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SK에 비해서 선호도가 좀 떨어지긴 하지만 P는 여전히 명실상부한 최고의 공대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사람이 적고 지방에 있다는 이유로 일부 타대 훌리들이 내려치기하기 딱 좋은 타겟인거죠.
무슨 별 의미도 없는 대학 랭킹 같은거 들이밀면서 뭐라 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연구 수준과 성과, 학생 지원 등은 의심할 여지 없이 최고 수준입니다.
P는 이제 별로인가요...?
36 - 탄탄한 허리층이 받쳐줘야 되는건 당연하죠. 그런데 무시하는게 아니라, 혁신은 기업 톱니바퀴로서 묵묵히 일하는 직장인들이 하기 어렵습니다.
새로운 기술을 활용해 시장을 새로 만들고, 해외와 기술력으로 경쟁하는건 결국 한두명의 우수한 인재들 중심으로 돌아갑니다.
해외에서도 탐낼만한 박사급 인력의 경우, 한국인 인재가 1년에 몇명 배출 안됩니다. 인공지능분야 국내박사 졸업생이 최근에 많아졌지만, 그 중에서 우수한 국박은 몇 안되는데 잘한다고 소문난 사람은 거의 미국으로 갑니다. 결국 남는 사람이 없어요.
나머지 괜찮은 인재들도... 기술력 바탕의 스타트업 창업등으로 새로운 시도를 해야되는데, 그냥 국내 대기업 들어가서 평범한 직장인으로서 대기업의 부품이 되고 맙니다. 미국과 중국처럼 우수 인재들을 바탕으로 기술중심의 신시장 창출은 잘 안됩니다.
이게 무슨말이냐면, 지금 우리나라 학생들 지원 프로그램이 이미 탄탄한 허리층 두텁게 하는데 많은 역할을 하는데 그치고 있고, 혁신을 해 줄 수 있는 특출난 한두명은 잘 키워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최근 인공지능 중심의 산업은, 더더욱 소수의 천재들이 주도합니다 .괜히 메타가 최근 천문학적 금액으로 인재 영입을 하는게 아니에요.
이공계 인재유출 뉴스만 보면 핀트가 거슬리는 점
34 - 허리를 무시한다기보단
나라전체가 엘리트를 무시하고있죠.
돈도 비슷하게 줘야하고, 잘났다고말하면 돌맞고
근데 혁신은 그 소수의엘리트가 만드는것인데 그게안되고 누군가가 혁신일으켜주길 기다리는 소위 일잘하고 말잘듣는 허리만 너무많죠.
이공계 인재유출 뉴스만 보면 핀트가 거슬리는 점
28 - 잘 이해가 안 되는 게 우리나라가 무슨 허리층에 학생 지원 프로그램을 해준다는 것인지 모르겠네요.
제 글의 포인트는 천재들에게 지원을 해주지 말자가 아닙니다.
이공계 인재유출 뉴스만 보면 핀트가 거슬리는 점
13 - BK사업을 비롯해서 엄청나게 많은 인력양성 프로그램이, 이공계 대학원 지원을 위해서 돌아가고 있습니다.
연구중심 대학이 아니더라도 대학원 티오도 많이 제공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대학별 뽑을 수 있는 대학원생 티오도 국가에서 관리합니다.)
이런 것들이 결국 석박사급 이공계 인력을 대거 양성하는데 활용되는 재원입니다. 이런거 없으면 애초에 대학원생 뽑는 인원도 많이 줄어들 수 밖에 없어요.
학부도 마찬가지에요. 유행하는 신규 학과들...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등 모두 관련분야 교수님들이나 학부생, 대학원생 많이 뽑으라고 국가가 대학에 지원금주면서 장려한겁니다. 지방쪽 기업 인력 충원도 고려해 지방 특화 지원 프로그램도 많습니다.
그동안 관심이 없으셨을거고, 숨쉬듯 당연한것으로 생각하고 계셨을 여러가지 국가 사업이 허리층 지원에 가까웠습니다.
이제는 여기에 더해서 최상위권 인재들까지도 의대에 쏠리지 않고 이공계로 육성해야지 된다는 취지에요.
이공계 인재유출 뉴스만 보면 핀트가 거슬리는 점
17 - 민주당식 좌파 평등주의!!
당장 김박사넷도 의사라면 빼애애애애액
이공계 인재유출 뉴스만 보면 핀트가 거슬리는 점
15 - 별점이랑 평가시스템이 쫄삭튀 당한 이후로 이미 인터넷 망령 사이트죠 ㅋㅋ 아직 대체제가 없어서 있을뿐, 김박사넷 초심 챙긴 비슷한 커뮤니티가 생기면 스스로 없어질 겁니다.
김박사넷, ‘연구자 커뮤니티’라는 정체성을 잃고 있습니다
16 - 솔직히 이해 안됩니다
다른 사람 사귀면 될 것이고
대학원에서 배운 걸로 밥벌이 하는데 집중 안되네 어쩌네 하는 게 이해 안되요
선생님께서 어느 급까지 갈지 모르나 돈벌려면 집중해야하지 않을까 합니다
연구 집중에 관하여 조언 부탁드립니다.
