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인서울 하위권에서 4.2/4.5로 학부를 졸업하고
교수가 되고싶은 마음에 일단은 어느 나라의 최고 대학교에서 석사과정 중에 있습니다.
저는 석사 졸업 이후에 박사는 당연히 시작할 것이고, 또 박사 과정은 미국에서 할 것이라고 생각했었는데요.
막상 석사 유학을 해 보니까 박사는 도저히 엄두가 안 나네요.
1. 일단 다른 학생들과 수준차이가 너무 나는게 느껴집니다.
저는 그래도 한국 자대에서는 가장 성적이 좋은 학생 중 한 명이었는데, 여기선 미국/독일 명문대에서 학부를 한 학생들이나 혹은 유사학문에서 이미 석사 학위가 있는... 그러니까 두 번째 석사 과정인 사람들과 비교하면 너무 기초지식이 떨어지는 것 같아요.
학부 때 배울만한 수준이 아닌걸 이미 학부 때 마치고 왔거나,
머리가 똑똑해서 조금만 시간을 투자하면 독일어든 아랍어든 금방 습득해서 원서를 읽어내려가는 사람들...
그리고 학교 수업도 그런 사람들 위주로 수준이 맞춰지다보니까 수업 따라가기가 너무 벅차네요.
박사는 저런 사람들이나 하는거지, 저같은 사람이 하는건 아닌 것 같아요.
2. 언어의 장벽이 생각보다 높네요. 그냥 영어로 책을 읽고 수업을 알아듣는 정도로는 제대로 된 공부를 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때가 있어요... 한국어로 공부할 때보다 너무 효율이 떨어지는게 느껴집니다...
3. 금전적인 면도 가장 고민이 되는 부분인데, 친구들은 직장 가지고 가정을 꾸리는동안, 가난하게 산다는게 어려운 것 같아요. 석사 2-3년정도는 버틸 수 있지만 5년이나 되는 박사과정을 그렇게 보낼 각오가 이제는 없네요.
4. 해외에서 사는 것 자체가 너무 힘들어요. 사실 공부는 별로 어렵지 않은데 이 부분이 제일 어려운 것 같아요. 한국사람도 얼마 없고 음식도 입에 안 맞고, 문화적으로나 편의시설이나 모든게 다르고 어렵습니다. 아무리 선진국이라 하더라도 한국에서 살 때만큼 편하지 않네요. 한국만큼 살기 좋은 나라 또 찾기 어려운 것 같아요. 모든게 편안하고 익숙한 한국이 그립습니다.
그래서 저는 석사 마친 이후에 만약 박사를 하게 된다면, 미국 박사가 아니라 그냥 국내 박사를 하려고 생각중입니다.
국내 박사가 해외 박사에 비해서 덜 인정받는다는 사실은 알고 있지만, 해외박사는 너무 고단하고 힘든 길인 것 같네요(공부 때문이라기보다는 생활과 금전적인 부분 때문에...)
물론 국내박사도 쉬운 길은 아니지만(절대로 비하의 의도는 없습니다), 해외에 나가서 사는 것보다는 내 모국에서 공부하는 것이 마음도 편하고 과정도 편한 길인 것 같아요. 그냥 한국에서 편하게 하고 싶은 공부 하고 싶네요. 영어의 문제가 없으면 한국에서 공부해도 충분하겠죠?
다만 힘들게 석사유학 나온게 조금 아깝게 느껴지긴 합니다. 차라리 석사를 한국에서 하고 이런 어려운 점을 하나도 모르는 채로 패기있게 박사유학을 시작했으면 어땠을까 하고 상상해 봅니다.
딱히 무슨 질문은 아니고 그냥 푸념 글입니다. 그래도 응원의 메시지나 조언을 듣고 싶어서 고민을 올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5개
2022.11.28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걸 다 이겨내고 실적도 만들어오는 미박들은 대우받을만 하다고 생각함
대댓글 3개
2022.11.28
그걸 다 이겨내고 실적 만들어 오는 외국박사면 이해가 가는데 왜 미박? 영국이나 프랑스 독일 스위스 가서 박사따고 실적 빵빵하면 인정이 안되나봄 ㅋㅋㅋㅋㅋ수준하고는
2022.11.29
아무도 유럽계 뭐라 안했는데...
2022.11.30
저런 댓글을 쓰면서 수준 운운할수 있다니 ㅎㅎㅎㅎㅎ
성실한 마르틴 하이데거*
2022.11.28
과제 하나를 해도 넘 힘듬. 영어가 모국어 넘 부러워
취한 정약용*
2022.11.28
그래도 국내 박사는 하지 마세요
대댓글 1개
2022.11.29
내 6년은..?
