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곰곰히 생각해보면 재능론자들이 하는 얘기중에 딱히 인생에 도움이 되는 얘기가 없음.
재능론자들이 하는 얘기의 핵심은 언제나 "어차피 안될거 해서 뭐함?" 이었음.
재능론자들 허구한날 남이 하는 노력 무시하고 바보취급하면서 지혼자 세상 깨우친척은 다하는데, 결국 그런 마인드에 발목 붙잡히는걸 무수히 많이 봄.
정말 죽기 일보 직전까지 갈 정도로 피나는 노력을 했음에도 재능앞에 무너져 본 사람이 재능론을 설파한다면 안따깝고 귀감이 되는 조언으로써 귀담아 듣겠으나, 주변의 재능론자들 100%는 노력하지 않음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하고 그런 자신에게 면죄부를 주고자 재능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이었음.
재능이 있냐없냐는 내가 노력을 할지말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아님. 설사 재능이 없어서 쏟은 노력대비 남들보다 효율이 안나와도, 조금씩이라도 발전하는 나 자신을 위해 노력을 쏟는거임. 노력하는 내가 있는 그곳에 발전하는 내가 존재한다는 그 사실 하나만으로도 노력의 당위가 성립하는거임.
노력이라는 행위를 부정하는 사람들은 타인은 물론 자기 자신조차도 사랑할 줄 모르는 것임.
재능과 노력중 어느 쪽이 중요한가?
32
- 기왕하시는거 생물학까지 삼중전공 하시는게 어떨까요?
이 시대의 진정한 자연철학자에 도전해 보시는것도 낭만이 있고 멋질것 같습니다!
그것이 대학의 의미가 많이 변질된 오늘날 대학진학의 취지를 가장 잘 살리는 길인것 같기도 하네요. :)
물리학이랑 화학 복수전공 어떤가요?
23
- 당연히 교수가 쓴 글이 아니겠지만
이러한 사람은 교수를 하면 안됨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25
- 논문지도는 교수 능력입니다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21
- 본인은 이런말 하면 본인스스로 엄청 능동적으로 잘하고 있다 생각하시는거죠?? 아마 그런 지도교수한테 지도를 받고있겠고요. 본인이 그런 환경에서 크면 그렇게 느끼는 겁니다. 지도교수가 과제수주만 해줫는데 본인이 연구흐름과 논문작성 잘해서 빅페이퍼 뚝딱 쓸 인재면 본인이 훌륭한겁니다.
흔하게 자녀를 보면 부모를 볼수있다 하잖아요. 그만큼 지도교수한테 영향을 많이받는게 학생들입니다. 인자하고 연구윤리 철저하고, 시간내줘서 연구미팅 꾸준히 하는 교수밑에서 배운사람은 그렇게 하게됩니다. 저또한 운좋게 그런교수와 포닥PI를 만낫고, 현 제자들에게는 그렇게 해주려고 하고요.
뭐가 더 좋은지는 모르고, spk만 되도 학생들 스스로도 충분히 잘할수있다 생각하지만, 연구흐름 잡거나 논문 쓰는 흐름 잡는것은 교수도움 받는것이 좋습니다.
해외 유수대학들은 잘하는 포닥들이 준PI급으로 잇기에 포닥과 같이 연구해서 논문쓰는게 가능하지만, 국내에서는 선배라해도 박사과정 n년차인데, 그때는 본인도 경험부족으로 잘 모르는 상황에서 괜한 연구흐름 잡아주는게 맞을까 싶네요.
스스로 실패와 좌절 해가면서 배우는게 연구다라고 생각하시면 그런 삶을 사시는건 본인 자유입니다. 다만 그것만이 맞다 라고 우기는건.. 너무 근시안적인 사고방식 같네요 ㅎㅎ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19
좋아요 좋아요 미국 좋소 대학 - 생활편
2023.06.07
8
710

재학생 만명 수준의 박사 과정이 없는 R1, R2가 아닌 M1 학교를 말함.
여기서 박사 과정은 Ed. D와 같은 Doctorate 과정이 아닌 Ph.D.를 말함.
요즘 들어 Ph.D. 과정이 없는 학교지만 리서치를 많이 해서 (a.k.a. 펀드를 많이 따와서)
좋소에서 R2로 승격한 좋소 학교들도 있음.
