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교수님 논문 실적 확인하는 방법(질문글이에요)

2023.06.25

12

9720

저는 현재 서울에 있는 대학에 재학중인 3학년 학생입니다.
관심있는 분야가 생겨서 최근에 지방에 있는 대학교 랩실에 컨택했었는데
서울에서 연락온 게 학생이 처음이다는 식으로 말씀하시면 교수님께서 굉장히 신기해하시더라구요...(저는 그 랩실도 충분히 매력적이라고 생각해서 지원한건데 이런 반응이 나오실 줄은 몰랐어요..)
결과적으로 여러가지 이유들로 그 랩실에는 못 들어가게 됐습니다.
이왕 이렇게 된 거, 방학동안 현재 관심있는 분야 외 다른 분야의 논문들도 보면서 관심분야를 넓히고 신중하게 랩실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교수님 논문 실적 확인할 때, 구글 스칼라에서 h-index, i10-index만 참고할 경우 지방대 아무 교수님의 지수가 spk 아무 교수님 보다 높은 경우도 있는데 index 보다 논문이 실린 저널이나 논문의 제1저자이신지가 더 중요한가요?

컨택 실패한 것 때문에 갑자기 심란해져서 여기에 글을 올리게 됐는데 정신없네요 글이...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쩨쩨한 알프레드 노벨*

2023.06.25

논문 인용 수는 연구 능력이랑 비례하지 않습니다. 하급 저널이라도 문어발식으로 많이 내면 올라가요. 제가 석사 때 별볼일 없는 논문 많이 쓰는 랩에 있어봐서 압니다. 석사 지도 교수님 웬만한 skp 교수님보다 인용 수 높았음

대댓글 1개

2023.06.25

대학원을 갑자기식으로 알아보고 있어서 당연히 지수가 높아야 저명하신 분이라 생각했어요.. 감사합니다!

2023.06.25

수치보다는 논문의 내용으로 연구실 수준을 파악하셔야 해요. 본인이 정확히 어떤 종류의 랩실에서 무엇을 어떻게 해나가고 싶은지 구체화하면 도움이 많이 됩니다

대댓글 1개

2023.06.25

아직 학부생이라 랩실의 수준을 판단하는 건 능력 밖의 얘기지만 최대한 같은 분야의 다른 논문들을 많이 읽어서 감을 잡는 게 중요하겠네요..감사합니다!

2023.06.25

어지간히 유명하신 몇 분을 제외하고는 솔직히 학부생이 연구실 수준을 파악할만한 방도는 거의 없죠.
논문을 읽어보고 판단하는 것도 어느 정도 내공이 쌓여야 가능한 방법이고요. 대부분 석사 학생들도 불가능한걸 학부생이? 싶습니다.
물론 저널의 IF라던가 h-index가 가지는 한계를 부정하지는 않겠습니다만 연구자의 역량을 가늠하기 좋은 지표인 것도 사실입니다.
꼭 h-index가 높은 연구자를 좋은 연구자라고 볼 수 있는 건 아니지만 좋은 연구자면 높은 h-index를 가지는 것도 사실이라는 거죠.
따라서 학부생 수준에서는 아래 3가지 정도가 최선이 아닐까 싶습니다.

1) 물론 전공에 따라서도 다르겠지만 나이 대비 h-index가 어떤지를 먼저 확인해보시면 좋습니다.
2) 최근 출판 저널의 IF를 확인해보시고 1저자가 그 연구실 학생인지를 확인해보시면 좋습니다.
3) 마지막으로 Alumni에서 취업 현황을 확인해보시면 좋습니다. 본인이 희망하는 기관에 취업한 사람이 많다면 베스트겠죠.

대댓글 2개

2023.06.25

맞습니다..아까도 논문 읽다 왔는데 이게 뭔 말인가 싶고 막막해지더라구요..구체적인 조언 너무...감사합니다!
조언1번 관련 질문인데 교수님 나이가 40대시라면 젊으신 교수님이라고 할 수 있나요?

2023.06.26

40대면 아직은 젊으신편에 속하시는게 맞습니다.

2023.06.25

맞습니다..아까도 논문 읽다 왔는데 이게 뭔 말인가 싶고 막막해지더라구요..구체적인 조언 너무...감사합니다!
조언1번 관련 질문인데 교수님 나이가 40대시라면 젊으신 교수님이라고 할 수 있나요?

대댓글 1개

2023.06.25

40대면 젊은 편이죠.
정년 65세 생각하면요.

2023.06.25

감사합니다!

2023.06.26

글쎄요~ 첫째는 논문을 꾸준히 10편/년 정도 내는 분이 좋구여, 둘째는 공동교신저자가 누구인지 잘 봐야 합니다. 세째는 제1저자가 교수님연구실 사람인지도 중요하구요, 네째는 논문이 IF 10 넘는 저널에 게재가 되는데 연구실인원 2~3명 이상 저자가 안 되면 서로 공동연구가 안 되는 거니 생활이 어렵습니다. 마지막으로 젤 중요한 건데 교수님이 잘 듣지 않는 성격이시면... 학생들 의견이 맞을 때 잘 했다고 하시는 교구님께 가시는 게 좋습니다. 시간 상 여유가 있으시면 방학기간을 이용해서 랩인턴 생활을 해보고 대학원 진학하시는 게 좋을 거 같습니다.

2023.06.26

총인용수랑 h index 보면되고 노벨상 뽑을 때도 애초에 저거 참고 해요. 분야 같으면 인용 수나 SNC 및 메가 히트된 논문 얼마나 무엇을 가지고 있느냐로 평가하는데
네이쳐 본지 내는 그룹도 아니고 분야 같고 고만한 곳이면 인용 지수들만 보면 딱 각나옴니다.
물론 산업계에 있다 오셨거나 교수님들 간 나이 차이 많이 나는 경우면 다르게 봐야 하지만 정교수들끼리는 충분히 비교가 되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