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까 노벨상 언급한 사람인데 서울대를 사람들이 좋은 대학이라고 하는 것은 인정한다.
그런데 qs 평가에서 어떻게 칼텍보다 학문적 명성이 높으냐? 하는 것이 나의 질문의 요지이다. 요즘 세상에 국내용은 의미가 없지 않겠니? 그러니 세계적으로 평가하는 것 아니겠냐?
Caspar David Friedrich*
2020.06.19
분명히 서울대는 국내에서는 좋은 대학이다. OK. 세계에 공학 및 과학 학자 10명을 물어봐라. 누가 서울대를 칼텍과 비교하겠나? 너는 어떻겠냐? 난 솔직히 의문이다. 내가 이상하나?
Raphael*
2020.06.19
그러니까 노벨상이 세계적인 과학 수준을 평가하는 지표냐고 묻는거다. 어떤 상관 관계가 있는지 설명해보라고.
우리나라가 관광산업국이니? 농업국가니?
IT, 중화학 등등 2차산업 것도 수출로 먹고살고
것도 세계 10위권 경제/산업규모인데
노벨상없고 학교순위 떨어진다고 국가과학기술이
세계수준이 아니라는 거냐고 묻는거다
Caspar David Friedrich*
2020.06.19
그러니까 너는 서울대가 칼텍보다 학문적 명성이 높다는 거냐? Yes/No로 답해라.
Raphael*
2020.06.19
명성이 모냐 에효
너 애기냐?
설대가 칼텍보다 명성이 높다 낮다를 yes no로 대답해라?
고딩이니? 디씨에서 놀다왔니
Caspar David Friedrich*
2020.06.19
그래 봐라. 너도 Yes라고 답 못한다. 그지? 그런거다. 그런데 세계 어떤 학자가 서울대를 칼텍보다 학문적 명성이 높다고 하겠냐?
Raphael*
2020.06.19
"학문적 명성" 이게 정량적인 값이니
정성적인 값이니 알려줄래?
Rosalind Elsie Franklin*
2020.06.19
적어도 노벨상을 "학교에서만" 37명 배출한곳이 칼텍인데
칼텍보다 서울대가 학문적 명성이 높다고 평가한 qs 평가가
적어도 정량적인 값은 아니겠죠
Raphael*
2020.06.19
그런데 과학기술의 수준을 평가하는데 학문적 명성으로
우열을 얘기하는게 적절하냐는 말입니다.
근대 대학이라는 형태 특히 자연과학과 공학은
우리나라가 그 대학다운 형태를 갖춘건 그나마 90년대정도
즤 30년 밖에는 안되었고 대학원은 2000년대 중반정도에나 제대로 자리잡았죠. 그런데 100년 이상된 미국과 그보다 훨씬 오래된 유럽대학들이 배출하는 노벨상 수상자를 비교하는건 정말 말도안되죠. 80년대만 해도 대학교수들 중 중고딩 선생하다 학위과정중 임용된분들 많았어요.
그런 지표들은 지금 대학 또는 우리나라 과학기술 수준을 평가하긴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해요.
Rosalind Elsie Franklin*
2020.06.19
근데 노벨상 수상자 0명인 서울대가 (한국 비하 아님) 37명인 칼텍보다 학문적 명성이 더 높잖아요 한국대학은 역사가 짧아서 그럴 기회가 없었다는 논지이신거 같은데 오히려 더 고평가 된 것이 아닐까요?
Raphael*
2020.06.19
네 그래서 그 명성이란 것도 노벨상과 상관관계를 얘기하는 것이 무리라고 생각해요.
그니깐 전 노벨상이란건 그냥 상징성 같아요.
어떤 지표가 아닌
ㅎㅎ 그만 할께요.
전 사실 서울대랑도 카이스트랑도 외국대학과는 아무상관 없는 사람인데요.
IBS같은거 만들어서 노벨상 수상자 만드려고 애쓰는게 안쓰러워서요. 그 상은 그냥 그 수상자의 명예 그이상 그이하도 아니라고 생각되는데 저런 프로그램때메 손해보는 작은 연구 그룹들의 피해도 상당하고 암튼 외국서도 BK IBS WCU이런거 눈먼돈으로 유명해요
암튼 그만 할께요
2020.06.19
2020.06.19
2020.06.19
2020.06.19
2020.06.19
2020.06.19
2020.06.19
2020.06.19
2020.06.19
2020.06.19
2020.06.19
2020.06.19
2020.06.19
2020.06.19
2020.06.19
2020.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