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정신건강 상담 전화은 전국 어디서나 1577-0199로 전화하여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67 - 정말 대단하십니다. 똑똑하시니까 이런 글을 썼을 때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반응할지도 아시겠죠.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39 - 노벨상 꼭 도전하셔서 구국의 영웅이 되시길 바랍니다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19 - Ai가 쓴 건가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19 - 요즘 조현병 환자들이 왤케 많은것 같지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17 - 블로그 보니까 챗지피티로 그냥 막질렀구만. 환각이야 전부다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13 - 미박, 미포닥 마치고 갓 임용된 교수님 아래에서 학위 받았는데 지도교수님 미국 네트워크가 아직 활발하셔서 지도교수님 인맥으로 미국 포닥 나왔네요
임용된지 얼마 안된 교수님 연구실 장점이 뭘까요?
15 - 젊은 교수님이시면 젊으시니 체력이 좋아서 빡세게 일하기 좋습니다. 그리고 의욕이 넘치셔서 성과를 속도감있게 낼 수 있구요. 교수님 은퇴까지 엄청나게 많이 남아있으니 사회에 진출한 이후에도 교수님 후광을 업을 수 있습니다. 이건 매우 큰 장점이에요.
임용된지 얼마 안된 교수님 연구실 장점이 뭘까요?
17 - 스스로 셋업해봤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임용된지 얼마 안된 교수님 연구실 장점이 뭘까요?
13 - 나이가 차이 별로 안나서 꼬시면 넘어갈 수도 있음
임용된지 얼마 안된 교수님 연구실 장점이 뭘까요?
12 - 찰학자 A는 Autism의 A인가보죠?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13 - 이 분은 정말 천재입니다.
어떻게 하면 조회수를 올릴 수 있을지 정확히 알고 계시네요.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15 - 홈페이지 등 이력 찾아보니,
석박 통합 4년 반 + 포닥 2군데서 1년 반
도합 6년 넘는 동안 1저자 15편인데... 이게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지는 않네요..
언론에서 과장한다고 2저자 3저자 그이상 전부다 끌어와서 70편 썼다고 어그로 끌어서 그렇지..
논문 70편 쓰고 교수 임용되신 분 구글 스콜라 들가서 일일히 세어봤습니다.
20
석사 후 취업 vs 석박통합
2023.09.03

긴글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석박통합을 제안하셔서 고민중에있습니다.
현재 저는 학연과정으로 연구소에서 학업을 하고있으며
졸업전 논문 2개를 목표로하고 진행중이였습니다.
하지만 저의 실수로 다른 졸업여건준비를 못하게되어서 석사를 2년 반만에 졸업하게되었습니다.
그리하여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 힘들어했습니다.
조언을 구하니" 6개월 추가가되는것이 너의 인생의 큰 리스크가 되지않는다. 그리고 기회가 된다면 하나를 더쓰자고 제안하셔서 가능하다면 논문 3개로 졸업을 하자" 라고 제안하셨습니다.
이러한 말이오가는와중 석박통합을 제안해주셨습니다.
석박통합을하게되면 졸업여건에 3개가 채워지게되며 운이따라준다면 그이상을 쓰고 석사기간포함 5년안에 논문 4개이상 졸업이 가능할것같습니다.
저는 박사를 예전에도 생각해봤지만 나이가있어 빠른졸업후 취업도 나쁘지않겠다 생각하여 졸업을 준비하고있었습니다.
그러다 석박통합이 2학년도 가능하다는걸 알게되어 많은 고민에 있습니다.
고민하는 이유입니다.
1. 영어가 많이 부족합니다.
당연히 취업을 위해 영어가 필요하지만 박사를 하게된다면 그 필요도가 더중시될것이라 생각됩니다.
2. 지거국
박사는 당연 논문과 실적이 중요하다고 하지만 한국 현실은 간판에 힘이 크다고 생각되어집니다.
3. 비주류 전공
석사 졸업 후 전공을 살려 취업하기 어려운 전공이며 박사 졸업 선배님들도 전공을 살리지 않고 취업을 하셨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이있다고 생각되어집니다.
그러면서도 고민하는 이유는
1. 인간관계
팀의 분위기가 좋습니다.
당연히 일이 힘들거나 빡세게 혼내실때도 있지만 저를 책임져주시는 슈퍼바이저와도 나름 잘맞는것같습니다.
그리고 팀원뿐만아니 주위동료들과도 사이가 좋습니다.
박사과정이 힘들다고하지만 이러한 분위기에서는 잘견디면서 이어나갈수있다고 생각되었습니다.
2. 후회
먼가 이러한 고민자체가 박사에 대한 미련이 남아있는것같습니다.
석박을 통해 박사과정의 시간을 줄일수있다는게 크면 지금 2년을 해오면 3~4년 충분히 할수있다고 생각되어서입니다.
이게 저의 생각의 정리입니다.
정리가 잘되지않은것같지만 선배님들의 조언을 듣고싶습니다.
가볍게 말씀해주시면 감사히 읽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석사졸업후 취업 김GPT 5 8 15761
석사 or 석박통합 김GPT 0 10 3032
석사 후 박사 vs 석박통합 김GPT 0 6 6339
석사후 취업 너무 힘듭니다. 김GPT 45 28 11058
석사졸 후 석박통합 재입학.. 김GPT 3 9 2960-
0 18 5520 -
1 0 7089
석사 후 박사와 석박통합 전환 김GPT 3 5 9245-
2 8 1376 -
360 34 95416 -
112 53 115393 -
166 29 18460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아무리 강사라도 상명대 출신이 서울대 교단에 서는 건 말이 안되지 않나???
102 - 하위권 지거국에서 학점 4.4 졸업이면 어느 대학원까지 가능한가요?
21 -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37 - 임용된지 얼마 안된 교수님 연구실 장점이 뭘까요?
17 - Science 저널에 투고 후 현재 상황
10 - 부산대 대학원 생각 있습니다
13 - 논문 70편 쓰고 교수 임용되신 분 구글 스콜라 들가서 일일히 세어봤습니다.
34 - 포스텍 AI대학원 합격했네요..!
9 - 정출연 선임 무물
9 - 25학번 지잡대생인데 대학원 권유 받았습니다
7 - 해외포닥이라고 다 존중받아야 하는거는 아닌듯
11 - UNIST 현실 (feat. 폭풍 1박사반점)
6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3편입니다.
8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만 51세 여성 지인이 미국 박사유학 상담을 해온다면... 뭐라고 말해줘야 하나요?
74 - 미국 Top 30 기계/로봇 석사과정 합격 가능할까요..?
29 - 다이렉트 박사 현실적 가능성
11 - 미박 지원서를 몇 개를 써야할 지를 모르겠습니다
18 - 미국 유학 외 선택지?
14 - 하위권 지거국에서 학점 4.4 졸업이면 어느 대학원까지 가능한가요?
21 -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37 - 임용된지 얼마 안된 교수님 연구실 장점이 뭘까요?
17 - Science 저널에 투고 후 현재 상황
10 - 부산대 대학원 생각 있습니다
13 - 논문 70편 쓰고 교수 임용되신 분 구글 스콜라 들가서 일일히 세어봤습니다.
34 - 정출연 선임 무물
9 - 해외포닥이라고 다 존중받아야 하는거는 아닌듯
11
2023.09.03
대댓글 1개
2023.09.03
2023.09.03
2023.09.04
2023.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