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국내 포닥 비교.. 정출연과 학교

2023.02.07

17

7408

안녕하세요.

박사 졸업 후 바로 해외 포닥을 가기엔 실적이 좀 부족하다고 판단해,
1-2년 정도 국내에서 포닥을 한 후 저의 능력을 객관화 해보고 향후 진로를 설계 해보려 합니다 (취업, 학계 등).
국내의 경우 포닥 인력이 부족한지 저의 실적으로 국내 포닥은 어느곳이든 채용이 가능한듯 합니다 (IF 6-8 점대 First 5편).

관련해서 두 곳 정도 고려중인데
S대 혹은 서울의 K 정출연 입니다.

연봉은 정출연이 800정도 높은데
S대에 대한 환상이 있어 (인서울 중상위권 학석박 졸업) 그쪽으로 더 마음이 기울고 있습니다.
연구실 환경, 학생들 및 교수님 성향 등도 더 저와 잘 맞는듯 하고요.

제 주변에서 국내 포닥을 K 정출연 이외에 대학으로 간 분은 없어서 왜 대학 포닥으로 가는 비율이 낮은지, 장단점은 어떠한지 여쯉고 싶습니다.

새로운 앞날에 고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7개

2023.02.07

참고로 분야는 바이오입니다. 감사합니다.

대댓글 1개

2023.02.07

두 곳 다 오퍼를 받아서 선택만 남은 상황입니다.

IF : 5

2023.02.07

서울 K 정출연이 키스트면 닥 키스트 아닌가요... 분야는 다르지만 서울대에서도 키스트 포닥간다하면 오옹 하는데

대댓글 7개

2023.02.07

아 그런가요? 키스트를 선호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2023.02.07

서울대에서도 키스트 포닥간다하면 오옹 하는데

???
키스트 정규직도 아니고 키스트 포닥 가는데 오옹 하는 서울대 랩이 어딘가요?
포닥은 학생보다도 더 랩바이랩입니다.
랩을 보시고 두 가지만 생각하세요.
가서 논문을 얼마나 잘 낼 수 있는지, 해외 포닥 가는데 인맥 등으로 도움이 되는지요.
나머지 다 필요 없습니다.

2023.02.07

안녕하세요. 조언 감사합니다!
혹시 랩바랩이라면, 학교 네임밸류가 좀 떨어져도 더 좋은 논문만 낼 수 있다면 S대 대신에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인 선택일까요?
명석한 제임스 와트*

2023.02.07

키스트 정직원도 아니고 포닥을 누가 부러워해요..??

IF : 5

2023.02.07

랩바랩이지만 잘 찾아간다는 전제 하에, 키스트면 좋은 포닥자리니까요? 해외로 나가는 발판삼기도 좋고요. 실제로 그렇게 해서 외국에서 연구하시는 분들도 많구요. 당연히 정직원은 오옹 수준이 아니라 와아아아아아아아아아앙이죠
명석한 제임스 와트*

2023.02.08

죄송한데 어느정도 실적 있는 박사들은 대부분 해외 포닥을 바로 가지 키스트 포닥을 가진 않는것 같습니다. 국내 정출연으로 포닥 간다는건 뭔가 첫 단추가 잘못 끼워졌다는 뜻일 가능성이 큽니다..

2023.02.09

키스트에는 해외박사 비중이 높아서 포닥가기 좋을 듯

IF : 2

2023.02.07

우선 두 가지 잘 보셔야 되요.
논문이 잘 나오는지, 해외 포닥 추천받을 환경인지.
랩바랩이라 잘 알아보실 필요는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연봉도 그렇고 근무 환경은 무조건 K가 좋습니다.
해외포닥 준비할때에도, K에서는 PI한명 외에도 해외 유학 또는 포닥을 했던 선책임급연구원들이 다수이기 때문에 친분만 잘 쌓는다면 해외 포닥 연결받을 수도 있고 추천서 요청하기도 좋아요.
그런데 PI에 따라서 논문보다는 과제 프로젝트 수행이 우선인 경우가 있어서 논문이나 학회 기회가 잘 없을수도 있으니 잘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S는 PI인 교수 인맥 외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도 국제적인 영향력이 큰 연구실로 간다면 다음 포닥자리 구하는데 큰 도움 받으실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리고 학생이 많아서 학생들 지도하면서 공동저자 논문 다수 만들 기회가 있을수도 있어요. 그런데 역으로 학생들 지도하다가 논문 실적은 잘 안나오는데 내 연구도 못할수도 있어요.

저라면 K의 PI가 논문 잘 내는 사람만 맞다면 K로 갈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3.02.07

선배님의 현실적인 조언 감사합니다. 새겨 듣고 고려하여 잘 결정하겠습니다!

2023.02.07

포닥은 연구실적을 잘낼수잇는곳으로 가는게 맞습니다. 부바부, 랩바랩이기에 그게 학교인지 정출연인지는 모르죠. 저도 정출연에서 일년좀안되게 포닥하고 해외포닥갓는데 저는 원래부터 알던 잘하는 박사밑으로 간거에요. 김지어 학교도 대전, 정출연도 대전으로 가까워서 두곳에서 실적 모두 낼수잇엇어요.
금액은.. 아마 그정도보다는 많이 차이날겁니다 ㅎㅎ 정출연에 연구원11호봉으로 들어가실텐데 계약연봉은 5중반에 연구수당 20프로 복지카드 등 다 받으셔서 세전 7천가까이 수령하실거에요.

대댓글 2개

2023.02.07

정출연도 연구실적 잘 못내는 곳들도 많아요. 키스트만 봐도 선임이나 책임이후에 실적 부족한 사람들도 많죠. 연구환경은 좋으나, 본인 동기부여가 부족하면 본인도 마치 선임들처럼 편하게 생활하실수도 있어요. 저는 근무시간에는 정출연, 퇴근후 원래 학교연구소 생활하면서 오히려 박사졸업때보다 더 빡세게 살앗어요 ㅎㅎ 스스로의 동기부여 + 연구환경을 잘 보시고 결정하세요.
참고로 같은실적이라 생각하고 본인 cv만 보면 정출연 포닥이 더 유리할때가 많아요.

2023.02.07

그냥 지나치지 않고 조언 주셔서 감사합니다! 정출연 인센티브가 생각보다 꽤 쏠쏠하네요.
재치있는 막스 베버

IF : 1

2023.02.07

학교의 경우 연구실의 논문 실적들이 확인 가능하니 논문이 꾸준히(1년에 박사1명이 주저자 몇 편 쓰는지) 나오는 연구실인가를 보시면 좋을듯 합니다.
정출연의 경우 이런 실적들을 찾아보기 어렵긴한데 정출연 박사님들이 논문쓰기를 귀찮아 하는 경우들이 많아서 토픽들은 포닥이 가져가서 논문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점으로는 연구원에서 ㅇㅇ씨가 아닌 박사님소리 들으면서 유연근무제하면서 즐기고싶은 유혹들이 많을겁니다... 이걸 이겨내고 열심히 하신다면 좋은 박사님이 되시겠네요. 특히나 해당 기관에서 인맥을 만들고 좋은 이미지를 인식시켜 놓으시면 나중에 힘이 될겁니다.

2023.02.13

학교가 잘 선택되지 않는 이유는, 포닥과 교수님 랩원간에 끈으로 표현되는 유대감이 좀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정출연은 당연히 직장이라 동료의식이 있어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