--------------------------------------------------------------------
이전에 좋소 미국 대학교수 생활 (https://phdkim.net/board/free/43244/)에서 좋소 대학 교수의 여유로운 삶을 얘기 했다고 하면 이번 글에서는 조금 암울하지만 현실적인 삶을 얘기 해 보자 한다. 아래 서술하는 문제점들은 적어도 대학원이나 포닥 시절에는 경험 할 수 없었던 일들이다. 아마도 캠퍼스 타운에만 살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캠퍼스 타운이라고 갱이 없고 마약이 없고 범죄자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파트 문을 안 잠그고 다니는 사람들, 심지어 잘 때도 문 안 잠그고 잠, 차 문을 안 잠그거나 차 안에 열쇠를 놔두고 다니는 사람들이 많았었다.
그러다 도시에, 교외 도시이지만, 오니 전혀 다른 세상이다.
하.. 캠퍼스 타운에서는 노숙자 구경도 못 했는데 이 작은 도시에도 노숙자들 문제가 심각하다. 하지만 이것은 아무것도 아니니 진짜 문제들을 알아 보자.
참고로 현재 살고 있는 지역은 인구가 10만도 안 되는 교외, suburban 지역으로 인구가 20만이 넘는 중소도시까지는 차로 20분 정도 걸리고 한인타운이 있는 대도시까지는 두시간, 공항까지도 두시간 걸린다.
1. 마약 문제
한국도 마약청정국이 아니다, 한국도 마약문제가 심각하다 하지만 다들 아는 것처럼 미국의 마약 문제는 정말 심각하다, 특히 펜타닐. 지금은 뜸 해졌는데 코로나 기간동안에는 동네에서 펜타닐 OD (과다복용)으로 사람 죽은 기사가 한달에 세번 정도는 나왔던거 같다. 어찌 보면 대단한 숫자가 아닌 것처럼 보일 수도 있는데 도시 인구가 10만도 안 되는 작은 교외 지역에서는 조금은 심각하게 느껴진다.
미국 상황이 그렇다 보니 마약 근절 캠페인 같은 것을 유치원에서부터 시작한다. 일년에 한번씩 마약이 뭔지 아무것도 모르는 유치원 애들도 'No Drug' 을 외치며 학교 주위를 한바퀴 돈다. 한국에서 자란 이민 1세대에게는 정말 이해하기 어려운 문제이다.
이렇게 심각하다 보니 초등학생 애들한테도 마약의 위험성이나 해악성을 자주 얘기 해줘야 하고 어릴 때부터 경각심을 갖게 하여 호기심의 싹을 미리 잘라야 한다.
2. 총기 문제
총기 문제 또한 너무나도 심각한 상황이다. 가장 큰 문제는 Drive by shooting 이라 해서 차를 타고 가면서 특정 대상에게 쏘거나 혹은 불특정 대상에게 쏘는 총격이다. 대부분은 갱단 관련 총격이지만 일반인 대상 범죄이거나 정말 묻지마인 경우도 있다. 그래서 해가 지고 어두워지게 되면 잘 안 나가게 된다.
그것보다 더 큰 문제는 가끔 뉴스 헤드라인으로 나오는 쇼핑몰 같은 곳에서 발생하는 mass shooting이다. 이러다 보니 쇼핑몰에 경찰이 상주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그래서 사람이 북적이는 곳도 가급적이면 피하는게 상책. 하지만 이것은 정말 드물게 일어나는 일이다.
3. 범죄 문제
한국에서 은행 강도라 하면 10년에 한번 있을까 말까 하지만 미국 소도시에서는 일년에 한번씩은 일어나는 것 같다. 이 이야기를 대도시에 사는 사람들한테 하니까 양호한 거라고 하더라. 왜냐하면 LA 같은 곳은 일년에 200번 이상 은행이 털린다. Den of the thieves의 도입부에 나온 것처럼 매 48분마다 일어나지는 않으니 다행이라고 할까. 그래서 범죄율이 높은 도시의 은행에 가면 은행원과 손님 사이가 방탄 유리로 나눠져 있다.
같은 도시라 하더라도 몇 블락차이로 범죄율이 현격히 차이가 난다. 그래서 범죄율이 적은 안전한 지역에 거주 하고 우범지역으 (다운타운) 로는 잘 가지 않게 된다, 이상하게도 특정 거리 밑으로 범죄율이 증가한다. 그리고 그 특정 거리를 두고 비슷한 크기와 연식의 집들이라도 집값이 1-20만불씩 차이가 난다.
