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랩미팅에 조급하지 마십시오 디펜슨가요? 디펜스가 아니라면 본인의 생각, 논리가 이미 다른 사람이 생각했다는 것 입니다
글쓴이가 그 글을 보고 생각한 것도 아니며 혼자서, 가지고 있는 지식으로 특정 가정을 산출 하였다 그러나 이미 논문화 되어 있다 이 얼마나 멋진 일인가요
제가 생각한 연구가 이미 나와있네요 하하…
26 - 지방에 박혀서 시야가 좁으니 이런 이야기도 당당하개 할 수 있는게 제일 장점인듯
인서울 출신들이 모르는 지거국의 메리트
48 - 경북대 입결로 내려쳐지는 것에 비해 괜찮은 학교라고는 생각하는데... SKP 운운하는 이런 억빠는 지능형 안티인가 싶음
인서울 출신들이 모르는 지거국의 메리트
20 - 평생 뒤통수나 치면서 사시길 바람
석사진학 약속하고 인턴 1년했는데 타대가면 안되나요..
28 - 상심이 크시겠지만 그냥 개인의 실수인 것 같습니다...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39 - 서울에 있으면 시야가 넓다고 생각하는게 더 웃김
인서울 출신들이 모르는 지거국의 메리트
27 - 행정대학원을 목표로 하신다니 다른 학교 가셔서 이 경험을 바탕으로 '행정실수와 사후대응'에 대한 연구를 하시고 논문을 쓰시면 좋을 듯 합니다.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30 - 서울 촌놈도 안타깝죠.
대한민국 나머진 모르고 그 좁아터진 서울만 아는
인서울 출신들이 모르는 지거국의 메리트
12 - 나도 교수지만 이 댓글이랑 좋아요는 이해가 안되는데
내 시간 중요한 것 만큼 학생 시간도 소중하다는 걸 이해해야 서로가 발전됩니다.
교수의 시간의 가치가 그렇게 중요한가요ㅋㅋ 학생이 와서 좀 알려 달라는데 그 비상한 머리로 잠깐 터치해주고 방향만 더 잡아주면 되는데 그걸 못하는 교수가 이렇게 땡깡 부리나 봅니다.
학생이 모든 순간 이렇게 한다고 생각하진 않고 논문 기간이나 급한 시기에 그러는 것 같은데 학생분도 교수님한테 미리 말씀드리고 찾아뵙는 것도 좋아보이네요
화이팅입니다
다른 학생들은 교수님이 일을 너무 많이시키셔서 문제라는데
16 - 서울 촌놈이란다ㅋㅋㅋㅋㅋㅋ 진짜 얘네는 뭐가 있긴 있나봐
인서울 출신들이 모르는 지거국의 메리트
9 - 아 스레드에서 이 글 봤는데 뭐 면접 준비도 그냥 이틀정도 했던거같고 메일로만 잘못 전달받은거지 지원자가 따로 확인하려면 확인할 수 있었던 시스템이었던거같은데? 확인 세번은 어떻게 한건진 모르겠지만... 결국 합격자 명단에 본인 없어서 알아챘다고 기사에 나오는데 흠.. 그냥 실질적 피해도 없어서 민사도 못내는데 누가 알아줬으면 좋겠고~ 기사나 내서 사람들한테 나 억울하오~~ 하고싶었던거같음 스레드에 자세히 적었더니 사람들한테 공감 못받으니까 여기에선 두루뭉술하게 적은건가ㅋㅋㅋ자기한테 유리하게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16 - 서울대 전통있는 대가랩 or 인기랩 아니면 포스텍 추천
서울대는 괴수가 많다고 많이 들었음
그리고 그런건 네가 좀 판단해라 초딩처럼 질문하지 말고
서울대 vs 포스텍
9 - 그냥 ...... 전반적으로 사회성 부족... 왜냐면 사회성있는 사람들은 자기 속마음을 털어놓을 필요성을 못 느끼는 것 같음. 그걸 찾는 곳이 연구실은 아니니
연구실에 친구라고 부를수 있는 사람이 있나요?