2022.11.28
외국에서 박사하면 당연히 펀딩 받아야죠.. 그러면 금전적인 부분은 부담 덜합니다. 오히려 한국에 더 심할 수도 있어요.
지금 물가 많이 올랐다 해도, 대학들도 그거에 맞춰서 최소금액 올리는 중이니 외국에서 박사 지원하는거 추천드립니다.
점잖은 레프 톨스토이*
2022.11.28
펀딩 받아서 해외에서 박사 하세요
뻔뻔한 아담 스미스*
2022.11.28
해외 박사 존경한다고 하면 국내 박사들이 비공감 누를 수도 있으니 혹시나 상심마시길
2022.11.28
원래 들어가거나 졸업하기 어려운곳들은 그만큼 대우를 받습니다. 국내탑대학에서도 인기랩 출신들은 학계내에서도 인정해주는것도 비슷한 원리고요.
마찬가지로 미국 탑30만되도 어드미션 받는게 spk입시보다 훨씬어려운건 누구나 알고있기애, 해당학교 출신들은 당연히 대우해줍니다.
그러기에 국박들은 임용시장에 띄어들기위해 눈에띄는 실적+해외유명대학 포닥을 무조건 목표하는거고요. 막말로 미국 탑5대학에서 학위받았는데 논문없다고 무시하는 사람있으면.. 사실 그사람은 자격지심이라고 봐야죠.
대댓글 10개
뻔뻔한 아담 스미스*
2022.11.28
너무 나가셨음. 아무리 탑5라도 논문 하나 없으면 대우 받기는 힘들죠. 타이틀따러 박사하나요?
2022.11.28
탑대학에서 학위했어도 논문 없으면 무시하는게 맞아요. 공부는 잘했을지언정 연구에는 소질이 없는겁니다.
2022.11.28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학계선 그럴 수 있는데, 회사취업 시엔 훨씬 좋은 조건으로 다 입사합니다 (논문 없어도).
성실한 마르틴 하이데거*
2022.11.28
들어가기 쉽고 어렵고가 아니라,
해박은 들어가서 생활도 힘들지만 같은 과제, 연구라도 들어가는 시간이나 노력이 더 듬. 다른 문화에 적응하고 쓰고 말하는 커뮤니케이션도 모국어가 아니니깐.
뭐 자기가 모국어만큼 영어 잘한다는 사람은 모르겟다만… 만약 잇다면 국어를 못하는게 아닐까?
2022.11.28
저는 spk국박후 탑3에서 포닥이지만(현재 잠시 한두달간 한국에 있지만요) 주변 해당학교에서 박사학위받은 사람들 보면 유의미한 실적없어도 다들 임용 잘됐습니다. 타이틀따러 박사하는 개념이 아니라, 분위기도 탑저널이 있든없든 해당학교에서 디팬스 통과하는것 자체가 저도 이미 충분히 좋은연구 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주변연구실에서 여자박사의 경우 눈에띄는 실적이 없음에도 spk임용 두명 됐습니다. 여성이라는 특이성이 잇엇겟지만, 남자들의 경우에도 포닥1-2년이후 상위권 대학 임용 잘만됩니다. 주변사람들중 탑대학에서 학위받은사람들이 몇명잇으신지 모르지만, 국박보다 실적 상당히 떨어져도 임용시장에서 선호하는 경우는 허다합니다만..??
참고로 좋은실적 없이 임용됐어도 임용후 잘하는 케이스도 워낙 많이봤어서, 단순히 논문 개수/퀄로 해당 연구원의 연구수준을 판단하는게 맞을지는 모르겠네요.
학교가 바보도아니고 단순히 학위에 취해서 뽑은게아니라 다들 경험에 의해서 능력충분한 사람이라 판단했으니 임용했겠죠?
2022.11.28
무슨학교길래 저희과 교수들 대부분 해박 출신이지만 기본 snc본지 자매지는 깔고 들어온 사람들임. 애초에 회사가는 거면 몰라도 학계 오는 사람들 중 탑스쿨에서 학위 받고 실적 못들고 오는 사람을 본적이 없음.
실적 없음 기업으로 빠지겠죠
2022.11.28
전전/기계/산공쪽이고 탑저널해봣자 ncs자매지들이고 ieee transaction계열들입니다.
다른분야는 저도 잘 모르겟으나, 여기계신분중 탑대학 출신이 얼마나 계신지도 모르겟지만 목표치가 다르기도 하고 학교에서 선호도차이도 큰편입니다.