12 - 솔직히 그런 랩실 추천하지않음
원래 연구실이 이런건가요?
12 - 님 애새끼같다는 뜻이요
친구 학점 3.5인데 서울대 컨택이 되었다던데 거짓말..?
21 - 교수님께서 신고를 많이 당하셨네요...
폐급 대학원생 특징 정리
13 - 배워서 깨우치라고 교수가 있는 거 아님? ㅋㅋㅋ 깨우치기만 하는 곳이면 교수는 왜 있음? 애들 실적 빨아먹으려고?
폐급 대학원생 특징 정리
13 - 11. 본인이 정해놓은 기준에 안맞으면 그 사람은 폐급이라생각하고 커뮤니티에 그 기준들을 올려서 공감받고 싶어한다
폐급 대학원생 특징 정리
14
중경외시vs 유니스트
2020.12.06

중경외시 재학생인데 유니스트 가도 본전인가요?
<대학원에 입학하는 법> 명예의전당 1166 77 218299
아즈매와 마음 건강 명예의전당 80 22 11911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 명예의전당 186 22 54789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근데 학계 있다보면 진짜 썩었다는 생각 안드냐?
49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570 - 석사 월150.. 이거받고 대학원생활하는게 현타 ㄹㅇ
33 - 랩 차이가 아니라 대학 차이는 실존합니다
71 - 대한민국 학계가 답이 없는 이유
22 - GPT로 논문 수정해서 제출하라는 교수님
8 - [속보] AI 입학정원 증원 빔 ㅋㅋㅋㅋㅋ.jpg
68 - 무능력한 저에 대해서 생각할 때마다 힘듭니다.
13 - P는 이제 별로인가요...?
22 - 대학원생 남자 폐급론
61 - P에서 공부할 수 있는게 너무 감사한 요즘입니다.
28 - AI 스타펠로우십 선정 대학 목록
13 - 카이스트에 세계 최고수준의 인력 있는거 맞냐?
10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수학자가 되고 싶은 아이, 학교선택
24 - 스윗한 척 하는 남자 교수님 특징
26 - 이공계 인재유출 뉴스만 보면 핀트가 거슬리는 점
21 - 김박사넷, ‘연구자 커뮤니티’라는 정체성을 잃고 있습니다
16 - YK 파트박사 불합격..... 요즘 박사 진학 많이 하나요?
10 - 연구 집중에 관하여 조언 부탁드립니다.
8 - 앙대 0년차 석사 생활 간략한 후기
8 - 연구환경이 좋은게 꼭 실적으로 이어질까?
11 - 회사다니다가 대학원 진학하려는데 교수님이 좋아하시려나요
14 - 원래 연구실이 이런건가요?
12 - 친구 학점 3.5인데 서울대 컨택이 되었다던데 거짓말..?
12 - 폐급 대학원생 특징 정리
13 - 대학원 온게 잘못된 선택이었나 싶음
9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미국 박사 합격 후기 웨비나 | 재수로 풀펀딩 합격 "시험 점수는 그대로, 나만 바꿨다"
7 - 근데 학계 있다보면 진짜 썩었다는 생각 안드냐?
49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570 - 석사 월150.. 이거받고 대학원생활하는게 현타 ㄹㅇ
33 - 랩 차이가 아니라 대학 차이는 실존합니다
71 - 대한민국 학계가 답이 없는 이유
22 - GPT로 논문 수정해서 제출하라는 교수님
8 - [속보] AI 입학정원 증원 빔 ㅋㅋㅋㅋㅋ.jpg
68 - 무능력한 저에 대해서 생각할 때마다 힘듭니다.
13 - P는 이제 별로인가요...?
22 - 대학원생 남자 폐급론
61 - P에서 공부할 수 있는게 너무 감사한 요즘입니다.
28 - 카이스트에 세계 최고수준의 인력 있는거 맞냐?
10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트럼프 시대, 미국 석박사 유학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생존 전략
89 - 스윗한 척 하는 남자 교수님 특징
26 - 이공계 인재유출 뉴스만 보면 핀트가 거슬리는 점
21 - 김박사넷, ‘연구자 커뮤니티’라는 정체성을 잃고 있습니다
16 - YK 파트박사 불합격..... 요즘 박사 진학 많이 하나요?
10 - 연구 집중에 관하여 조언 부탁드립니다.
8 - 앙대 0년차 석사 생활 간략한 후기
8 - 연구환경이 좋은게 꼭 실적으로 이어질까?
11 - 회사다니다가 대학원 진학하려는데 교수님이 좋아하시려나요
14 - 원래 연구실이 이런건가요?
12 - 친구 학점 3.5인데 서울대 컨택이 되었다던데 거짓말..?
12 - 폐급 대학원생 특징 정리
13 - 대학원 온게 잘못된 선택이었나 싶음
9
2020.12.06
2020.12.06
2020.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