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좋은거죠. 그런데 합격한다는 보장은 없죠. 열심히 준비하면 얻는게 많을것 같내요. 특히 남들 앞애서 자기pr도 해보고 혹여나 다른 교수가 줌으로 만나자고 하면 그때 도움이 될거고. 그냥 1차 시험에 합격했다고 생각하고 준비하면 좋을듯
Harvard에 계신 교수님께 미박 컨택 답변이 왔습니다. 평가 부탁드립니다.
32 - 이정도면 그린라이트인거 다 알면서 ㅋㅋ 물어본건데?
Harvard에 계신 교수님께 미박 컨택 답변이 왔습니다. 평가 부탁드립니다.
15 - 정신병원 내일 가셔서 당장 약 처방 받으시고 쉬세요
졸업할 때 되니까 진심 ㅈㅅ하고싶은데 원래 이런가요
22 - 뭐 억울할 수도 있고 조심스레 말은 꺼내볼수 있지만...
결국 논문의 주인은 교수님입니다. 애초에 프로젝트 기반으로 시작한 논문이고, 선배 -> 님 순으로 담당학생이 바뀌면서 논문이 적힌거잖아요?
결국 그 프로젝트 책임자인 교수 판단입니다.
교수가 개인적으로 선배를 편애할 수도 있지만, 교수가 볼 때 선배가 프로젝트 초반에 기여한, 길을 튼게 크다고 생각할 수 있어요.
교수도 바보가 아니라서 앵간하면 그럴만하니까 공1 제안을 하는겁니다. 대놓고 저렇게 밀어주면 불만이 생긴다는걸 모르지 않으니까요.
그리고 첫번째 이름이면 단독저자랑 큰 차이 없습니다. 나중에 교수 임용 지원하실때 한 10편정도 1저자 실적이 있다고 가정하면 거기에 공동1저자 첫번째 이름이면, 그게 공동1이든 단독1이든 유의미한 차이가 없을거에요. 선배랑 사이도 고려해서(다음에 선배 논문에 님 이름이 또 잘 들어갈 수도 있잖아요?) 그냥 따르는걸 추천합니다.
공1저자인데 단독저자로 해달라고 요구해도 되나요?
25 - 아니 이력서는 그렇게 넣는게 맞습니다 코페르니쿠스님...좀 사회생활 안 해본 티좀 내지 맙시다 진짜;;
컨택 메일 난사했다가 큰일났네요
25 - 질문 참 성의없이 하네
어느 분야 어느 쪽에 관심 있다 어디어디 랩실 가고 싶다 써야 뭔 조언을 하든가 말든가 하지
연구자가 되고 시퍼용 편입해야할까용?
초등학생 장래희망 과학자 적는 것도 아니고
팍씨
지금 그 마인드로 컨택 메일 돌리면 읽씹 당하니까
기말고사 먼저 잘 준비하면서
내가 무슨 연구 하고 싶은지 어디로 가고 싶은지
먼저 정하고나서 다시 조언을 구하셈
하위지거국 자연대생인데
20 - 부산에서도 못해보셨으면 포기하시는게 현명합니다
연애 대체 어떻게 시작하나요
12 - 잘생기고 키큰데 연애를 못하는건 말이 안됩니다
본인 주변말을 믿지 마세요
스타일을 좀 깔끔하고 단정하게 가꿔보세요
연애 대체 어떻게 시작하나요
16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연애조언을 여기서?
맥도날드 알바한테 논문첨삭 받는 느낌이 이건가?
연애 대체 어떻게 시작하나요
14 - 반수하면 U 교수는 무슨죄임.. 안갈거면 말던가 가서 중간에 다른학교 간다고 포기하면 참..
P 면접 떨어지고 멘탈 터졌는데… U? 재수?
13 - 높은확률로 포공 교수가 유니스트 교수한테 레퍼런스 체크 할테고, 높은확률로 유니스트 교수가 안좋은말 하겠죠.
그게 아니라 숨긴상태로 입학했다가 나중에 포공 교수가 유니스트 교수등을 통해서 알게되는게 더 최악이고요.
대학원 입시를 대학입시처럼 생각하시는듯 하네요. ㅎㅎ
P 면접 떨어지고 멘탈 터졌는데… U? 재수?
13 - 혹시 미국 임용 도전해보셨나요? 단순히 한국이랑 비교하기 상당히 어렵습니다. 영어도 어느정도 편해야하며, 실적이 많다고 되는것도 아니고(한국은 비교적 실적이 좋으면 임용이 쉽다고 생각해서) 핏 잘 맞춰서 statements 잘쓰고 또 추천서도 '강력한' 걸로 잘받아야합니다.
