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소재합성 vs Device

2023.08.04

13

1036

조언좀 해주세요 ㅠㅠ 화학과에서 재료합성 학부연구생 입니다.
전자재료 합성랩인데 차후 진학시 세부적으로 재료합성 을 갈지 Device 를 할지 많은 고민이 있습니다.
선배님들의 경험 들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3.08.04

재료합성이 학계나 취업에는 훨씬 더 유리 한데 일단 본인이 재미있는거 해야죠

대댓글 3개

2023.08.05

디바이스가 더 유리합니다. 재료쟁이 갈곳이 많이 없네요. 업계 최전선에서 개척하는데...

2023.08.05

합성하면 당연히 어플리케이션도 하는거 아님? 재료화학하는 사람들 중에 합성에서 그치는 곳이 어디있음?

2023.08.06

안타깝게도 내가 잡은 재료하고 맡은 측정쪽이 합이 안좋았음. 전기화학쪽은 다른학생들한테 뺏기고, 궁여지책으로 전자소자쪽으로 방향틀은 경험이 있어서 말하는 거임.
뭐가됫건 한가지 측정 쪽을 주로 맡으면, 재료는 다른애들한테 받아서 진행하면 됨. 근데 반대로 재료합성에 무게를 두는 경우에는.. 주변사람들은 신나고 내밥그릇은 못챙기는 개떡같은 상황이 생길수있음...
어쩌다보니 재료합성외에 광학 전자 전기화학 증착 패터닝 등등 잡다하게 익히는중... 휴...

2023.08.04

소재 합성이 어플리션 분야가 어디냐에 따라 다른데 취업할 때 배터리나 다른 응용 분야로 걸치기 더 좋음

대댓글 2개

2023.08.04

유기 쪽 무기 쪽 어느쪽이 괜찮을까요 ㅠ

2023.08.04

전극소재면 고체(무기)가 맞는데 환경이나 촉매쪽으로 어플리케이션하는 무기합성방 같은 곳은 피하시고 차라리 유기 쪽이나 고분자가 나음

2023.08.04

고체재료방가서 전극 소재 만드세요. 걔네는 배터리 회사는 취업 그냥 프리패스임..화학과면 학계로 나가기도 유리하고

2023.08.04

화학과면 딱 선호도 정해져 있지 않나요? 고체화학 고분자 유기합성 아닌가. 교수될거 아니면 생화학 MOF 환경화학 이런 거만 잘 피해가면 됨
징징대는 알렉산더 벨*

2023.08.05

대학원 진학하시면 충분히 시간되니 합성과 디바이스 병행하시길 바래요. 재료 합성 만으로는 획기적인 아이디어나 노벨티가 없으면 큰 저널은 게재하기 어렵습니다. 연구면에서, 과제수주면에서, 최종적으로 본인역량을 위해서라도 병행이 옳습니다. 특정 디바이스를 위해, 디바이스의 어떤 부분을 개선하기위한 재료합성 을 모티베이션으로 삼으면 연구도 보다 수월해 질 거에요

대댓글 1개

2023.08.05

이게 ㄹㅇ임. 둘 다 하는게 베스트

2023.08.05

윗분 말씀대로 재료합성 하나만으로는 논문 못써요. 설령 쓴다하더라도 그게 메리트가 있는지 없는지는 디바이스에 직접 응용해봐야 아는거구요.
재료합성만 한다면 출근도 일주일에 3일만해도 될겁니다. 그리고 분야나 유,무기 물어보시는데 본인이 어느쪽에 더 흥미가 있고 관심이 가는지 정확하게 판단하는게 제1순위입니다. 남들한테 의존하면 연구흥미 잃어요

2023.08.05

재료하나는 기깔나게 하는데 정작 재미는 주변사람들 콜라보레이터들이 다 보는중. ...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