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소위 AI분야 인기랩들은 대체 어느정도로 진학하기가 힘든건가요?

무심한 아담 스미스*

2023.01.08

13

3307

항상 AI 분야 대학원과 관련해 여러 정보를 찾다보면
SPK 인기랩들, 혹은 Y대 인기랩 등으로 석/박 진학(컨택)하기가 매우 힘들다는 글과 댓글들이 보입니다.
가령 컴퓨터비전 분야의 랩이나, 코어 ML쪽에서 실적이 미쳐 날뛰는 랩같은 경우에요.
(S,K ML/CV분야 탑티어 쏟아내는 많은 랩들, P 컴퓨터비전랩, Y 상위권 비전랩들 등)


근데 저한테 있어서 "힘들다~ 컨택 빡세다~ 인기랩이다~" 하는 게 구체적으로 얼마나 힘든 것인지 감이 잘 오지 않습니다.

학교마다, 자대생 외엔 컨택 성공하기가 쉽지 않다거나(S, Y), 컨택도 빡세지만 컨택이 되더라도 학점 컷이 빡세다거나(K) 하는 차이가 있기에 한 마디로 정의하긴 힘들겠지만, 실적&교수님 인품&랩 분위기 등 누가봐도 국내 최상위권 인기랩이라는 곳들은 보통 어떤 자격을 갖추어야 하는걸까요?
(P는 학교 규모도 작고, 지원자 수도 비교적 적은 편인 것 같은데, 인기랩과 관련해서는 분위기를 잘 모르겠네요.. )


SPK 학부생이고, 학점도 좋은데, 좋은 컨퍼런스 실적도 있으면야 당연히 진학에 용이하겠습니다만ㅎㅎ..
흔히 자대생들도 꽤나 떨어진다고 하는 랩들을 타대생 입장에서 뚫으려면 어느 정도의 노력과 운이 따라줘야 하는걸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무심한 아담 스미스작성자*

2023.01.08

항상 랩바랩은 진리이고, 조금 예민한 문제인 것 같아서 질문드리긴 조심스럽지만,
예를 들어 "실질적인 마지노선이 ssh라인 수/차석이다", "그 미만 라인에선 1-1.5티어 컨퍼런스 페이퍼 실적이 있어야 한다", "있어도 쉽지 않다"와 같은 대략적인 느낌이 궁금합니다.

2023.01.09

학점은 당연히 최상이어야하고 연구 관련 경험이 있으면 좋겠죠? 워낙 경쟁이 심해서 학벌도 좀 크게 작용하는 거 같네요.

대댓글 1개

무심한 아담 스미스작성자*

2023.01.10

학부가 모자라면 진짜 페이퍼로 어필하는 수밖에 없겠네요ㅠ 감사합니다..
우아한 그레고어 멘델*

2023.01.09

CS는 아니고 타분야지만 정보차원에서 말씀드리면 SPK 최상위 인기랩 졸업했는데 저희 방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SPK 학부생 - 상위 10% 이내 +YKSSH 과 수석/차석
만 연구실에 있었습니다. 분야가 학부생이 논문을 쓰고 입학하긴 어려운 실험 분야라 교수님께서 논문은 안 보셨구요.

대댓글 4개

우아한 그레고어 멘델*

2023.01.09

SPK 메이져 학과면 이런 랩실이 1~2개 정도는 있고, 탑5까지는 아니어도 탑10 박사가는 난이도랑 비슷하다고 생각되네요.

2023.01.09

ai가 아닌데도 이정도군요..
무심한 아담 스미스작성자*

2023.01.10

와.. 확실히 역시 인기랩들은 딱히 분야를 가리지 않고 비슷한 느낌이군요ㅠㅠ 감사합니다
무심한 아담 스미스작성자*

2023.01.10

-> 구체적인 수치까지 말씀해주신 점 정말 감사드립니다 !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2023.01.09

기본적으로 해당 랩에서 어느정도 (한학기~ 1년 ) 인턴을 하고 석사로 입학하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대댓글 1개

무심한 아담 스미스작성자*

2023.01.10

답변 감사드립니다 ! 아무래도 가장 많은 루트인 것 같긴 하네요. 인턴없이 타대생이 인기랩 뚫는 경우는 어떤 강점이 있는 걸지 궁금하네요.. 역시 학점과 논문실적이려나요
성실한 쇼펜하우어*

2023.01.09

저희 연구실의 경우
일단 대부분 원생분들은 인턴 무조건 거쳐서 들어왔고, 인턴 기간동안 연구실적에 좋은 평가 받은 분들만 들어왔습니다. 대부분 자대생이구요.
바로 입시로 들어오신 분들은 ist 이상의 학부 중 수석 차석 등이 있었고, 대학원 입시에 합격하고나서 다른 지원자들과 비교 받고 평가받고 랩 면접까지 보고 들어왔습니다.
'컨택이 빡세다' 이 부분은 현재 인턴 중 진학하고 있는 인원과 교수님께 컨택 오는 인원이 너무 많아, 진짜 눈에 띄지 않는 이상 티오를 따내기가 어렵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교수님께서 원하시는 신입생의 수준은, 1,2년 이내에 탑컨퍼 논문 게재를 할 수 있는가 입니다.
실제로도 늦어도 2년차에 대부분 탑컨퍼 논문 내고, 가장 빠른 분은 인턴 6개월 후 1학기 차에 탑컨퍼 논문 억셉 됐습니다.

대댓글 2개

2023.01.09

와,,, 탑컨퍼를 인턴 포함 1년도 안되는 시점에 냈군요...! 혹시 그럼 학부연구생 중에서도 탑컨퍼가 가끔 나오나요? 1-2년에 한 명정도는 나오나요? 있다면 그 친구들만의 특별함을 느낀게 있을까요?
무심한 아담 스미스작성자*

2023.01.10

구체적인 답변 너무 감사드립니다..

인턴을 하면서 어필하는 게 가장 보편적이고, 랩 내부 규칙에 따라 입시 통과 후에 컨택 및 평가를 통해 들어가는 방법도 충분히 존재하긴 하는군요..

결국 이러나 저러나 석사 1년차 이내에 탑컨퍼에 꽤나 괜찮은 논문을 투고할 수 있다는 포텐셜을 보여줄 수 있는지 없는지가 중요하겠네요..

교수님들의 안목이 정말 웬만하면 정확하겠죠?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