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이정도면 정신병인듯
인천대 가천대보다 낮은데
진짜 경북대 부산대 출신은 뭐가 있다
38 - 과고시절 돌이켜보면 그 안에서도 어떤 친구는 압도적 재능으로 자습때 맨날 잠만자도 성적 잘 받고, 어떤 친구는 극성엄마가 학원 뺑뺑이 돌려도 중하위 못벗어남.
뭐 동창충 최하위들도 연대 성대는 갔으니 그친구들도 똑똑한 애들이긴 했지만..
무튼 머리 팍팍돌아가는 반짝반짝한 친구들은 누가 가르쳐도 잘 하고, 나중에 크고보니까 환경적으로 부모 재력/학력/유전도 중요하지만 모나지 않게 기르는 극단적이지 않은 집안분위기도 엄청 중요한 것 같음.
요새 과외하면서 드는 과학고와 학원에 대한 생각
11 - 뭔가 국가별로 연구자에 대한 스테레오 타입을 나열한 느낌인데 진짜 별로임 ㅋㅋ
학연생의 국제 학회 후기
15 - 바이오고 지금은 포닥중입니다. 저도 작성자분과 동일한 고민을 꽤 많이 했었고, 실재로 선배든 후배든 학위과정에서 동일한 고민을 하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았습니다. 저는 이런 의문이 드는 이유가 바이오가 갖고있는 특성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기본적으로 과학은 정확한 메커니즘과 증거 및 재현 등으로 여겨집니다. 하지만 바이오는 그 특유의 복잡성 때문에 완전히 이해하고 무언가를 행하기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바이오분야는 특히나 변인통제에 힘을 쓰는 형태로 발전해 온 것이겠죠.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작성자분의 고민은 바이오분야라면 누구나 갖고있는 고민이며, 궁극적으로는 이를 받아드려 그 안에서 확실한 결과를 만들기 위해 완전한 실험 디자인을 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물론 한 분야를 깊게 파다보면 소위 말하는 통찰력이라는게 생겨 그 찍기가 맞을 확률이 상당히 올라가긴 합니다.
원래 연구가 이런가요
10 - 댓글 보면 한국이 왜 이런거는 후진국인지 알수있음. 대학원 갔으면 학부 학벌 타령할 시기는 지났는데 아직도 학부타령하고있음 ㅋㅋㅋ 주로 실적 부족한 애들이 학벌 타령하는듯.
제가 대학원생은 아니지만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21 - 니가 교수 입장이 되어봐라 인턴 깔짝하고 타대 지원하려는 애들이 9할이다. 뭔 일 시켜 ㅋㅋㅋ 학부생 인턴한테 무슨 일을 시켜???? 수준도 안되는데
내 꼰머적 사고로는 인턴이
10 - 그래 뽑지 마세요 그럼 ㅋㅋㅋㅋ 인턴 뽑아주는게 자원봉사한다고 생각하는 교수가 있는데 진짜 노가다 반장이랑 마인드랑 하는말이 똑같음.
그게 뭐 본인들의 한계인듯.
나는 학부생 애들 최대한 챙겨주고 최대한 월급을 주려고하는데 안그런 사람이 많다는게 안타깝네. 보상에 대해 물어보는거 자체가 기분잡친다는 사람은 진짜 인성 글러먹은듯.
내 꼰머적 사고로는 인턴이
15 - 결과 나오지도 않았는데 속이 어떻게 1평인데 ㅋㅋㅋㅋ
대통령장학금 붙었다 꺄아악
16 - 진짜 대학원 입학보다 랩실 컨텍이 어려워요
저라면 컨택된 포스텍으로 팝니다.
카이스트 포스텍 면접이 겹치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19 - 의미도 없는 앞에 '수상경력 10개넘지만' 은 왜 적어놓는 거임? 자랑하는거임? 어쩌라는 글 인지를 모르겠음
카이스트 오늘 1단계 합격자 나오니까 무섭네요
9 - 뭐 과거에는 학부 입결도 연고대 부럽지 않은 위상을 자랑했고..
지금도 학부생 입결은 상당히 추락했지만 학교 시설이나 교수진은 상당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봐야죠.
쉽게 말해서 대구에서 대학교에 뭔가 해줄 일이 있으면 1순위로 경북대를 고려하지 않겠습니까? 그런 유/무형의 지원까지 고려하면 학부 입결에 비해 대학원, 연구실적, 교수사회에서의 위상 등이 훨씬 높은거죠.
아마 일반 학생 / 대중의 인식과 학계에서의 인식이 가장 다른 대학중 하나가 아닐까 싶네요
경북대가 좋은 대학교인가요?
8 - 좋고 나쁨의 기준을 어떻게 바라보기에 이런 질문을 하는건가요?
구체적으로 연구시설의 규모나, 투자, 커리큘럼 등 세부적으로 비교를 통해 상대적 가치를 매길 수 있겠죠.
그러면 글쓴이는 좋은 사람인가요?
경북대가 좋은 대학교인가요?
10 - ㅋㅋㅋㅋㅋㅋㅋㅋ경북대세요 왜케 예민
경북대가 좋은 대학교인가요?
10
"학부 학벌" 대신 "대학원 간판 이미지"를 고려하길
2023.02.12

우선 학벌의 영향은 한국을 포함 미국 및 해외에서 크긴 크다.
