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스트가 안좋은 학교는 아니지만 정말 가고싶은 랩이 있는게 아니라면, 왜 중앙대에서 유니스트 대학원을 준비하시죠? 과기원 환상이라기에는 카이스트가 있고, 비슷한 유형의 포스텍도 있는데
대댓글 2개
2023.07.16
카이스트 포스텍은 학점이나 학연생 경험 측면에서 역량이 부족할 것 같습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2023.07.17
중앙대 유니스트 관계가 연고대 포스텍이랑 비슷한 관계라고보는데 요새 포스텍이 연구시설 더 좋고 학교레벨이 높다고해서 연고대에서 포항까지가서 포스텍을 가진않죠. Spk가 안된다면 저라면 자대를 갈것 같네요.
2023.07.16
그냥 자대가 나을것같습니다 학교로 유의미한 차이도 없고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에너지도 들구요.. 그래서 저는 포스텍 대학원 안가고 자대(고대)대학원 갔습니다
대댓글 3개
2023.07.16
의견 감사합니다
2023.07.17
중대 대학원은 유니스트 대학원에 비해 메리트가 적은 게 맞다고 봅니다. 다만, 저도 포스텍이나 카이스트를 차라리 추천하네요.
중대는 대학원 메리트가 많이 떨어집니다
2023.07.17
대학원 메리트는 랩마다 다르죠 중대 대학원이 평균적으로 펀딩이나 실적이 유니스트보다 낮을 테지만, 중대 내에서도 특출난 랩들은 있을겁니다. 자대생이니까 당연히 그런 랩들도 합격할꺼고요. 이런 측면에서 자대생은 전반적인 대학원 수준으로 고를 이유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둘다 타대라면 유니스트 추천하겠지만.. 저도 당연히 카이스트 포스텍을 추천하지만 여기가 안되고 자대 vs 유니스트를 고민할때 저는 자대를 추천할거 같네요. 다만 가고싶은 분야 랩의 실적이 자대보다 유니스트가 월등히 좋다면 유니스트 가야죠.
2023.07.16
유니스트가 훨씬 좋습니다. 1. 대학, 대학원, 이제 성인인데... 독립적으로 생활할 나이입니다. 아빠 엄마 가족과 따뜻하게 살면서 대학원 보낸 사람보다는, 집은 서울이지만 유니에서 대학원 생활한 사람이 좀 적극적이고 진취적이고 독립적인 인간으로 느껴집니다. 아마도 나중에 직장 구 할 때, 평가자도 다소 그렇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2. 청년(여성포함함)시절, 치열하게 자기 전공에 대한 세계를 구축하는 시기입니다. 24시간 자기 전공에 집중 해보려는 기회가 훨씬 매력적이지 않나요 ? 가급적 기숙사에 들어가시기 바랍니다. 동료들도 집에 가는 것이 아니라, 가봐야 기숙사 가니, 항상 생각하고 토론할 수 있는 환경이 주어집니다. 모든 것이 쌩쌩한 청년시절에 독립적으로 생활하면서 어떤 것에 집중 해보려는 생각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 3. 종합대학에 속한 이공계 학과에 비해, 대학원 코스웍이 학부와 비슷하거나 더 높은 강도로 수업이 진행됩니다. 상대적으로 훨씬 충실한 교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종합대학의 대학원은 이런 경향이 덜 합니다.
대댓글 1개
2023.07.18
유니스트 교수님??
2023.07.17
논문많이 쓰는것도 중요하지만, 다양하고 좋은 실험 환경에서, 자기 분야에서 충실한 코스웍을 강도높게 받았는지, 자기 분야 전반을 치열하게 학습했는지도 매우 중요합니다. 기업이나 연구소에 취업해서 학교 때 자신의 연구와 일치하는 연구를 평생 계속할 가능성은 거의 0입니다. 살짝 다른 분야를 접하고 시도하고 수행할 때, 튼튼한 코스웍 & 다양고 깊은 배경지식이 매우 중요합니다. 회사관계자나 연구소 관계자들도 이런 사실을 잘 알고 있어서, 비슷한 대상자이거나 다소 실적이 부족해도 ist계열 학생을 선호하는 이유 중 하나 입니다. 독립할 시기인데도, 가족과, 여자(남자)친구와 지내는 것이 좋아서, 자기 출신 지역에서 부모님과 살면서 대학,대학원을 했다. 제가 회사 인사 담당자면 이런 사람 안 뽑습니다. 다른 일이 주어지거나, 부모님이나 고향과 떨어지는 곳에 발령을 내거나, 도전적인 과제가 주어질 때, 어떤 사람이 일을 더 잘할지 생각해보면 바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더군다나 반도체 대학원인데... 비교 불가 입니다. 아무 이유 없이 자꾸 자대 가라는 댓글이 달리더라도 (왜 이런 자대 추천을 자꾸 하는지 ... ) 무시하시고 유니 가는 것이 백배 더 좋습니다.
솔직히 중대에서 서포카 안가고, 굳이 유니스트를... 이라는 생각이 들긴 하는데 그렇다고 중대 자대 대학원이 좋은 선택은 아닌 듯
2023.07.17
구지..?
2023.07.17
spk못가면 자대 가는게 맞음
2023.07.17
석사취업은 교수님 성향을 알고 선배 도움받을수있는 자대가 메리트가 있습니다. 교수진 연구실적 장비 커리큘럼은 대체로 유니스트가 좋겠고요. 두 학교 관심있는 연구실 찾아서 교수님성향 연구주제 실적 졸업생 실질인건비 등등 고려하시어 결정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자대를 가시더라도 타대준비해본 경험이 연구하실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IF : 2
2023.07.17
솔직히 중대 출신들 자대 잘 안 가요.
서포카로 많이들 가죠~ 유니스트로 오는 중대생들은 적긴 하지만, 왠만한 중대 인기랩 가는 게 아닌 게 아닌 이상, 유니스트가 더 나은 선택지인 건 맞아요.
다만, 유니스트 가는 메리트가 크냐는 건데... 석사라면 저라면 유니스트 가겠네요. 박사면, 서포카 떨어지면 유니스트 가고~ 나중에 서포카로 박사 지원할 것 같아요
대댓글 1개
2023.07.17
오히려 석사라면 자대를 가야죠.. 박사면 연구환경 좋은데 찾아가는게 맞고. 석사때 서카포도 자대도 아니면 왜 타대 가서 석사 땄냐고 백퍼 물어봅니다
2023.07.18
혹시 중앙대 박성규 교수님 랩은 알어? 거기 랩 좋아 박성규 교수님은 학계에서도 누구나 인정하셔 거기서 석사하고 살아나면 과기원 박사 생각해보는 것도 추천해
2023.07.18
중앙대 출신이 유니스트 들어가면.. 'skp 실패했구나. 심지어 yk도 못갔네'라는 인상이 듭니다. 차라리 자대 가는 것보다 훨씬 못해요. 절대 비추입니다.
2023.07.16
대댓글 2개
2023.07.16
2023.07.17
2023.07.16
대댓글 3개
2023.07.16
2023.07.17
2023.07.17
2023.07.16
대댓글 1개
2023.07.18
2023.07.17
2023.07.17
2023.07.17
대댓글 1개
2023.07.17
2023.07.17
2023.07.17
2023.07.17
2023.07.17
대댓글 1개
2023.07.17
2023.07.18
2023.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