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정도 동의하나, 국내 대학원 진학은 눈에띄는 연구실적을 내기가 어렵기에 대다수가 학부/학점으로 결정되는건 맞는것같습니다. 물론 본인이 컨택을 해봐야 아는것이며, 연구실 상황등 변수들도 존재하겠지만.. 평균으로 볼때는 아예 의미없는 질문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걱정되는건 여기에 근거도 부족한 의견들에 기죽어서 도전도 안해보는 사람들은 없기를 바라네요.
대댓글 2개
2023.08.09
여기다 "가능할까요" 묻고 있을 시간에 컨택 이메일 하나라도 더 써서 면접 하나라도 더 보는 게 진학 확률은 더 높을 것 같음ㅋㅋ
2023.08.09
저도 이 댓에 동의하는게 국내 대학원 진학에 결정적인 요인은 학부+학점임. 따라서 마치 대입 수시와도 같은 느낌이 큼
따라서 저 질문은 일반고 1.xx 학종으로 xx가능할까요? 라는 질문과도 같은데 이 질문이 글쓴이가 말하는 것처럼 의미없는 질문은 아닌것 같네요.
2023.08.09
동의합니다. 대학입시처럼 학부/학점/어학 등 정량적인 스펙으로 줄세우기식으로 결정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 것 같습니다. 당연히 이런 지표들이 성실성이나 학업능력을 보는 중요한 요소지만 다른 노력으로도 충분히 어필할 수 있습니다. 연구분야를 고민하고 연구실을 탐색 및 논문을 읽어보면서 어떤 공부를 해야하는지 스스로 찾아보고, 인턴이나 주어진 여건 내에서 해당연구에 필요한 스킬들을 키우고 관심있는 랩에 어떠어떠한 연구를 해보고싶다고 컨택한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23.08.09
그럼 뭘로 물어보나요...?
대댓글 3개
2023.08.09
저 학부랑 학점은 비밀이고, 열정이 많고 성실하며, 대인관계가 원만한데 spk진학할수있나요?
2023.08.09
자기가 가고 싶은 연구실 알아보고 거기서 타대생을 받는지 보고, 받는다고 하면 컨택을 먼저 해볼생각을 해야지. 아무것도 하지도 않고 그냥 글만 띡 올리면 뭐가 나옴? 같은 학교라도 자대생만 받는 랩도, 타대생도 받는 랩도 있어서 다양한데, 무슨 대학입시마냥 성적만으로 가는 것도 아니고, 지도교수랑 컨택해서 직접 알아봐야지
2023.08.10
요즘 애들은 진짜 생각이 없구나
2023.08.09
저 혹시 spk가능할까요?
2023.08.09
맞아요.. 그렇게 해서 들어가면은 어차피 드는 생각이라고는 내 옆의 아이는 나보다 학부도 낮고 학점도 낮은데 어떻게 들어왔지? 이런 질투심 뿐인걸요. 결국 본인의 시야를 좁히는 행위
염세적인 우장춘*
2023.08.10
관심있는 주제같은것도 생각 안 하고 제목에 적힌것만 띡 올리면 ㄹㅇ 얘는 왜 대학원오는건가 싶긴해요
2023.08.10
왜 그런지 정말 이해 안감...학점이 낮거나 학교가 낮아도 좋은 대학 가는 애들 수두룩 한데 어떻게든 위안을 얻고 싶은걸까. 안된다고 하면 그냥 도전도 안해보고 안쓸건지, 심리를 이해할 수 없음...
2023.08.09
대댓글 2개
2023.08.09
2023.08.09
2023.08.09
2023.08.09
대댓글 3개
2023.08.09
2023.08.09
2023.08.10
2023.08.09
2023.08.09
2023.08.10
2023.08.10
2023.08.10
2023.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