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단순히 남에게 지식을 설명 잘하려고 대학원을 가는거면 애초에 마인드가 잘못된 듯 하네요. 결국 지금 chat gpt에 질문하는 주체는 우리잖아요. 현재 존재하는 지식으론 설명할 수 없는 질문을 하고 그 답을 하려고 연구하는 건데요. 글쓴이는 chat gpt가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하려고 연구합니까? 그런거면 스스로가 연구하기에는 호기심이 많이 부족한거에요.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11 - 아 스레드에서 이 글 봤는데 뭐 면접 준비도 그냥 이틀정도 했던거같고 메일로만 잘못 전달받은거지 지원자가 따로 확인하려면 확인할 수 있었던 시스템이었던거같은데? 확인 세번은 어떻게 한건진 모르겠지만... 결국 합격자 명단에 본인 없어서 알아챘다고 기사에 나오는데 흠.. 그냥 실질적 피해도 없어서 민사도 못내는데 누가 알아줬으면 좋겠고~ 기사나 내서 사람들한테 나 억울하오~~ 하고싶었던거같음 스레드에 자세히 적었더니 사람들한테 공감 못받으니까 여기에선 두루뭉술하게 적은건가ㅋㅋㅋ자기한테 유리하게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24 - 그...염병하지 말고 본인 할 거나 잘 하세요 이제 석사 신입이 뭔 남을 평가합니까?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5 - 늦으면 시발 가지말던가 이런글 왜올림?
답정너임?
남자 29살(만28) 석사 입학하면 너무 늦지 않을까요?
27 - 어중간하게 학부만 나온 사람은 이공계 정치인이라 하기에는 애매하고요.
제대로된 이공계 정치인이라 하면 30~40대까지 1저자 논문도 좀 쓰고, 연구비라도 제대로 한번 따본 사람이 되야 의미 있겠죠.
필드에서 축구잘하는 것과 훌륭한 축구감독은 인과관계가 없는 것 처럼, 대통령도 마찬가지 입니다.
이공계 대통령 한번 나왔으면 좋겠네요
13 -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논문을 쓰기 위한 제품 개발ㅋㅋ정부 과제로 20억 10억써서 만들면 아무도 안사용 합니다. 상품성이 하나도 없어요.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20 - 애초에 연구를 할 때 당장 써먹을 수 있냐 없냐가 심사 기준으로 등장하는데 뭔 연구를 하냐?
R&D에서 한국은 대부분 D를 하고 있다고 ㅋㅋㅋ
R을 하면 그거 어디다 당장 써먹냐며 과제 탈락시켜버리는데 연구를 하고 싶어도 못하는게 대부분이다 명문대라고 피해 갈 수 있는 문제가 아니야
논문을 쓸 때도, 연구 분야에서 리딩을 하는게 아니라 남이 해놓은 것에 숟가락 얻는 방식으로 비슷한 논문 찍어내는데 진짜 혁신이 있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교수들의 문제가 아니라 그들이 처한 환경이 문제라고 본다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36 - rnd예산이 포퓰리즘이라니요. 이러니 예산 삭감하는거지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12 - 예비 대학원생을 위한 최소한의 각오 정리해줌
1. 평일 9to21 근무
2. 주말 출근 필수
3. 일주일에 최소 2번 이상 밤 새기
4. 논문 하나 보면, 안에 있는 피규어, 수식, 수치 다 달달 외우고, 참고문헌 전부 숙독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8 - 참고 버틴 다음에 너가 지도교수되면 똑같이 혹은 그 이상으로 갚아주면 됨
지도교수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11 - 한심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15 - 이런 똥글 쓸 시간에 자기개발이나 하세요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10 - 전임교원이랑은 다릅니다. GD가 카이스트에 교수로 초빙된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될듯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8
한줄평 로그인후, 실적데이타 전체공개
2018.12.03

다른분이 지적하였지만
제가 보아도 한줄평은 로그인후 공개하고
실적데이타는 로그인과 상관없이 전체 공개하는것이
올바른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공개된 구글 데이타를 정리하는건 자유지만
명예훼손, 사적인 내용, 검증안된 내용들은
개인의 인격 존중을 위해서 조심해야 합니다.
