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대는 보통 조교생활하고 연구생활하면서 돈 안나간다고 들었습니다. 그런데 국립대인 SPK는 애초에 국립이다보니 싸다는게 눈에 밟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전적인 면에서는 자대가 훨씬 유리한가요?
사실 석박사라는게 대학원금액이 만만치 않아서 무시할 수가 없는 부분이라고 생각되어서 불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2.08.24
대학이 무슨상관,,, 연구실마다도 금액차이 오지던데 ㅋㅋ
눈치보는 아리스토텔레스*
2022.08.24
잘라 말하기 힘듭니다. 같은 학교 내에서도 랩바이랩이고, 심지어 같은랩 동기임에도 실적에 따라 월급이 다른 경우도 있습니다.
2022.08.24
진짜 차이 심하긴함ㅋㅋㅋ근데 지인이 있지 않은 이상 들어가보기전까지는 사실상 알 수 없다는게 로또같은거임
산학장학생하면 그런거랑 상관없이 9급공무원정도 수입은 생겨서 그나마 ㄱㅊ
대신 회사에 발 묶이는건 좀 아쉬운 부분이지만 아쉽지 않을 회사이고 산학장학생 뽑는다고하면 이런거 하는거 나쁘진 않음
2022.08.24
우리학교 ai랩실 교수님랑 면담했었는데 석사 월급 200씩 주신다고 하셨음.. 학생들 공부에만 집중할수 있도록 해주고 싶다고 하심.. 서울 중위권대학임 랩바랩이긴 한데 전공차이가 심한듯 같은학고 자연대 석사는 월급 30인가?ㅋㅋㅋ
대댓글 1개
2022.08.24
주변에 있는 서울 중위권 대학교수들은 인건비 풀로 줘야지 학생들이 들어와서, 인건비 웬만하면 풀로주려고 한다고 합니다.
2022.08.24
포공, 카이스트는 국립대가 아니지만..
기본적으로 한학기 기준 사립대는 650가량, 서울대/포공은 등록금이 400가량, 카이스트는 75만원 가량이죠.
실제로 카이스트는 국장의 경우 장학금을 받기에 등록금보다도 더 많이 받지만, 카장의 경우 서울대/포공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따라서 사립대는 서울대/포공보다는 한달에 40만원, 카이스트/과기원보다는 한달에 100가량을 등록금에 더 지출해야됩니다. 당연히 같은 인건비를 받고, 특별한 교내/교외 장학금이 없을경우라면 그만큼 인건비 차이가 나겠죠.
근데 솔직히 본인가정형평이 너무 어려워서 손벌리기가 어려운 특수케이스가 아닌이상.. 인생에서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는 수준은 아니라고 봅니다. 따라서 저는 대학원/연구실을 선택할때 금전적인것보다는 그 외적인것들을 더 가중치있게 고려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인건비는 인기랩이든 무난랩이든 뭐든, 랩바랩이고 분야마다 상이할겁니다. 인기랩이라고 인건비 많이주는곳도 아니에요. 오히려 30명되는 연구실이 10명되는 연구실보다 인건비가 낮을확률이 높습니다.
대댓글 1개
눈치보는 아리스토텔레스*
2022.08.24
저도 공감. 대학원때는 월급보다 실력을 키우는데 집중하고, 다져진 실력을 바탕으로 사회에 나가서 많은 월급을 받으세요.
호탕한 알베르 카뮈*
2022.08.24
돈이 목표면 그냥 취업을해요.
대학원 월급이야 많으면 좋지만
논문실적만 제대로 쌓을수 있으면
혼자 먹고살기 가능할 정도의 월급만 있어도 됨.
돈 벌려고 대학원 가는건 아니잖아??
돈 많이 버는 곳을 가기 위해서 대학원을 갈 수는 있겠지만.
IF : 5
2022.08.24
그 인건비로 등록금 내고 생활이 아예 안될 정도면 그 랩은 쳐다보지 않는게 낫고(내 인건비뿐 아니라 과제비 자체가 부족한건 또 다른 얘깁니다)
그 윗선에서 차이가 비등비등하다면 다른 여러가지를 같이 놓고 생각하는게 낫습니다. 체감상 서울대는 등록금 싼 것 때문에 그런가 다른 학교에 비해 받는 절대 액수는 많이 낮은 편인듯. 그 중에도 AI하는 쪽이 괜찮은 것 같고 재료비 많이 쓰는 웻랩은......이하생략
2022.08.26
돈 차이가 난다면 얼마나 난다고 그러냐 ㅋㅋㅋ 최대 40정도일텐데 그정도면 차라리 윗글처럼 취업을 하던가
2022.08.24
2022.08.24
2022.08.24
2022.08.24
대댓글 1개
2022.08.24
2022.08.24
대댓글 1개
2022.08.24
2022.08.24
2022.08.24
2022.08.26