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높은 임팩트의 리뷰 논문의 가치?

2023.05.07

15

4568

일반적으로 리뷰 논문은 연구 논문에 비해 성과로서 크게 가치가 떨어진다고 혹은 없다고 알고 있는데요.

저명한 리뷰 논문들에 (Chemical Reviews, Nature methods, Chemical Society Reviews 등) 주 저자로 제출하더라고 보편적으로 성과에는 반영 안되는 것 맞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3.05.07

별로 성과 없음. 실적용은 가능.
사실 교슈가 초청 받아서 작성한거지 학생이 초청 받은 것도 아니잖아 있는게 이상한거지

대댓글 2개

2023.05.07

답변 감사합니다. 특히 '사실 교수가 초청 받아서 작성한거지 학생이 초청 받은 것도 아니잖아' 이 부분은 동감하는 바인데요.
실례가 안된다면 한 가지 더 여쭙고 싶습니다.
-성과는 없으나 실적에는 카운트 된다고 하셨는데: 사회적 인식이나 인정은 받기 어려우나, 정량적인 평가에는 반영이 된다라는 말씀이신가요?

2023.05.07

임용 같은 실적은 아니고요. 그냥 과제에서의 진짜 수 채우기용? 과학적으로는 인정 받기 어려운데 시스템에서는 논문으로 봐준다?
무서운 막스 베버*

2023.05.07

Chemical Reviews, Nature Materials Reviews, Chemical Society Reviews 등 여기에 리뷰썼고 본인이 1저자로 있으면, 공부도 많이했고, 이분야 잘안다고 생각됨. 추가로, 실적에도 당연히 어느정도 반영이 됨.

하지만, 실험 논문 적당히 임팩트 팩터 높은거 vs 높은 IF 의 리뷰논문이면
실험 논문 개씹압승임. 진짜 이상한 저널아닌이상.

즉 아무리 좋게 평가한다 평가한다해도, 실험논문이 개압승이라, 실험논문으로 가르고 실험논문으로 안가려진다 싶을때 리뷰논문썼으면 확실히 도움되는점 정도라고 생각함.





2023.05.07

본인이 리뷰 논문 내용과 관련하여 하이임팩트 실험 논문을 여러편 쓰고 리뷰 논문을 작성한다면 이 분야의 전문가라는 인상은 줄 수 있음.
근데 그런거 없이 리뷰 논문만 썼다? 그러면 그냥 지도교수가 시킨 잡 일 했구나 정도로 알겠죠.

2023.05.07

인용수챙기기용이지 뭐

2023.05.07

상황에 따라 성과로서 혹은 실력으로 받아드려질 수도 큰 의미가 없을 수도 있겠군요.
모두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2023.05.07

실험 논문이 채워진 상태에서 위의 큰 저널 리뷰 논문 일저자 있으면 플러스임. 아무리 교수가 초청받았어도 일저자로 그런 리뷰 쓰고 리비전하고 하는 것 쉽지 않고 그 분야 잘 알겠구나 하는 느낌 줌. 실험 논문 없으면 꽝이고.

2023.05.07

리뷰 있으면 좋음. 애초에 깜냥안되는 학생한테 하이임팩트저널 (if 30이상) 리뷰 저자를 안맡김. 제출까지 매우빡셈. 대충 혹은 어렴풋이 알고 썻다간 그냥 리젝임.

2023.05.07

본인이 학계내에서 직장구할때는 아무래도 구분해서 평가하죠.. 하지만 연구자로써는 상당히 좋은 기회이며 인정받을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스스로 인용수가 쌓여나가는거 보는 재미도 쏠쏠할겁니다

대댓글 1개

2023.05.08

그리고 여기에 리뷰페이퍼 솔직히 써본사람이 몇이나 잇을지 모르겠지만, 밖에서 보는것과 다르게 고된게 많긴합니다.
리뷰페이퍼보고 대충 연구동향같은것 쓰면되는거라 생각할수도 잇지만, 생각보다 리비전 단계에서 타 리뷰페이퍼와 차이점이 뭔지 꼬치꼬치 캐묻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생각보다 많은 연구들 요약하고, 정리하고, 흐름짜고, 그림들 그리거나 permission받는 등 시간이 꽤나오래 소요됩니다. 저또한 리서치 페이퍼도 많이 써봤고, 리뷰페이퍼도 한편써봤는데, 리뷰페이퍼가 가장 고됐어요. 하지만 이제와보니 인용 수백개로 꽤나 만족하고 있습니다.
명석한 마르셀 프루스트*

2023.05.07

정량평가시에는 실적 제외, 정성평가시에는 반영되고 큰 도움 됨

2023.05.08

리뷰논문이라도 저널에 따라 정성정량 평가 모두 반영됩니다. 전 임용당시 대표실적 5건 중 하나를 리뷰논문으로 넣었는데 제 분야 1위 저널 이었습니다. 초청으로 쓴것도 아니고 리비전만 거의 일년 걸려서 리서치논문보다 힘들었엇네요

대댓글 1개

2023.05.09

오호 몰랐습니다. 좋은 정보네요 감사드려요

2023.05.08

동일 연구실적 가정 리뷰 한두개 더 쓰고 졸업한 학생이 압도적 우위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