없다고 하면 거짓말이고, 학부 학벌이 아니라 석사 박사를 좋은 대학원으로 (소위 말하는 세탁해서) 진학해서 취직 잘 한 사람도 많이 봤다.
""하지만,"" 여기는 김박사넷이니 학부 학벌보다 대학원 간판 이미지와 연구 환경 고려를 하는 게 맞는 듯 하다.
왜 대학원 학벌이라고 안 하고, ""간판 이미지""라고 표현을 했냐면,
대학원마다 사회에서 갖는 이미지가 다르고 그 이미지가 이 후 커리어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이것마저 고려하지 말자고 하면"" 신선놀음 하자는 이야기밖에 안 된다.
우선, 서카포는 공대에서 최고의 간판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이 필요없다.
ist는 연구에 집중하는 대학원 중심 이미지를 가지고 있기에 연구직을 뽑는 기업이나 학계/정출연에서 두루 선호하는 이미지다.
성한 대학원은 기업형 랩이 많아 빡센 곳이 많기도 하지만, 다른 측면에서는 기업에서 선호하는 이미지이기도 하다 (이미 중소기업에서 training 잘 받은 인재들이랄까?). 반면, 학계나 정출연으로써 진출은 좀 더 제한적인 느낌이다.
연고대 대학원은 성한 대학원의 upgrade버젼이며 기업형 랩의 색체가 약하고, ist의 대학원 중심적인 장점도 두루 가지고 있다 (사립대로써 등록금만 잘 고려하면 됨)
위까지가 우리 나라의 주요 연구 중심 대학원들이며,
그 이하 대학원들은 진학 시 연구 중심 대학원을 못 나왔다고 바라보는 게 현실이다
(지방에서 부산경북 대학원은 살짝 애매하지만, 이 학교들도 최근 형편이 어렵기에 뺏다)
이런 인식 하에서, (연구중심대학원을 갈 수 있는데 안 가고) 굳이 다른 대학원들을 진학한다고 하면, 여기에 진학한 이유를 여러분들이 졸업 후에 추가적으로 보여줘야 한다.
연구 중심 대학원은 아니지만, 너무 좋은 교수님과 연구 분야가 있어서 내가 이렇게 많은 실적들을 냈다는 것들을 보여줘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실과 맥락을 모르고, 무조건 랩만 보고 가라는 말에 너무 휘둘리지 않길 바란다.
내 경험상 랩 좋은 곳을 가라는 건, 연구중심대학원들 사이에서 랩 좋은 곳을 가라는 이야기다.
스펙 좋으면 대학원 오려고 하지좀 마 김GPT 76 23 20718-
76 14 17492 -
4 31 6907
대학원 학벌은 김GPT 15 2 7980-
15 7 4806
학부 학벌에 대해 김GPT 20 17 8068
대학원은 어차피 자기 하기 나름 김GPT 14 11 15504
대학원이 학벌+학점만으로 들어가는건 김GPT 5 10 4092-
8 18 7729 -
216 34 27965
나는 포항살이 대만족 명예의전당 138 79 53098
저 미국 교수입니다 명예의전당 292 99 84051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학부도 대학원도 학벌이 낮은(?) 사람의 응원
294 -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
260 - 진짜 경북대 부산대 출신은 뭐가 있다
136 - 석사 3학기째 결과가 안나오니 미치겠네요
7 - 원래 연구가 이런가요
8 - 요새 과외하면서 드는 과학고와 학원에 대한 생각
42 - spk 대학원이 특별히 더 좋은 점이 뭐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12 - 의사들은 파업이라도 할 수 있지,,,
28 - 보통 연구비 당 논문 몇 편 정도 게재함?
11 - 학연생의 국제 학회 후기
16 - 대통령장학금 붙었다 꺄아악
36 - 포항 모 연구원의 면접썰
15 -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21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제가 대학원생은 아니지만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23 - 내 꼰머적 사고로는 인턴이
27 - 회로설계 랩실 어느 정도로 힘든가요? 이게 정상인가요.?
9 - 카이스트 오늘 1단계 합격자 나오니까 무섭네요
11 - 생각해보니 결혼은 언제하죠
16 - 카이스트 포스텍 면접이 겹치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15 - 대통령과학장학금
20 - 경북대가 좋은 대학교인가요?
26 - 할 거 없어서 정리해본 국내 대학 QS 공학계열 종합 순위
10 - 현재 환경에서 스승의 날 챙기는게 맞는걸까요?
8 - 연구실 내 인간관계
18 - YK 전전 연구실 고민
12 - 저자 선정은 교신의 권한인가요?
11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학부도 대학원도 학벌이 낮은(?) 사람의 응원
294 -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
260 - 진짜 경북대 부산대 출신은 뭐가 있다
136 - 석사 3학기째 결과가 안나오니 미치겠네요
7 - 원래 연구가 이런가요
8 - 요새 과외하면서 드는 과학고와 학원에 대한 생각
42 - spk 대학원이 특별히 더 좋은 점이 뭐가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12 - 의사들은 파업이라도 할 수 있지,,,
28 - 보통 연구비 당 논문 몇 편 정도 게재함?
11 - 학연생의 국제 학회 후기
16 - 대통령장학금 붙었다 꺄아악
36 - 포항 모 연구원의 면접썰
15 -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21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3.02.12
대댓글 1개
2023.02.12
2023.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