참고로 탑학교출신에 ral몇저널 만으로도 국내 탑학교 임용된 케이스도 꽤봣습니다 ^^
2022.11.29
미국 탑스쿨 디팬스 통과하는게 국박실적충 압살하기때문에 당연히 국박보다 인정해주는거 팩트인데.분노의 국박 눈물의 비추행
2022.11.29
여기도 다 사람 사는 동네라 무조건 졸업이 모든걸 증명하진 않아요..
교수 성향에 따라서 얘는 답이 없다 싶으면 대충 마무리해서 졸업시켜 버리는 경우도 있고
(보통 대형랩에서 많이 그러는 듯, 애초에 alumni 가 넘치다보니 한명 한명이
그 연구실 대표한다는 느낌이 적기 때문에)
입학 할때부터 외부 펀딩이나 계약 사항을 이유로 졸업시기를 딜하는 경우도 있어요
이럴 때도 크게 실적 없어도 다른 트러블 만들지 않기 위해 제때 졸업시켜주고요
물론 논문이 잘 안나오는 분야는 졸업자체만으로 꽤나 증명한다고는 생각해요
2022.11.29
보통 삼성에서 지원받아서 박사하러 오신 분들이 많이 그렇게 졸업하시는듯... 그러고 삼성 리턴...
2022.11.29
유명한 랩에서 학위를 한 사람들 중 어떤 사람들은 실제로 거의 논문 없이 졸업 할 수도 있습니다. 큰 프로젝트를 하다가 결과가 잘 안나와서 그럴 수도 있고, 다른 이유 때문에 그럴 수도 있습니다. 실제 미국에서는 논문이 없이 졸업을 했다 하더라도 애가의 전화 하나면 웬만한 학교에 바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프로젝트 proposal 을 쓰면 그 대가가 관련되어서 fund 를 받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고, 실제 그 분야에서는 가장 능통한 사람이기 때문에 사람 보는 눈에서도 인정이 되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한국의 큰 유명대학의 경우라면 그 분야의 대가에 대한 기대치가 있고, 또 임용과정에서의 실적계산에 에너지를 다 소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런 사람들을 실제 최종 임용할 수도 있는 것이겠죠. 지원자가 지금까지의 실적의 그리 좋지 않다 하더라도 search committee 에 있는 사람들이 지원자의 potential 을 볼 수만 있다면 향후의 가치를 보고 뽑을 수 있습니다.
2022.11.30
이제 곧 5년차 미국 유학중인데 초반에 3년정도 힘든거 버티시면 이후에는 좀 나아지실 거에요. 근데 그 초반이 어렵죠.. 연구가 재밌고 잘 맞으면 연구만 생각한다면 ( 이 전제가 잘못된걸 알지만) 미국박사 할만하네요. 요리 음식 언어장벽 문화장벽 연구실 분위기 등 모든 것에 적응하기까지 정말 오래걸렸지만 좋은 경험이라고 생각하며 나아가는 모든 박사 유학생 분들 존경합니다
2022.12.02
석사를 자비로 가셨나요? 석사 장학금 받으실 정도면 박사도 충분히 펀딩 가능하실텐데요. 성적도 좋으시고 박사가 최종목적지인데 석사를 고르신 이유가 궁금하네요. 따라서 기초생활에 대한 수준이 평소에 높으셨을것이라고 추측되네요
박사 월 1600-2200불 받고 식비 300불 월세 800불 정도
이정도로 5년 지내는것이 정해진 기분은 썩 좋지만은 않죠.
석박을 떠나 해외생활 자체가 탐구심이 강하고 자기 중심적 사고가 능하며 자신의 것을 버릴 수 있는 사람이 잘맞는 듯 합니다.
학사에서도 심지어 어학연수에서도 한국인들은 한국인들끼리 뭉치는 경향이 있습니다. 설명 하자면 한국어에서 자주 쓰이는 "우리" 라는 말처럼 한국은 공동체 문화이기 때문이죠. 실제로 그렇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졸업 후 한국행을 바라고 있습니다. 그중엔 졸업조차 버티기 힘들어 박사 과정중 석사만 받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저는 후자를 오히려 주도적인 선택이라고 봅니다. 본인 삶의 이상적인 모습이 해외 박사를 하는 것과 이어지지 않는다면, 선택은 빠를 수록 그리고 확실할 수록 좋죠.
작성자님의 선택을 응원합니다.
2022.11.28
대댓글 3개
2022.11.28
2022.11.29
2022.11.30
2022.11.28
2022.11.28
대댓글 1개
2022.11.29
2022.11.28
2022.11.28
2022.11.28
2022.11.28
대댓글 10개
2022.11.28
2022.11.28
2022.11.28
2022.11.28
2022.11.28
2022.11.28
2022.11.28
2022.11.29
2022.11.29
2022.11.29
2022.11.29
2022.11.30
2022.12.02
2022.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