12
지거국 교수의 단상
2021.09.29

1. 우리 건물은 내 나이보다 많고 실험실 공간은 부족함.
그런데 새 건물을 쓰는 학과도 있으니 복불복..
실험실 1,2년 지나서 받는건 인서울 사립간 후배들도 비슷한듯.
2. 정착비는 이래저래해서 3-4천정도 받았음. 과기원들을 제외하면 그럭저럭 괜찮은듯?
3. 초반엔 강의압박이 좀 있었는데 몇사이클 돌고 나니 보통 학기당 수업 2개, 많아야 3개 정도 하는듯
하던 강의를 반복해서 하는거고 그나마 하나는 대학원이라 강의부담은 꽤 낮은 편임
강의상황은 상당히 열악한 편 (별도의 조교 지원 없고 강의시설도 허름함)
대신 학생들이 질문따위 안하고 열심히 공부만 해서 오히려 편한 느낌.
4.승진실적이 널럴하고 사실 정신만 차리고 있으면 무조건 승진함.
매년 주저자/교신저자로 SCIE 1편정도만 채우고 공저자로 1편정도만 더 쓰면 승진되고
이걸 못 채워도 짤리는게 아니라 재임용 처리되서 다음해에 다시 승진심사 가능함.
물론 그래도 조교수때는 실험실 없고 장비 없고 연구비 없고 잡일이 많아서 정신없긴 함.
5. 의외로 눈먼 지역과제들이 많아서 연구비 따기 쉬움. 중소기업만 지원가능한 과제들도 많은데
일은 교수에게 주고 이런 눈먼과제들 따서 먹고사는 이상한 회사들도 많은듯.
학과 교수 학생들 보면 다들 참여율 100% 풀로 채우고 인건비 풀로 받고들 다님.
6. 학부생들은 취업을 상당히 잘 함. 학부생 상담해보면 과반수 이상이 대기업이나 지역 공기업에 취업하는 듯 함.
취업이 잘 되다보니 대학원에 진학하려는 학생이 별로 없음. 나름 똑똑하고 연구욕심 있는 애들은 SKP 대학원으로 빠짐.
7. 학생 스펙트럼이 넓음. 괜찮은 자대생들을 잘만 모을 수 있다면 그럭저럭 연구가 돌아가게 세팅할 수도 있음
물론 그래도 교수가 대부분의 실무를 직접 캐리해야하는건 어쩔 수 없음.
라때는 학생이 제안서도 쓰고 실험도 알아서 하고 논문도 알아서 써서 냈었는데!
8. 월급은 많지는 않지만 요즘 사립대들이 등록금 동결되고 월급까지 동결된 데가 많아서
IST등을 제외하면 괜찮은 편이라고 생각.
개인적으로 이러고 사는 삶에 대해서 나름 만족함. 연구비도 충분하고 내가 하고 싶은거 연구할 수 있고
나름 말 통하는 학생들도 있어서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교수의 삶을 어느 정도 실현하며 사는 것 같음.
물론 학령인구 저하로 언제까지 이게 유지될지는 아무도 모르고
과거에 탑그룹에서 최신연구를 하던 자부심같은건 현실적으로 버려야 하는게 좀 아쉬움
지방대 교수의 단상 김GPT 211 51 103059
한국교수의 단상 김GPT 76 56 16890
교수님 흑화 김GPT 46 6 22706
교수는 진짜 아무나 하는 거 아닌 듯 김GPT 68 33 40441
공대 교수입니다 김GPT 11 11 10840
교수 특 김GPT 69 23 20857
일본의 대학원 생활 기록기 김GPT 34 48 13965
교수를 목표로 하는 분들께 김GPT 20 29 9725
지방대 교수도 나름 괜찮은 직업인듯 김GPT 10 8 11565-
314 31 91474 -
100 53 107190 -
87 84 54710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한국은 보잘것없는 대학을 진작에 청산했어야한다
72 - 학부도 대학원도 학벌이 낮은(?) 사람의 응원
315 - 석사 3학기째 결과가 안나오니 미치겠네요
10 - 대학원생은 언제 돈을 받는 것인가
13 - 제가 생각한 연구가 이미 나와있네요 하하…
8 -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99 - 석사진학 약속하고 인턴 1년했는데 타대가면 안되나요..
