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UIUC 퍼듀 둘다 좋지만 UIUC 는 킹갓제너럴 H마트가있습니다. 압승이죠.
Uiuc Purdue 중 고민이 많이 됩니다.
7 - 첫째, 다른 사람에게 방해 됩니다. 직접적인 방해요인이 아니더라도 그게 전반적인 분위기를 서서히 저하시키는 요인이므로 방해되는거예요. 어? 쟤는 유튭보면서 쉬네? 그럼 나도 좀 쉬어도 괜찮지뭐~ 이러다보면 연구실 서서히 침몰합니다.
둘째, 본인 할일만 잘한다? 본인 할일이 회사처럼 딱 끊어서 정해져있나요? 대학원은 왜간거죠? 업무 채워서 인건비 받아가려고 간 건가요? 본인 능력치 끌어올려서 몸값 올리자고 가는거 아닌가요? 그럼 자기 발전을 위해서든 호기심을 채우려든 틈나는대로 알아서 더 찾아보고 공부하고 고민하고 실험하고 해야죠.
본인 할 일만 잘하면 되는데 무슨상관<- 회사는 어떨지 모르겠지만 연구실에서는 제일 위험한 말입니다.
연구실에서 예능, 게임 등 관련 유튜브 계속 틀어놓고 하는거 지적할만한 상황인가요?
15 - 솔직히 이어폰 끼고 혼자 보는거면 ㄱㅊ 스피커로 틀어놓는거면 민폐맞음 연구실도 결국 공동공간인데 기본 매너는 지켜야지 본인이 불편하면 바로 얘기해도 무방함 오지랖 아님
연구실에서 예능, 게임 등 관련 유튜브 계속 틀어놓고 하는거 지적할만한 상황인가요?
11 - 삼성 LG 네이버가 지인 추천으로 들어가나요?
박사졸업 실적은 좋은데 선배가 없어서 취업이 힘듭니다
8 - 잘못된건 없는데 글 타이틀에 고등학생인데는 필요없는 말 같아요 흑백요리사의 안성재가 말하는 식용꽃같은 느낌이랄까
안녕하세요. 고등학생인데 질문 있습니다
7 - 그러면서 성장하는겁니다ㅎㅎ
똑똑한 사람인가보죠. 하지만 더 오랜기간 공부하고 노력한 그 흔적은 또 크게 좋은 일로 돌아올거에요 .
2년차면 아무것도 못할 시기가 맞습니다. 특히나 물리학과라면요. 저희 연구실 3-4년차에도 논문하나 없는 경우 허다합니다.
길게보세요. 주변과 비교하지 마시고요. 그 실적 좋으신분은 똑똑하셔서 할일을 잘 하고 계신거지만, 그사람보다 못한다고 본인을 낮추는 자세는 좋지 않습니다.
타대에서 오면 적응하기도 쉽지않았을겁니다. 오히려 1년반동안 내 부족함을 알고 그걸 채우기 위해 앞으로도 나아가시길
너무 같은 연구실 맴버와 비교되서 현타가 옵니다..
11 - 나보다 못한 사람들만 있는 곳에선 골목대장 노릇하는 기분은 좋을지 몰라도 성장하고 배울 것이 없습니다. 그런 굇수의 존재는 축복입니다. 축복을 배움과 성장의 발판으로 적극 받아들일지, 스스로 벽을 세우고 움츠러드는 길을 선택할지 잘 고민해보길 바랍니다.
너무 같은 연구실 맴버와 비교되서 현타가 옵니다..
11 - 미국 포닥이 가기 더 쉬워요.
박사졸업 실적은 좋은데 선배가 없어서 취업이 힘듭니다
14 - 대학 수준을 입결로만 평가하는 당신의 수준이 한심합니다.
이원화 캠 수준
11 - 경희대수원캠은 90년대엔 광운대급이었고, 2000년대쯤부턴 문과는 국숭세, 이과는 건대급이었습니다
이원화 캠 수준
7 - 학회는 돈 벌면 그만이에요…. AI 솔직히 연구한다는 사람도 대부분 자기가 뭘 만들었는지 잘 모르지 않습니까. 그래서 연구 자체가 템플릿화 되어서 안전하게 페이퍼 뽑는 방법론이 있고요. 거기서 퀄리티 걱정된다고 예를 들어 억셉률 줄이면 쟤보다 내가 더 잘했는데 뭐냐고 난리납니다. 어차피 누가 뭘하는지 잘하는지 객관적으로 판단도 어려운데 몇천개 억셉 랜덤으로 줘버리고 그렇게 분야의 거품이 슬슬 상한가 치는 몇년 동안 바짝 돈 벌고 빠지는거죠. 원래 역사가 길지 않은 학회는 그런 사업형태를 보여주게 마련입니다..
Findings는 좀 논문 실적으로 인정을 안했으면
9 - AI탑티어는 실력 아니에요 ㅋㅋ
AI 탑티어 쓰는 연구실들은 어쩜 그렇게 다들 잘 쓰나요..
8 - 안녕하세요, 아무리 불경기라지만.. 저 그래도 많이 노력한 것 같거든요..곧 졸업인데, 이 정도면 서류면접 잘 준비해서 저도 연구실 탈출해서 회사원 할 수 있겠죠?
아래는 제 스팩입니다. 특정될까봐 러프하게 적습니다.
전자공학과, 반도체 소자 전공
-학부: 건동홍인아, 학점: 3.7/4.5, 실적: 국내 학술대회 포스터 1저자 1회
-대학원: ykssh, 학점: 4.0/4.5, 실적: sci 1저자 2편, 2저자 1편, 국내 학술대회 포스터 1저자 1회, 삼성 산학과제
특허x, 경력x, 자격증x
나이, 성별은 27, 남자, 군필입니다.