미국 아이비리그와 타학교랑 구분한것도 이해가 잘안되지만, 여튼 t30은 정말 똑같이 힘들고, t50까지도 쉽지 않습니다.
무슨 학부나 대학원 입시도 아니고 자로 잰것처럼 t20, t30, t40 구분해서 교수임용 실력 구분하는게 참 어이가 없네요.. 뭐 한국이든 미국이든 임용준비 한번도 안해보신 티가 난다고 할까요 아니면 방구석 전문가가 연예인 a급 b급 c급 나누는것과 유사하다고 해야할까요.
교수 도 다 같은 교수가 아니라는 사실
12 - 솔직히 말해서, 교수들 집단에서 지들 끼리, 암묵적인 레벨을 더 Strict 하게 나눕니다.
예를 들어서, 국제 학회 가면, 미국 R1 대학 에서 랭크20위 안에서 테뉴어 나 테뉴어 트랙 교수는, 한국 교수 들 거들떠도 안 봅니다. 왜냐하면, 학회에서, 다른 동레벨인 국제급에서 연구 하는 교수하고 연구 또 네트워크를 쌓아야지 계속 아웃풋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즉, 한국에서 연구 하면 한국 사람들 끼리 엮이게 되고, 그러면 자연스럽게, 연구의 레벨도 낮아지게 되는 거를 우려하는 거죠.
하물며, 사실 대부분 교수는 국제 학회에 초청을 받지도 못하고, 초청 을 우째 받았다고 해도, 국내와는 달리 아무도 안 알아줘서, 그냥 상처만 받고, 귀국 합니다.
같은 학과 교수들끼리 밥 먹을 때도 마차가지 입니다.
교수들 간의 레벨은 엄연히 존재 하고, 그 차이는, 학부생과 아이비 박사 학생 간의 차이보다 훨씬 큰, 지구와 안드로메다 은하 차이 라고 보면 됩니다.
교수 도 다 같은 교수가 아니라는 사실
15
석사 후 취업 vs 석박통합
2023.09.03

긴글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석박통합을 제안하셔서 고민중에있습니다.
현재 저는 학연과정으로 연구소에서 학업을 하고있으며
졸업전 논문 2개를 목표로하고 진행중이였습니다.
하지만 저의 실수로 다른 졸업여건준비를 못하게되어서 석사를 2년 반만에 졸업하게되었습니다.
그리하여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 힘들어했습니다.
조언을 구하니" 6개월 추가가되는것이 너의 인생의 큰 리스크가 되지않는다. 그리고 기회가 된다면 하나를 더쓰자고 제안하셔서 가능하다면 논문 3개로 졸업을 하자" 라고 제안하셨습니다.
이러한 말이오가는와중 석박통합을 제안해주셨습니다.
석박통합을하게되면 졸업여건에 3개가 채워지게되며 운이따라준다면 그이상을 쓰고 석사기간포함 5년안에 논문 4개이상 졸업이 가능할것같습니다.
저는 박사를 예전에도 생각해봤지만 나이가있어 빠른졸업후 취업도 나쁘지않겠다 생각하여 졸업을 준비하고있었습니다.
그러다 석박통합이 2학년도 가능하다는걸 알게되어 많은 고민에 있습니다.
고민하는 이유입니다.
1. 영어가 많이 부족합니다.
당연히 취업을 위해 영어가 필요하지만 박사를 하게된다면 그 필요도가 더중시될것이라 생각됩니다.
2. 지거국
박사는 당연 논문과 실적이 중요하다고 하지만 한국 현실은 간판에 힘이 크다고 생각되어집니다.
3. 비주류 전공
석사 졸업 후 전공을 살려 취업하기 어려운 전공이며 박사 졸업 선배님들도 전공을 살리지 않고 취업을 하셨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이있다고 생각되어집니다.
그러면서도 고민하는 이유는
1. 인간관계
팀의 분위기가 좋습니다.
당연히 일이 힘들거나 빡세게 혼내실때도 있지만 저를 책임져주시는 슈퍼바이저와도 나름 잘맞는것같습니다.
그리고 팀원뿐만아니 주위동료들과도 사이가 좋습니다.
박사과정이 힘들다고하지만 이러한 분위기에서는 잘견디면서 이어나갈수있다고 생각되었습니다.
2. 후회
먼가 이러한 고민자체가 박사에 대한 미련이 남아있는것같습니다.
