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SKP에 괴수들 천지인데 잘 모르셨나 보네요.
그리고 한국에서 네이처 셀 자매지 내는게 당연한게 아님.
이런 글은 글쓴이가 다른곳 가서 네이처 셀 자매지 내고나야 의미가 있지 않겠음..? 님이 다른곳가도 그냥저냥 졸업할 확률이 높음.
본인은 바이오 박사인데 SKP든 어디든간에 바이오쪽에서 IF 10이상 내거나 1저자 5편이상 내고 졸업한 사람은 손에 꼽을 정도로 적음.
배가 가라앉기 전 탈출에 성공한 나..
20 - 더 문제는 비단 AI뿐만이 아님 ㅋㅋㅋㅋ
ai 학과 증원 정책 보면 ㅈㄴ 한심하네 ㅋㅋㅋㅋ
19 - 원래 민주당식 방식이 그렇지
ai 학과 증원 정책 보면 ㅈㄴ 한심하네 ㅋㅋㅋㅋ
26 - 서울대 카이스트 교수도 ai 연구자 상위 1000명에도 못드는데 뭔소리하노 . 괜히 올려치기 하지마라
ai 학과 증원 정책 보면 ㅈㄴ 한심하네 ㅋㅋㅋㅋ
18 - SK에 비해서 선호도가 좀 떨어지긴 하지만 P는 여전히 명실상부한 최고의 공대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사람이 적고 지방에 있다는 이유로 일부 타대 훌리들이 내려치기하기 딱 좋은 타겟인거죠.
무슨 별 의미도 없는 대학 랭킹 같은거 들이밀면서 뭐라 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연구 수준과 성과, 학생 지원 등은 의심할 여지 없이 최고 수준입니다.
P는 이제 별로인가요...?
24 - 학위 이후 학계에 그리 오래 있지는 않았지만, P가 별로인가 라는 걱정은 안하셔도 됩니다. 포항공대는 누구나 최고의 역량을 가진 학교로 인정하고, 그 이름값을 하는 학교입니다. 최근 도전적인 투자도 많이 하구요. 서울대 카이스트와 어깨를 나란히 해도 전혀 이상하지 않으니, 학교를 걱정하지 마시고 앞으로 오랜 기간 해야 할 박사과정의 주제와 목적의식에 집중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김박사넷 내에서 여론이 안좋다는 것도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김박사넷에서도 다들 서카포, SPK 등등 표현을 당연하게 쓰는 것 같습니다. 아무쪼록 훌륭한 학위 과정 보내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P는 이제 별로인가요...?
17 - 아니 대부분은 폐급 대학원생 남자가 아니라 그냥 폐급 인간에 대한 얘기잖아
대학원생 남자 폐급론
24 - 찐 폐급: 자기는 폐급 아닌줄 알고 남 까는애
대학원생 남자 폐급론
43 - 본인소개?
대학원생 남자 폐급론
13 - SKP가 서로 대체제라는 의견과는 약간 다른 생각입니다. 세 대학은 엄연히 모토와 학풍에 큰 차이가 있습니다. P 목표는 SK가 아닙니다 칼텍이죠. 그리고 S, K 목표는 하버드와 MIT 입니다. 서로 모델도 다른 학교들을 같은 선상에서 비교하는게 이상한거 같습니다.
한국 최고 소수 정예 공대 = 포스텍
한국 최고 종합대 = 서울대
한국 최고 융합 공대(??) = 카이스트
카이스트는 공대지만 규모도 더 크고 포스텍 대비 문과 기반의 랩도 많은 등 MIT를 표방하고 있죠. 아무튼 위 기준을 부정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SKP 라고 많이 묶어 부르는 것이구요.
P는 이제 별로인가요...?
14 - 이걸 이렇게 정리해서 적어놓고 까는애도 정상은 아니다 ㅋㅋㅋㅋ
대학원생 남자 폐급론
15 - ㅋㅋ애초어 어그로 뻘글에 답글 안달고 싶었지만, IMF 외에 위험도 없었다니 웃고 갑니다. 그 IMF 한번이 얼마나 심각했었는지 찾아보세요 ㅋㅋ
스윗한 척 하는 남자 교수님 특징
22 - 해외 명문대 갔으면 더 좋은 기회가 있었겠죠. 안주하지 마시길 .
P에서 공부할 수 있는게 너무 감사한 요즘입니다.
15
아무리 논문실적이 중요해도 학벌의 한계는 결국 존재하더라.
2023.08.14

Nature Communications, Science Advances 정도 수준의 자매지가지고는 학벌의 격차를 넘을 수 없더라...
SPKYK 대학 아닌 인서울 또는 수도권 또는 지방대 출신 학석박인데 (특히 학사...), Nat. Commn. Sci. Adv. 를 2~3편 가지고 있어도.
