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 분야 (바이오)의 경우 현실적인 탑저널이 넷컴임. 한국에 있는 대학 통틀어서 넷컴 이상에 논문 내는 편수가 1년에 50편 이하일 것임.
이기적인 마르틴 하이데거*
2023.06.30
단순비교 무의미 cvpr = 누구도 부인하지 않는 최고의 컨퍼런스 넷컴 = ? 분위기상 NCS보다 아래지만 내면 좀 먹어주는 저널인 듯
2023.06.30
네컴은 모든 분야에서 내서 생각보다 쉽지않아요
대댓글 1개
2023.06.30
맞음 네컴은 분야막론 탑저널이라 어려움. 본지는 한국에선 어차피 거의 못내니 네컴이 사실상 탑저널이지
2023.06.30
CVPR 이 더 핫하고 유명하고 관심 많이 받음. Prestigious 함으로 보면 네이처컴.
CS 학회에서 네이처컴이랑 Prestigious 한걸로 비교할거면, OSDI 나 SIGCOMM (1년에 50개 미만 퍼블리쉬, 한국에서 0-1개 나옴) 급이랑 비교해야 해볼만하다고 생각합니다.
대댓글 1개
2023.06.30
OSDI SGCOMM같은 각 분야 최고 학회들은 네이쳐컴이라기 보단 다른 네이처 자매지임. (네이처 컴이 자매지 마지막 취급이라 자매지 중에 하꼬인 느낌이 있음)
구체적으로 예를들면, 나노 분야 최고 존임인 네이처 나노텍이 1년에 퍼블리시 되는 논문이 150편 정도임. 그리고 통신분야에 최고 학회라 여겨지는 시그컴 NSDI 모비컴 이거 3개가 1년에 150편 정도고. 물론 나노 분야가 재료 쪽 중엔 파이가 크다지만 어쨌든 세부 분야고, 통신분야도 cs+ee 합친거라 규모는 비슷하다가 봐야하고.
그래서 각 분야 1등 학회는 네이처 자매지 (네컴 제외)라고 보는게 맞는듯. 그외 점점 내려가면 통신 분야 1.5티어 학회나 1등 저널이 acs nano나 am 정도 되겄지.
다만 탑학회라고 해서 AI쪽 포스터 포함은 당연히 아님. AI 탑학회 포스터 논문이 1년에 거진 1만개 억셉되는데 걔네를 네이처 자매지로 비교하는 것 어불 성설이지.
물론 다학제 연구하는 연구실은 그래도 cs 탑학회보다 젤 낮은 자매지여도, 넷컴 선호하긴할듯.
2023.06.29
2023.06.29
대댓글 5개
2023.06.29
2023.06.29
2023.06.29
2023.06.29
2023.06.30
2023.06.29
2023.06.30
2023.06.30
대댓글 1개
2023.06.30
2023.06.30
대댓글 1개
2023.06.30
2023.07.01
2023.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