4. 의료 문제
미국의 문제점을 말할 때 빠지지 않는 것이 의료와 의료보험 문제이다. 대부분 학교들은 의료 보험이 좋다. 특히 좋소 대학일 수록 더 좋을 수도 있다, 복지라도 좋아야 사람들에게 어필 할 수 있으니까. 그래서 교수들에게 여러가지 의료 보험 서비스 (이 중에서 한 보험을 선택한다) 를 제공하는데 대부분이 공짜이다. 심지어 괜찮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의료보험을 선택해도 가족까지 포함하더라도 한달에 100불도 안 내기도 한다.
문제는 병원이다. 미국은 의사 보기가 너무 힘들다. 한국은 이비인후과 같은 전문의도 동네 의원에 가서 조금 기다리면 의사를 볼 수 있는데 미국은 이런 전문의를 만나려면 몇개월이 걸리고 자기 주치의를 만나서 레퍼럴을 받아야 한다. 그래서 급한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urgent care란 곳들이 많이 존재 한다. 여기는 응급실은 아니고 간단한 증상들 하지만 급한 처치를 요하는 상황에 사용한다.
이렇게 병원 사용도 불편한데 비용은 또 만만치 않다. 보험이 좋다면 비싼 검사나 수술 같은 것은 한국보다 싸거나 비슷할 수 있다. MRI, CT, 복강경 수술 같은 것들 말이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비싸다. 미국 사람들의 파산 이유중 가장 큰 요인이 의료비라니까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 해도 될 듯 하다.
5. 인종 문제
마트를 가거나 애들 학교를 가도 참 인종이 다양하다. 미국 태생의 백인과 흑인을 제외 하고도 인도, 중동, 남미, 그리고 여러 다른 나라 출신의 백인들. 하지만 아시아인은 적다. 그리고 아시아인은 정말 눈에 잘 띈다. 심지어 내가 모르는 사람이 나를 알아 보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쉽게 눈에 띈다는 것이 조금은 가끔은 조금 많이 불편하다.
—------------------------------—------------------------------—------------------------------
미국은 주마다 카운티마다 그리고 각 도시마다 정말 많이 다릅니다. 텍사스가 남부 보수 꼴통 레드낵들의 본거지란 이미지가 있지만 오스틴 같은 곳에 가면 평화롭고 사람 살기 좋은 느낌이 나고 (카우보이처럼 총을 허리에 외부로 노출 되게 차고 다니는 사람들을 만날 수도 있지만) 캘리포니아가 진보의 선두주자, 첨단 산업을 요람인 주의 이미지가 있지만 샌프란이나 실리콘밸리가 아닌 내륙으로 들어가면 트럭에 트럼프 깃발 꼽고 다니는 농부들이 많습니다.
한국에서 나고 자란 입장에서는 미국에 비하면 한국은 세상 안전하고 평화로운 곳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다음 편에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에 살면 좋은 점'들을 찾아 써 보려 합니다. 그럼 재밌게 읽으셨기를 바라면서 다음 글도 많은 관심 부탁 드립니다.
*관련 글들
좋아요 좋아요 미국 좋소 대학 - 커리어편
https://phdkim.net/board/free/43421
좋아요 좋아요 미국 좋소 대학 - 연구편 3
https://phdkim.net/board/free/43352
좋아요 좋아요 미국 좋소 대학 - 연구편 2
https://phdkim.net/board/free/43292
좋아요 좋아요 미국 좋소 대학 - 연구편
https://phdkim.net/board/free/43257/
나는 어쩌다 미국의 좋소 대학 교수가 되었나
https://phdkim.net/board/free/43249/
좋소 미국 대학교수 생활
https://phdkim.net/board/free/43244/
좋소 미국 공대 교수 질문 받습니다
https://phdkim.net/board/free/43159/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김GPT
대학원 웬만하면 오지마라 (장문)147
54
177223
김GPT
미국 교수는 할게 못 됨17
15
8363
-
4
10
3070
김GPT
미국 유학의 명과 암44
50
10642
김GPT
미국뽕이 유달리 심한 애들이 보이네18
12
5516
김GPT
한국대학원5
2
1503
김GPT
한국교수의 단상38
50
5865
김GPT
유학 가서 느낀 점들14
12
11462
김GPT
현실적으로 문과대학원0
7
2702
명예의전당
연구실 뚝딱이가 되지 않기 위한 방법188
17
31709
-
111
14
44941
-
227
26
67517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3.06.07
대댓글 1개
2023.06.07
대댓글 1개
2023.06.07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