 논문지도는 교수 능력입니다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21
- 본인은 이런말 하면 본인스스로 엄청 능동적으로 잘하고 있다 생각하시는거죠?? 아마 그런 지도교수한테 지도를 받고있겠고요. 본인이 그런 환경에서 크면 그렇게 느끼는 겁니다. 지도교수가 과제수주만 해줫는데 본인이 연구흐름과 논문작성 잘해서 빅페이퍼 뚝딱 쓸 인재면 본인이 훌륭한겁니다.
흔하게 자녀를 보면 부모를 볼수있다 하잖아요. 그만큼 지도교수한테 영향을 많이받는게 학생들입니다. 인자하고 연구윤리 철저하고, 시간내줘서 연구미팅 꾸준히 하는 교수밑에서 배운사람은 그렇게 하게됩니다. 저또한 운좋게 그런교수와 포닥PI를 만낫고, 현 제자들에게는 그렇게 해주려고 하고요.
뭐가 더 좋은지는 모르고, spk만 되도 학생들 스스로도 충분히 잘할수있다 생각하지만, 연구흐름 잡거나 논문 쓰는 흐름 잡는것은 교수도움 받는것이 좋습니다.
해외 유수대학들은 잘하는 포닥들이 준PI급으로 잇기에 포닥과 같이 연구해서 논문쓰는게 가능하지만, 국내에서는 선배라해도 박사과정 n년차인데, 그때는 본인도 경험부족으로 잘 모르는 상황에서 괜한 연구흐름 잡아주는게 맞을까 싶네요.
스스로 실패와 좌절 해가면서 배우는게 연구다라고 생각하시면 그런 삶을 사시는건 본인 자유입니다. 다만 그것만이 맞다 라고 우기는건.. 너무 근시안적인 사고방식 같네요 ㅎㅎ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18
우리 랩은 9 to 6
2023.09.17
24
7111

본인은 학위과정에 10 to ~ inf 를 하던 사람입니다만
지금생각해보면 그 inf 인 시간에 실험을 했다기 보다는 선배들하고 게임을 하던지
유튜브를 보며 시간을 낭비하던지..
그냥 좁은 자취방에 가기 싫어서, 에어컨 시원하게 나오고 겨울에 따뜻한 실험실에 빌붙어 있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당시에는 모든 연구 시설, 장비가 좀 manual하기도 했구요.
그러다가 미국에서 육아를 병행하는 싱글맘 포스닥을 보면서 무작정 긴 체류시간보다는 정확한 계획과 시간관리가 몹시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한번 깨닫고 한국에 왔습니다.
그래서 현재 학교에 부임을 하고 나서 학생을 받기 전 6개월 동안 다른 랩들을 가만히 관찰해보았지요.
(그닥 좋은 학교는 아닙니다... 수도권 끝자락)
그리고 발견한 특징은..
1. 9시전에는 개미새끼 한마리 안보인다 (외국인 학생 제외). 열시는 되어야 대부분 오는듯,
2. 6시면 1층으로 내려가는 엘레베이터가 너무 안올정도로 엘레베이터가 바쁘다. (다들 간다는 소리)
3. 7시쯤 되면 몇몇 연구실 학생들은 저녁 먹고 커피마시고 다시 들어온다.
4. 8시 이후로는 연구실마다 왠만하면 다 불이 꺼져있다..
제가 바이오가 아니라 아이디어와 연구장비를 활용한 분석이 중요한 분야이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 의미없이 엉덩이가 무거울바에야
차라리 이다음에 사회에 나갔을때 사회의 라이프 사이클 리듬을 맞추고자
"9시에 출근해서 6시에 퇴근해서 따뜻한 집밥을 먹던지 친구를 만나라" 라는 모토로 연구실을 시작했습니다.
단,
1. 사회생활에서 지각은 크리티컬하기 때문에 절대 늦지말고 그날 일은 그날 끝낼 수 있도록 시간관리를 잘하라는 당부 한마디와
2. 사람은 좀 놀 수 있지만 기계는 늘 바빠야 한다..
요 두가지만 좀 강조를 했는데요
현재까지는 적당히 결과도 나오고 학생들도 잘 다니고 있어서 만족 스럽습니다 ㅎ
그런데 이렇게 운영을 하고 있더니 다른방 실험실 녀석들이 우리방을 호박씨를 까네요..ㅋ
저 방은 여섯시면 불이 없다. 게으르다.
아침 열시반에 출근하는 녀석들인걸 내가 다 아는데...ㅎ
가끔 학생들이 오늘 꼭 마무리를 해야한다며 여섯시반 일곱시에도 가~~끔 불이 켜져있을때가 있는데
고맙기도 하지만 여섯시 이후에는 연구실에 가지 않습니다 (간식 빼먹으러 갈 때 빼고....ㅋ)
다들 효율적으로 시간 관리하세요.
대학원 생활은 마라톤입니다 ㅎ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35
27
16258
김GPT
대학원 생활에서 깨달은 것들51
8
10064
김GPT
대학원 돈 얘기나와서 적어봄.32
11
8933
-
2
3
1818
김GPT
Spk 연구실도 이러죠..?11
14
3394
김GPT
심심해서 써보는 ㄱㅅ 장점13
11
20741
김GPT
일하는 시간 보존의 법칙0
8
355
김GPT
연구실 근무 시간3
15
3676
김GPT
연구실 운영1
13
1961
-
111
21
24197
-
38
62
16758
-
205
25
13787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3.09.17
대댓글 6개
2023.09.17
대댓글 2개
IF : 2
2023.09.17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