이 정도면 삼성하이닉스 가겠죠?
9
대학원에 가는게 맞을까요?
2023.04.04

이전부터 개발직군에 대한 낮은 흥미와 주변의 대학원 진학의 추천에 따라 저는 당연하게 대학원을 목표하고 있었습니다.
입대 전 개판이던 학점을 복구하기 위해 어느 정도 노력하여 현재는 120여 명중 석차로 8등까진 올려놨습니다.
그리고 연구 경험을 쌓기 위해 교내의 컴퓨터 비전 연구실에 학부 연구생으로 지원하여 해당 분야의 논문들을 접해보았고, 그 중
가장 영향력이 컸던 논문을 스스로 pytorch 로 구현해 보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기존의 생각과는 달리, 요즘은 계속 제가 연구의 길을 걷는게 맞을까 의구심이 듭니다.
여러 논문을 접해보아도 어떻게 이것을 발전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나는 어떠한 주제로 연구를 하고 싶다 라는 의지가 생긴 적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처음엔 제가 논문들 중 흥미로웠던 논문의 주제가 ML 이론 쪽이었던 점, 수학에 대한 흥미 등으로 미루어 짐작하여 저와 컴퓨터 비전이 맞지 않다 생각하였습니다.
따라서 6개월 간의 학부 연구생을 마치고 ML 의 활용보단 ML 이론을 파고드는 논문들을 읽어보며, 나의 진정한 흥미가 무엇인가 찾아보고 있었습니다.
분야도 찾을 겸 다양한 연구실들은 무엇을 연구하고 있는지 찾아보던 와중, 제가 과연 연구를 하고 싶은건지, 아니면 그냥 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해 끼워맞출 분야를 찾고 있는건지 헷갈리더라구요.
김박사넷에 좋은 조언을 주신 분들께서 공통적으로 하신 말들은 본인이 진정으로 연구하고 싶은 주제를 찾으라는데, 현재 저의 마음가짐으론 절대 성공적인 대학원 생활을 하지 못할 것 같아 두렵기도 하네요.
이러한 고민을 겪어보신 분들의 조언이 궁금합니다..
두서없이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대학원 공부 따라갈수 있을까요?? 김GPT 15 41 8968
제게 대학원 진학이 적합할까요? 김GPT 0 2 1930
대학원 진학 스펙 고민 김GPT 2 8 4713
자대대학원 가는 게 맞을까요? 김GPT 3 10 6299
대학원 진짜 가도되냐? 김GPT 5 12 10771
대학원 진학 관련해서 고견 묻습니다. 김GPT 0 10 5647-
1 7 2069
대학원을 가는게 맞는걸까요? 김GPT 1 7 1612
대학원 진학 관련 고민 김GPT 0 3 4381
대학원생 예절에 대해 쓴 글 보고... 명예의전당 166 10 29422
아즈매와 마음 건강 명예의전당 80 18 10732
대학원 월급 정리해준다 (공대 기준) 명예의전당 222 76 183127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박사졸업 실적은 좋은데 선배가 없어서 취업이 힘듭니다
19 - 30살에 석사 가는건 미친짓인가요?
11 - 이원화 캠 수준
14 - 삼중컨택 어떻게 생각하세요?
7 - Findings는 좀 논문 실적으로 인정을 안했으면
14 - 인하대 관련학과에서 spk ai대학원을 가고 싶은데 편입 고민
11 - 키보드 소음 심한 선배
11 - 학부생 3저자는 아무 의미 없나요?
9 - AI 탑티어 쓰는 연구실들은 어쩜 그렇게 다들 잘 쓰나요..
14 - spk 대학원 진학 학점/석차 질문드립니다.
8 - 조금은 비정상임을 알지만 도망가야 할 정도일까요?
7 - 기업 과제 전담
6 - 연구실/교신 저자 입장에서 내기 쪽팔린 학회 초록
12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미국 대학의 rescinding offer (Cornell, UMich) 에 대한 단상
15 - 미국 박사 입시를 준비하시는 분들께
19 - 박사 오퍼 펀딩 잘 확인해보세요
20 - 대학원생 장시간 근무에 대한 생각
228 - 진짜 예전엔 교수님을 엄청 무시했는데
93 - 연구실에서 예능, 게임 등 관련 유튜브 계속 틀어놓고 하는거 지적할만한 상황인가요?
19 - 조작논문 신고에 대해 궁금한게 있습니다.
14 - 자대 학부연구생 거절 후 고민
7 - 급나누기 좋아하는 한국에서
8 - 질린다.
10 - 이 정도면 삼성하이닉스 가겠죠?
5 - 갑자기 빡쳐서
5 - 하 제발 좀 석사든 박사든 하겠다고
9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박사 합격 가능성
9 - 한국 대학원 석사 후 재도전 vs 미국 박사
16 - 스펙 확인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미국 탑스쿨 박사 희망중입니다.
22 - 미국 박사를위해 봉사시간 채워야 할까요??
10 - Uiuc Purdue 중 고민이 많이 됩니다.
12 - 이원화 캠 수준
14 - Findings는 좀 논문 실적으로 인정을 안했으면
14 - 인하대 관련학과에서 spk ai대학원을 가고 싶은데 편입 고민
11 - 키보드 소음 심한 선배
11 - 학부생 3저자는 아무 의미 없나요?
9 - AI 탑티어 쓰는 연구실들은 어쩜 그렇게 다들 잘 쓰나요..
14 - spk 대학원 진학 학점/석차 질문드립니다.
8 - 연구실/교신 저자 입장에서 내기 쪽팔린 학회 초록
12
2023.04.04
대댓글 1개
2023.04.04
대댓글 2개
2023.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