22 - 포스텍 배터리공학과 합격
8 - 올해도 찾아온 스승의 날, 학생들에게 부끄러움을 배웁니다
57 - 대학원대통령과학장학금 합격!!!
12 - 여러분 진짜 건강 잘 챙기세요...
4 - 천재란 무엇일까요?
5 -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3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인서울 출신들이 모르는 지거국의 메리트
40 - 원래 교수님이 뒷담을 많이 하시나요..
10 - 대통령 과학 장학금 서류 발표 났네요
16 - 카이스트 AI 원하지 않는 분야 vs 자대(고대) 원하는 분야
11 - 동기 졸업을 제가 신경쓰는 게 정상인가요?
6 - 박사 후 취업할 때나 교수 임용을 노려볼 때 학부나 석사때 실적은 의미없나요?
7 - 석사도 없는데 하버드랑 MIT에서 연구원 오퍼 주는경우가 있나?
9 - 서울대 vs 포스텍
10 - skp는 컨택이랑 입시가 별개인건가요?
10 - 연구실에 친구라고 부를수 있는 사람이 있나요?
7 - 포항공대 (포스텍) ai대학원 가능한지 평가좀요..
6 - 카이스트 전산 코테
11 - 제발 살려주세요 어떻게 해야할까요 이제?
7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한국은 보잘것없는 대학을 진작에 청산했어야한다
72 - 학부도 대학원도 학벌이 낮은(?) 사람의 응원
315 - 석사 3학기째 결과가 안나오니 미치겠네요
10 - 대학원생은 언제 돈을 받는 것인가
13 - 제가 생각한 연구가 이미 나와있네요 하하…
8 -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99 - 석사진학 약속하고 인턴 1년했는데 타대가면 안되나요..
22 - 포스텍 배터리공학과 합격
8 - 올해도 찾아온 스승의 날, 학생들에게 부끄러움을 배웁니다
57 - 대학원대통령과학장학금 합격!!!
12 - 여러분 진짜 건강 잘 챙기세요...
4 - 천재란 무엇일까요?
5 -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3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이정도면 phd 어디까지 노려볼수있나요?
17 - 원래 교수님이 뒷담을 많이 하시나요..
10 - 대통령 과학 장학금 서류 발표 났네요
16 - 카이스트 AI 원하지 않는 분야 vs 자대(고대) 원하는 분야
11 - 동기 졸업을 제가 신경쓰는 게 정상인가요?
6 - 박사 후 취업할 때나 교수 임용을 노려볼 때 학부나 석사때 실적은 의미없나요?
7 - 석사도 없는데 하버드랑 MIT에서 연구원 오퍼 주는경우가 있나?
9 - 서울대 vs 포스텍
10 - skp는 컨택이랑 입시가 별개인건가요?
10 - 연구실에 친구라고 부를수 있는 사람이 있나요?
7 - 포항공대 (포스텍) ai대학원 가능한지 평가좀요..
6 - 카이스트 전산 코테
11 - 제발 살려주세요 어떻게 해야할까요 이제?
7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5학년도 후기 신입생 모집 안내
- 통계데이터사이언스학과
- 도시빅데이터융합학과
- 인공지능학과
인터넷 원서접수 | 2025.5.21(수) 10:00 ~ 5.26(월) 17:00
2021.09.29
2021.09.29
2021.09.29
대댓글 2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