SPK 학석박 출신이 저 논문들보다 한단계 아래라고 인식되는, ACS Nano, AFM, 수준의 논문 2~3편 가진 사람 둘이 올라오면 결국 SPK 학석박을 더 선호하더라.
또 SPK 학석박 출신이 Nat. Commn, Sci. Adv. 를 2~3편 가지고있어도
MIT, Harvard, Stanford의 학석박 출신의 저논문들보다 한단계 아래인 ACS Nano, AFM 수준의 논문을 2~3편 가지고 있는 사람 둘중에서 Academic 이든 Industry 든 결국 후자가 선택받더라.
본인의 학벌의 한계를 벗어나려면
최소 Nature Nanotechnology, Nature Materials, 정도 수준의 저널은 써야... 가능한것같더라.
-
38 32 10544
원래 학계가 이렇나요 김GPT 26 14 8660
학점이 너무 낮아 고민입니다 김GPT 0 5 2226
잘하고 있는지 봐주실 분 김GPT 1 8 1232
까는 것 김GPT 6 4 509-
26 6 3838
논문의 깊이 김GPT 0 3 259
3년차 논문 투고가 요원합니다 김GPT 4 2 1404
학부연구생 정말 고민이 많습니다 김GPT 0 0 1165
대학원 생활이 힘든 이유들 명예의전당 151 34 104728
학계를 떠나며 명예의전당 166 25 76417-
165 33 46304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근데 학계 있다보면 진짜 썩었다는 생각 안드냐?
44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565 -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
187 - 학연협동과정을 고민하는 후배분들께
14 -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79 - 괴수랩은 아직 여전히 존재하나보네요
28 - GPT로 논문 수정해서 제출하라는 교수님
5 - [속보] AI 입학정원 증원 빔 ㅋㅋㅋㅋㅋ.jpg
59 - 수학자가 되고 싶은 아이, 학교선택
9 - 지피티가 저보다 코딩을 훨씬 잘합니다..
28 - 무능력한 저에 대해서 생각할 때마다 힘듭니다.
9 - AI 스타펠로우십 선정 대학 목록
10 - 높은 타대에 갈 수 있다면 옮기는게 좋을까요?
5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배가 가라앉기 전 탈출에 성공한 나..
18 - 대한민국 학계가 답이 없는 이유
15 - 박사까지 졸업하면 빚 7천만원 생길 것 같아요..
15 - ai 학과 증원 정책 보면 ㅈㄴ 한심하네 ㅋㅋㅋㅋ
24 - 랩실에서의 존댓말과 위계질서 문화 질문드립니다
18 - P는 이제 별로인가요...?
30 - 대학원생 남자 폐급론
25 - Mdpi 부실저널?
8 - P에서 공부할 수 있는게 너무 감사한 요즘입니다.
11 - 스윗한 척 하는 남자 교수님 특징
18 - 이공계 인재유출 뉴스만 보면 핀트가 거슬리는 점
13 - 카이스트에 세계 최고수준의 인력 있는거 맞냐?
9 - 김박사넷, ‘연구자 커뮤니티’라는 정체성을 잃고 있습니다
6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미국 박사 합격 후기 웨비나 | 재수로 풀펀딩 합격 "시험 점수는 그대로, 나만 바꿨다"
7 - 근데 학계 있다보면 진짜 썩었다는 생각 안드냐?
44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565 -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
187 - 학연협동과정을 고민하는 후배분들께
14 -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79 - GPT로 논문 수정해서 제출하라는 교수님
5 - [속보] AI 입학정원 증원 빔 ㅋㅋㅋㅋㅋ.jpg
59 - 수학자가 되고 싶은 아이, 학교선택
9 - 지피티가 저보다 코딩을 훨씬 잘합니다..
28 - 무능력한 저에 대해서 생각할 때마다 힘듭니다.
9 - AI 스타펠로우십 선정 대학 목록
10 - 높은 타대에 갈 수 있다면 옮기는게 좋을까요?
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트럼프 시대, 미국 석박사 유학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생존 전략
86 - 배가 가라앉기 전 탈출에 성공한 나..
18 - 대한민국 학계가 답이 없는 이유
15 - 박사까지 졸업하면 빚 7천만원 생길 것 같아요..
15 - ai 학과 증원 정책 보면 ㅈㄴ 한심하네 ㅋㅋㅋㅋ
24 - 랩실에서의 존댓말과 위계질서 문화 질문드립니다
18 - P는 이제 별로인가요...?
30 - 대학원생 남자 폐급론
25 - Mdpi 부실저널?
8 - P에서 공부할 수 있는게 너무 감사한 요즘입니다.
11 - 스윗한 척 하는 남자 교수님 특징
18 - 이공계 인재유출 뉴스만 보면 핀트가 거슬리는 점
13 - 카이스트에 세계 최고수준의 인력 있는거 맞냐?
9
2023.08.14
2023.08.14
2023.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