학생들 인권이 중요하다면서
다른이의 인격은 어찌 되어도 된다는 것은
올바른 방법이 아니며,
로그인후 한줄평을 보아도 회사는 목적을 달성한 것이고요.
원인도 다양하고 검증도 안된 개인평이
검색웹에 사진 이름 소속과 함께 올라오는건
올바른 방식은 아닙니다.
이를 실행하지 않는건 다른분이 지적하였듯이
회사대표가 돈벌이용으로
개인 망신주기만을 주목적으로 하는듯 합니다.
계속 이런식이면
교수들도 본 사이트테 자료 공개를 보이콧해야죠.
최근에 많은 교수가 사진, 이름, 여럿 정보들을 없애고 있으니
이를 대중화하면 될듯 합니다.
회사대표의 책임있는 답변을 요청해 봅니다.
원색적인 비난이나 직원들의 무조건적 회사 옹호는 거절합니다.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 대학원 김GPT 2 11 45663-
14 20 3471
심심한데 질문받을래요 김GPT 1 45 6724
학벌 열등감 사라지게된 계기 김GPT 13 8 22474
이쯤 되니까 생각나서 그냥 써보는 글 김GPT 8 2 1807
김박사넷 본인 작성글/댓글 목록 김GPT 15 8 3685-
4 10 5163 -
1 20 1685 -
2 12 2643
심심해서 풀어보는 대학원생 개꿀AI 앱 모음 명예의전당 103 19 45586
나의 선생님 (자랑 포함..) 명예의전당 183 19 21559
나는 포항살이 대만족 명예의전당 138 79 53294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지잡대 대학원, 교수, 대학원생
87 - 한국은 보잘것없는 대학을 진작에 청산했어야한다
85 -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111 - 석사진학 약속하고 인턴 1년했는데 타대가면 안되나요..
29 - 여러분 진짜 건강 잘 챙기세요...
13 - 천재란 무엇일까요?
16 - 연구실에 친구라고 부를수 있는 사람이 있나요?
35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64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0 - 이공계 대통령 한번 나왔으면 좋겠네요
13 - 드디어 제 석사 논문이 accept 되었다네요!
39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16 - (웃으라고 쓰는 뻘글) 교수님 속터지니까 한 소리만 할게요
10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30 - 대학원 들어가는 게 맞을까요?
7 - 지도교수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7 - 랩실 출퇴근시간
11 - 석사 학점 중요? 안중요? (코스웤 중요도)
16 - 일본 대학원 연구생 컨택
8 - 40세 여 일자리 구합니다 (사이버불링후 잃어버린 6년)
8 - 해외학회 진짜 궁금해서 묻는거
14 - 석사 후 취업이 목적이라고 담당교수님께 밝히면 안좋게 보나요?
8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25 - [조언 요청] 재현되지 않는 연구와 조작된 데이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13 -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16 - 카이스트 면접 끝나서 하는 말인데..
7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교수로 임용되기 위한 십계명 - 하이브레인 펌
17 - 지잡대 대학원, 교수, 대학원생
87 - 한국은 보잘것없는 대학을 진작에 청산했어야한다
85 -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111 - 여러분 진짜 건강 잘 챙기세요...
13 - 천재란 무엇일까요?
16 - 연구실에 친구라고 부를수 있는 사람이 있나요?
35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64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0 - 이공계 대통령 한번 나왔으면 좋겠네요
13 - 드디어 제 석사 논문이 accept 되었다네요!
39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16 - (웃으라고 쓰는 뻘글) 교수님 속터지니까 한 소리만 할게요
10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디지스트 하계 인턴 결과
9 -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30 - 랩실 출퇴근시간
11 - 석사 학점 중요? 안중요? (코스웤 중요도)
16 - 일본 대학원 연구생 컨택
8 - 40세 여 일자리 구합니다 (사이버불링후 잃어버린 6년)
8 - 해외학회 진짜 궁금해서 묻는거
14 - 석사 후 취업이 목적이라고 담당교수님께 밝히면 안좋게 보나요?
8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25 - [조언 요청] 재현되지 않는 연구와 조작된 데이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13 -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16 - 인종구성 원래 이런가요
8 -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18
2018.12.03
2018.12.03
2018.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