석박을 통해 박사과정의 시간을 줄일수있다는게 크면 지금 2년을 해오면 3~4년 충분히 할수있다고 생각되어서입니다.
이게 저의 생각의 정리입니다.
정리가 잘되지않은것같지만 선배님들의 조언을 듣고싶습니다.
가볍게 말씀해주시면 감사히 읽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석사졸업후 취업 김GPT 5 8 15979
석사 or 석박통합 김GPT 0 10 3072
석사 후 박사 vs 석박통합 김GPT 0 6 6432
석사후 취업 너무 힘듭니다. 김GPT 45 28 11395
석사졸 후 석박통합 재입학.. 김GPT 3 9 3014-
0 18 5656 -
1 0 7181
석사 후 박사와 석박통합 전환 김GPT 3 5 9512-
2 8 1420 -
216 23 85791 -
102 42 11001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 명예의전당 292 12 61243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사실 요즘 대학원생 공급량 보면 미래가 보이긴함
44 - 대학원생때 학폭 주도한 인간이 교수된거 보니
27 - 교수가 되려면 공부를 대체 얼마나 하시는건가요
42 - 서울대 교수가 말하는 창의성
39 - 한국에서 소신발언 조심해라
10 - 간장게장 Z의 첫 깨달음
39 - 졸업할 때 되니까 진심 ㅈㅅ하고싶은데 원래 이런가요
24 - 연구실에 돌릴 간식 추천드려요
11 - 대학원생 평균 하루 연구 투자 시간이 얼마나 되나요?
4 - 천재 K 데뷔했습니다.
11 - 물박사인데 정출연과 5급공무원 가능할까요?
7 - 가우시안 플러팅이 뭐에요?
6 - 교수님들 있어보이고 싶고 연구철학 없는 분들 꽤 많네요
15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석박통합 포기 조언부탁드려요..
7 - MDPI로 첫논문 내지마 엥간해선
21 - 연애 대체 어떻게 시작하나요
24 - 컨택 후 인턴 6달 후 탈락
16 - 형사법 지도 교수가 없는 경우
8 - 해외포닥 PI가 약속을 미친듯이 바꿉니다
11 - 교수님들은 학부생한테
12 - 대기업 퇴사하고 31살에 서울대 석사 진학 조언 부탁드려요
8 - 자대생 없는 랩실은 왜 별로인가요?
8 - P 면접 떨어지고 멘탈 터졌는데… U? 재수?
15 - 교수 도 다 같은 교수가 아니라는 사실
31 - 서울대/포스텍 대학원 고민
9 - 인정할 건 인정 하자. 중국이 우리나라 보다 열 수 위다.
11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사실 요즘 대학원생 공급량 보면 미래가 보이긴함
44 - 대학원생때 학폭 주도한 인간이 교수된거 보니
27 - 교수가 되려면 공부를 대체 얼마나 하시는건가요
42 - 서울대 교수가 말하는 창의성
39 - 한국에서 소신발언 조심해라
10 - 간장게장 Z의 첫 깨달음
39 - 졸업할 때 되니까 진심 ㅈㅅ하고싶은데 원래 이런가요
24 - 연구실에 돌릴 간식 추천드려요
11 - 대학원생 평균 하루 연구 투자 시간이 얼마나 되나요?
4 - 천재 K 데뷔했습니다.
11 - 물박사인데 정출연과 5급공무원 가능할까요?
7 - 가우시안 플러팅이 뭐에요?
6 - 교수님들 있어보이고 싶고 연구철학 없는 분들 꽤 많네요
1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유학가고 싶다면 포스텍도 괜찮은가요
32 - 안녕하세요? 선배님들의 현실적인 이야기를 듣고 싶습니다.
9 - 학부 졸업 후 다이렉트 유학 준비 중인데, 졸업 유예가 의미가 있을까요?
16 - 연애 대체 어떻게 시작하나요
24 - 컨택 후 인턴 6달 후 탈락
16 - 해외포닥 PI가 약속을 미친듯이 바꿉니다
11 - 교수님들은 학부생한테
12 - 대기업 퇴사하고 31살에 서울대 석사 진학 조언 부탁드려요
8 - 자대생 없는 랩실은 왜 별로인가요?
8 - P 면접 떨어지고 멘탈 터졌는데… U? 재수?
15 - 교수 도 다 같은 교수가 아니라는 사실
31 - 서울대/포스텍 대학원 고민
9 - 인정할 건 인정 하자. 중국이 우리나라 보다 열 수 위다.
11

2023.09.03
대댓글 1개
2023.09.03
2023.09.03
2023.09.04
2023.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